|
캐릭터명 | 장차오옌퇀즈(长草颜团子) | 과이챠오바오바오(乘巧宝宝) | 미타오마오(蜜桃猫) |
이미지 |
| | |
자료원: 위챗(WECHAT),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ㅇ 캐릭터 식품의 주요 품목인 설탕 과자류에 대해 중국은 수출금액이 수입금액보다 많음.
- 중국의 한국산 설탕 과자 수입규모는 2016년 6위를 기록했지만, 2017년에는 8위를 기록하며 하락추세임.
- 특히 2014년 이후 중국의 대한 설탕 과자 수입규모는 지속해서 하락 추세임.
- 중국의 캐릭터·라이선스 시장규모 성장률을 기반으로 유추하면, 캐릭터와 식품의 합작 제품이 한국 식품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됨.
2017년 중국 설탕과자 수입금액 상위 10개국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7년 |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수출금액 | 수출증감률 | ||
총계 | 186,941 | 3.7 | 781,656 | 3.4 | |
1 | 태국 | 26,377 | 8.0 | 25,903 | 12.9 |
2 | 말레이시아 | 23,940 | 2.6 | 24,658 | -40.8 |
3 | 대만 | 17,757 | -9.1 | 1,362 | 18.5 |
4 | 일본 | 13,717 | 37.5 | 5,328 | 13.7 |
5 | 미국 | 12,318 | -4.4 | 132,038 | 1.0 |
6 | 독일 | 12,009 | -5.6 | 5,682 | 5.3 |
7 | 벨기에 | 9,219 | 40.3 | 2,358 | 32.4 |
8 | 한국 | 7,976 | -36.0 | 31,853 | 75.6 |
9 | 호주 | 7,975 | 79.1 | 41,287 | -3.4 |
10 | 홍콩 | 6,554 | -17.2 | 21,428 | -3.2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중국의 대한 설탕과자 수입금액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ㅇ 중국은 토종 캐릭터보다 해외 캐릭터의 인지도가 높아 다양한 해외 캐릭터 식품이 중국 시장에 진출함.
- 한국 캐릭터 '뽀로로'의 음료제품은 TMALL(天猫) 수입 아동식품 음료 카테고리 1위를 기록함.
- 한중미 합작 캐릭터 '슈퍼 윙스'는 타오바오 완구류 1위를 기록했고 2017년 중국 닝보에서 개최된 중국 과자 식품박람회에 참가하며 파생상품 품목이 다양해지고 있음.
- 한중 콘텐츠연구소에 따르면 한국 토종 캐릭터 라바, 넛잡 등의 중국 시장진출이 활발함.
- 기타 해외 브랜드로는 영국의 아동만화 페퍼피그(PEPPA PIG)가 중국에서 2015년 처음 방영된 이후 300억 건 이상이 재생되며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파생상품을 시장에 유통하고 있음.
- 진티앤동만(金添动漫)은 디즈니, 울트라맨, 마루코, 도라에몽 등 수많은 외국 브랜드의 중국 시장권을 확보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해외 캐릭터 주요 브랜드
브랜드명 | 이미지 | 캐릭터 식품 사진 |
뽀로로 | |
|
슈퍼윙스 |
| |
페파피그 (PEPPA PIG) |
|
|
자료원: TMALL(天猫),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ㅇ 현재 중국은 캐릭터 식품만 취급하는 기업들은 많지 않지만, 캐릭터 파생상품업계 혹은 식품업계와 캐릭터 IP 기업 관련 업체들은 많음.
- 주로 아동 식품에 집중하며, 애니메이션이나 캐릭터를 바탕으로 식품의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킴.
- 진티엔동만(金添动漫)에 경우 상하이진티엔(上海金添)과 상하이 식품회사를 설립해 캐릭터 제작과 식품 제조, 유통까지 전부 관리함.
- 중국은 아직 토종 캐릭터보다 해외 캐릭터의 입지가 견고한 편으로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브랜드가 시장에 진출한다면 향후 성장이 기대됨.
중국 캐릭터식품 품목 주요 브랜드
브랜드명 | 브랜드 로고 | 제품 사진 |
진티엔동만 (金添动漫) |
| |
웨이누오관 (唯诺冠) | | |
빈치식품 (滨崎食品) | |
|
자료원: 요우시일보(游戏日报),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ㅇ 한국 캐릭터 제품 바이어 인터뷰
Q1. 최근 중국 소비자의 한국 캐릭터 식품 혹은 기타 상품에 대한 관심도는 어떠한가? A1. 뽀로로, 코코몽 등 한국 캐릭터들이 이미 중국 소비자에게 여러 유통 경로로 유명해진 상품은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정도로 시장은 좋으나, 기타 캐릭터는 아직 시장에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지 않다고 보아 만화영화 등 TV 및 인터넷을 통한 광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Q2. 그렇다면 중국 소비자의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는 어떠한가? A2. 중국 소비자의 한국 식품에 대한 생각은 일반적으로 품질이 중국 상품보다는 좋다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나 중국 소비자의 성향상 정치적인 문제에 민감하기에 추후 남북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방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인다.
Q3. 한국 식품을 왜 유통하기로 결정했나? A3. 중국 소비자의 소득이 증대함에 따라 안전한 먹거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수입상품 관련해서 한국과의 지리적인 접근성에 따라 한국상품이 가격 경쟁력 및 보관, 관리가 쉽다고 생각해 진행했다. |
자료원: 난징 한국 식품유통점 청은 마트 관계자 KOTRA 난징 무역관 인터뷰
□ 중국의 캐릭터 식품 유통구조
ㅇ 상위업계
- 식품의 각종 원자재 제작업체와 기술 설비업체를 포함하며 캐릭터를 직접 구상하거나 이미지 상업권을 보유하고 이를 공급함.
- 시장 트렌드, 고객 니즈를 유도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자체 제작 캐릭터를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장 디자인, 식품 디자인, 마케팅 설계 등을 진행함.
ㅇ 식품업계
- 캐릭터 IP 기업이 필수적인 원자재나 포장재 등을 외주 방식으로 제작하고자 캐릭터 이미지 사용권을 국내외 캐릭터 식품업체 또는 대리상에 제공함.
- 혹은 식품업계가 캐릭터 IP 기업으로부터 캐릭터의 이미지 권리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개발비용을 제공하고, 캐릭터 식품 혹은 상품을 제조함.
ㅇ 하위업계
- 하위업계는 캐릭터 식품을 중개방식으로 판매, 유통함으로써 캐릭터 식품산업 수익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 온·오프라인 쇼핑몰, 시장 등을 통해 전국 각지에 제품을 판매하며 판매 대리상의 역할을 함.
- 시장과 중개상의 수요를 결합해 전국 또는 지역적인 마케팅을 실시하며 직접적인 판매 이윤을 창출함.
캐릭터 식품업 유통구조
자료원: 진티엔동만(金添动漫)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의 캐릭터 식품산업은 캐릭터·라이선스 산업 내 주요 영역은 아니지만, 잠재적 발전 가능성이 크며 한국 캐릭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 유망할 것으로 조망됨.
- 특히 아동식품 분야 중 한국 캐릭터 식품과 파생상품이 중국에 진출해 성공한 사례가 존재함.
- 한국의 대표적 IP 기업 라인(LINE)의 라인 프렌즈는 중국 내에만 12개의 오프라인 스토어를 개장했으며, TMALL(天猫) 글로벌 스토어를 오픈해 다양한 캐릭터 파생상품을 판매하고 있음.
- 또한 뽀로로는 중국 거대 가구업체 중 하나인 쥐란즈지아(居然之家)와 합작해 베이징, 광저우 등 3개 도시에 뽀로로 테마파크를 설립하는 등 캐릭터 오프라인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중국에 진출한 한국 캐릭터 식품의 입지가 우수한 편이며 시장이 발전하고 있는 만큼 성장 폭이 넓은 블루오션이라는 장점이 있음.
- 유통과정도 비교적 명확한 편으로 새롭게 개척할 필요없이 일반 식품업계의 유통 과정을 바탕으로 하며, 특히 전자상거래를 다양하게 이용한다면 시장 내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음.
ㅇ 중국 내 캐릭터 식품산업에서는 식품 품질 안전과 저작권 관련 문제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
- 중국의 식품 기준은 유럽인증을 바탕으로 자국 산업에 맞게 업그레이드했으며, 오히려 유럽보다 더 까다로운 기준도 있음.
-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과자의 경우 중국의 일반 세균수 기준은 1g당 750마리 이하인 반면, 한국은 1g당 7000마리 이하로, 중국이 한국의 기준보다 무려 10배 가까이 까다로움.
- 특히 캐릭터 식품의 주력 분야인 아동 식품에 대한 식품인증제도에 주의해야 함.
- 중국은 저작권 관련 법규가 아직 체계적이지 않은 편으로 IP 보호 방법에 대해 주의할 필요가 있음.
- 중국과의 공동 애니메이션 제작이나 합작 캐릭터 개발 등이 저작권 보호 및 신시장 개척의 열쇠일 것으로 전망됨.
작성자: KOTRA 난징 무역관 최수지
자료원: 중상상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 산업정보(中国产业信息), 한국무역협회(KITA),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위챗(WECHAT), 요우시일보(游戏日报), 진티엔동만(金添动漫), TMALL(天猫), 국제특허산업협회(LIMA), KOTRA 난징 무역관 인터뷰 및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