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양수 歐陽修
玉楼春·尊前拟把归期说
尊前擬把歸期說。준전의파귀기설
술잔 잡고 돌아갈 날 말하려니
未語春容先慘咽。미어춘용선참열
고운 그대! 말도 꺼내기 전 목이 메니
人生自是有情癡,인생자시유정치
인생이란 정에 눈 먼 법
此恨不關風與月。차한불관풍여월
이 슬픔 바람도 달 때문도 아니라네
離歌且莫翻新闋。이가차막번신결
이별 노래 또 부르지 마오
一曲能教腸寸結。
한 곡에 애간장 마디마디 끊겼나니
直須看盡洛城花,직수간진락성화
모란꽃 다 보고서야
始共春風容易別。시공춘풍용이별
봄바람아! 이별 쉬우려나
玉楼春·尊前拟把归期说
尊前拟把归期说。未语春容先惨咽。
人生自是有情痴,此恨不关风与月。
离歌且莫翻新阕。一曲能教肠寸结。
直须看尽洛城花,始共春风容易别
[출처] 玉樓春 옥루춘|작성자 휴휴문주 예거울
玉樓春 歐陽修
尊前擬把歸期說, 未語春容先慘咽。
人生自是有情癡, 此恨不關風與月。
離歌且莫翻新闋, 一曲能教腸寸結。
直須看盡洛城花, 始共春風容易別。
옥루춘 구양수
존전의파귀기설, 미어춘용선참인。
인생자시유정치, 차한불관풍여월。
리가차막번신결, 일곡능교장촌결。
직수간진락성화, 시공춘풍용역별。
歐陽修(1007-1072),字永叔,號醉翁,晚號“六一居士”。[1]漢族,吉州永豐(今江西省永豐縣)人,因吉州原屬廬陵郡,以“廬陵歐陽修”自居。諡號文忠,世稱歐陽文忠公。北宋政治家、文學家、史學家,與韓愈、柳宗元、王安石、蘇洵、蘇軾、蘇轍、曾鞏合稱“唐宋八大家”。後人又將其與韓愈、柳宗元和蘇軾合稱“千古文章四大家”。
玉樓春(題上林後亭)1
風遲日媚煙光好。綠樹依依芳意早。
年華容易即凋零,春色只宜長恨少。
池塘隱隱驚雷曉。柳眼未開梅萼小。
尊前貪愛物華新,不道物新人漸老。
玉樓春2
西亭飲散清歌闋。花外遲遲宮漏發。
塗金燭引紫騮嘶,柳曲西頭歸路別。
佳辰只恐幽期闊。密贈殷勤衣上結。
翠屏魂夢莫相尋,禁斷六街清夜月。
玉樓春3
春山斂黛低歌扇。暫解吳鉤登祖宴。
畫樓鍾動已魂銷。何況馬嘶芳草岸。
青門柳色隨人遠。望欲斷時腸已斷。
洛城春色待君來,莫到落花飛似霰。
玉樓春4
尊前擬把歸期說。未語春容先慘咽。
人生自是有情癡,此恨不關風與月。
離歌且莫翻新闋。一曲能教腸寸結。
直須看盡洛城花,始共春風容易別。
玉樓春5
洛陽正值芳菲節。穠豔清香相間發。
遊絲有意苦相縈,垂柳無端爭贈別。
杏花紅處青山缺。山畔行人山下歇。
今宵誰肯遠相隨,惟有寂寥孤館月。
玉樓春 6
殘春一夜狂風雨。斷送紅飛花落樹。
人心花意待留春,春色無情容易去。
高樓把酒愁獨語。借問春歸何處所。
暮雲空闊不知音,惟有綠楊芳草路。
玉樓春7
常憶洛陽風景媚。煙暖風和添酒味。
鶯啼宴席似留人,花出牆頭如有意。
別來已隔千山翠。望斷危樓斜日墜。
關心只爲牡丹紅,一片春愁來夢裏。
玉樓春8
池塘水綠春微暖。記得玉真初見面。
從頭歌韻響錚錝,入破舞腰紅亂旋。
玉鉤簾下香階畔。醉後不知紅日晚。
當時共我賞花人,點檢如今無一半。
玉樓春9
兩翁相遇逢佳節。正值柳綿飛似雪。
便須豪飲敵青春,莫對新花羞白髮。
人生聚散如弦筈。老去風情尤惜別。
大家金盞倒垂蓮,一任西樓低曉月。
玉樓春10
西湖南北煙波闊。風裏絲簧聲韻咽。
舞餘裙帶綠雙垂,酒入香腮紅一抹。
杯深不覺琉璃滑。貪看六麼花十八。
明朝車馬各西東,惆悵畫橋風與月。
玉樓春11
燕鴻過後春歸去。細算浮生千萬緒。
來如春夢幾多時,去似朝雲無覓處。
聞琴解佩神仙侶。挽斷羅衣留不住。
勸君莫作獨醒人,爛醉花間應有數。
玉樓春12
蝶飛芳草花飛路。把酒已嗟春色暮。
當時枝上落殘花,今日水流何處去。
樓前獨繞鳴蟬樹。憶把芳條吹暖絮。
紅蓮綠芰亦芳菲,不奈金風兼玉露。
玉樓春13
別後不知君遠近。觸目淒涼多少悶。
漸行漸遠漸無書,水闊魚沉何處問。
夜深風竹敲秋韻。萬葉千聲皆是恨。
故欹單枕夢中尋,夢又不成燈又燼。
玉樓春14
紅絛約束瓊肌穩。拍碎香檀催急袞。
隴頭鳴咽水聲繁,葉下間關鶯語近。
美人才子傳芳信。明月清風傷別恨。
未知何處有知音,常爲此情留此恨。
玉樓春15
檀槽碎響金絲撥。露溼潯陽江上月。
不知商婦爲誰愁,一曲行人留夜發。
畫堂花月新聲別。紅蕊調長彈未徹。
暗將深意祝膠弦,唯願弦弦無斷絕。
玉樓春16
春蔥指甲輕攏捻。五彩垂絛雙袖卷。
雪香濃透紫檀槽,胡語急隨紅玉腕。
當頭一曲情何限。入破錚琮金鳳戰。
百分芳酒祝長春,再拜斂容擡粉面。
玉樓春17
金花盞面紅煙透。舞急香茵隨步皺。
青春才子有新詞,紅粉佳人重勸酒。
也知自爲傷春瘦。歸騎休交銀燭候。
擬將沈醉爲清歡,無奈醒來還感舊。
玉樓春18
雪雲乍變春雲簇。漸覺年華堪送目。
北枝梅蕊犯寒開,南浦波紋如酒綠。
芳菲次第還相續。不奈情多無處足。
尊前百計得春歸,莫爲傷春歌黛蹙。
玉樓春19
黃金弄色輕於粉。濯濯春條如水嫩。
爲緣力薄未禁風,不奈多嬌長似困。
腰柔乍怯人相近。眉小未知春有恨。
勸君著意惜芳菲,莫待行人攀折盡。
玉樓春20
珠簾半下香銷印。二月東風催柳信。
琵琶傍畔且尋思,鸚鵡前頭休借問。
驚鴻過後生離恨。紅日長時添酒困。
未知心在阿誰邊,滿眼淚珠言不盡。
玉樓春21
沈沈庭院鶯吟弄。日暖煙和春氣重。
綠楊嬌眼爲誰回,芳草深心空自動。
倚闌無語傷離鳳。一片風情無處用。
尋思還有舊家心,蝴蝶時時來役夢。
玉樓春22
去時梅萼初凝粉。不覺小桃風力損。
梨花最晚又凋零,何事歸期無定準。
闌干倚遍重來憑。淚粉偷將紅袖印。
蜘蛛喜鵲誤人多,似此無憑安足信。
玉樓春23
酒美春濃花世界。得意人人千萬態。
莫教辜負豔陽天,過了堆金何處買。
已去少年無計奈。且願芳心長恁在。
閒愁一點上心來,算得東風吹不解。
玉樓春24
湖邊柳外樓高處。望斷雲山多少路。
闌干倚遍使人愁,又是天涯初日暮。
輕無管系狂無數。水畔花飛風裏絮。
算伊渾似薄情郎,去便不來來便去。
玉樓春25
南園粉蝶能無數。度翠穿紅來複去。
倡條冶葉恣留連,飄蕩輕於花上絮。
朱闌夜夜風兼露。宿粉棲香無定所。
多情翻卻似無情,贏得百花無限妒。
玉樓春26
江南三月春光老。月落禽啼天未曉。
露和啼血染花紅,恨過千家煙樹杪。
雲垂玉枕屏山小。夢欲成時驚覺了。
人心應不似伊心,若解思歸歸合早。
玉樓春27
東風本是開花信。信至花時風更緊。
吹開吹謝苦匆匆,春意到頭無處問。
把酒臨風千萬恨。欲掃殘紅猶未忍。
夜來風雨轉離披,滿眼淒涼愁不盡。
玉樓春28
陰陰樹色籠晴晝。清淡園林春過後。
杏腮輕粉日催紅,池面綠羅風捲皺。
佳人向晚新妝就。圓膩歌喉珠欲溜。
當筵莫放酒杯遲,樂事良辰難入手。
[Chinese ancient poetry]
玉樓春
옥루춘
가버린 것들을 그리워하며
구양수(歐陽修, 1007-1072)
이 시들은 38세의 작가가 서쪽에 있는 서울, 즉
서경(西京)의 유수(留守)로 있다 임기가 끝난 후 돌아가
1034년 3월에 쓴 시들이다. 화려한 동네 서경(西京)은 다른 말로 낙양(洛陽)을 말한다.
우리나라 기준으로 이 시들 중 가장 유명한 시는 4번째 존전의파(尊前擬把)~이고
다른 시들은 번역된 적이 없는데 다른 시들이 더더욱 뛰어나다.
개인적으로는 9번째/14번째/15번째/22번째/24번째가 발군이다.
또 등려군(鄧麗君)의 <萬葉千聲(만엽천성)>이라는
노래 가사이기도 한 13번째 시도 있다.
11번째 시와 16번째 시는
스승인 안수(晏殊, 991-1055)의 문집에도 나오는데
11번째 시의 5번째 단어가 구양수(歐陽脩)의 경우
春[봄]이고 안수(晏殊)는 鶯[꾀꼬리]다.
스승의 시를 가져와 사용했다고 보여지는데
중국 문단 쪽에서는 조용해서 뭐라고 말하지 못하겠다.
그 2개의 시는 이런 사연과는 무관하게 매우 유명하다.
이하=동아일보|오피니언
봄날의 이별[이준식의 한시 한 수]〈204〉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입력 2023-03-17 03:00
술잔 앞에 두고 돌아갈 날 알리려는데,
말도 꺼내기 전 고운 임이 목메어 울먹인다.
인생이 원래 정에 약해서 그렇지,
이 응어리가 바람이나 달과는 아무 상관없지.
이별가로 새 노래는 짓지 말게나.
옛 곡 하나로도 애간장이 다 녹아나거늘.
낙양성 모란이나 실컷 즐기세.
그래야 봄바람과도 쉬 헤어질 수 있으리.
尊前擬把歸期說, 未語春容先慘咽.
人生自是有情癡, 此恨不關風與月.
離歌且莫翻新闋, 一曲能教腸寸結.
直須看盡洛城花, 始共春風容易別.
― ‘옥루춘(玉樓春)’ 구양수(歐陽脩·1007∼1072)
낙양에서의 임기를 마치고 수도 개봉(開封)으로 귀환하는 시인을 위해
열린 전별연. 시인이 떠날 시기를 알리려고 할 즈음 갑자기 동석한
‘고운 임’이 서럽게 울먹인다. 세파의 간난신고(艱難辛苦)를 두루 겪은
시인이 차분하게 상대를 다독인다. 이별의 아픔으로 응어리가 맺히는 건
인간이 천성적으로 다정다감해서라네. 무심한 저 청풍명월과는 하등 관련이 없지.
그래도 그 무심한 존재 때문에 우리의 이별 자리가 더 가슴 아리는 건 어쩔 수 없네.
어떻게 해야 우리가 사람과도 모란과도 또 낙양성 봄바람과도
여한 없이 이별할 수 있을까. 술도 새로운 이별가도 아니라면
이 봄날을 만끽하는 수밖에 달리 방법이 없지. 모란을 실컷 즐기고 나면
쉬 봄바람을 떠나보낼 수 있듯이, 이 순간 우리의 정을 원 없이
나누는 게 최선의 방도가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