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5 연중 제5주간 토요일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8,1-10
1 그 무렵 많은 군중이 모여 있었는데 먹을 것이 없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가까이 불러 말씀하셨다.
2 “저 군중이 가엾구나.
벌써 사흘 동안이나 내 곁에 머물렀는데 먹을 것이 없으니 말이다.
3 내가 저들을 굶겨서 집으로 돌려보내면 길에서 쓰러질 것이다.
더구나 저들 가운데에는 먼 데서 온 사람들도 있다.”
4 그러자 제자들이 “이 광야에서 누가 어디서 빵을 구해 저 사람들을 배불릴 수 있겠습니까?” 하고 대답하였다.
5 예수님께서 “너희에게 빵이 몇 개나 있느냐?” 하고 물으시자, 그들이 “일곱 개 있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6 예수님께서는 군중에게 땅에 앉으라고 분부하셨다. 그리고 빵 일곱 개를 손에 들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떼어서 제자들에게 주시며 나누어 주라고 하시니, 그들이 군중에게 나누어 주었다.
7 또 제자들이 작은 물고기 몇 마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예수님께서는 그것도 축복하신 다음에 나누어 주라고 이르셨다.
8 사람들은 배불리 먹었다. 그리고 남은 조각을 모았더니 일곱 바구니나 되었다.
9 사람들은 사천 명가량이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돌려보내시고 나서,
10 곧바로 제자들과 함께 배에 올라 달마누타 지방으로 가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해파랑길 고성 속초 양양 구간에 있는 우리 밥집에는 매일 빵의 기적이 일어납니다. 좋은 친구 수도자와 가족 일행이 기도하고 봉사하며 이 빵의 기적에 함께 합니다. 멀리 인천에서 온 오랜 친구들이 기쁨을 더합니다. 모처럼 근처 고기잡이 항구에서 그 기적의 아름다운 세상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부소치리 관상수도원 수도자들과 함께 이 아름다움의 원천이신 주님께 감사와 찬미를 드립니다.
마르꼬 복음서는 네 복음서들 가운데 가장 짧은 복음서이지만 '빵의 기적'을 두 차례나 보도하고 있습니다.(마르 6,30-44; 8,1-10) 네 복음서들이 같이 보도하고 있는 '오병이어 빵의 기적'에 이어, 빵 일곱 개로 사 천명이 배불리 먹고도 일곱 광주리나 남은 '빵의 기적'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이 두 차례의 빵의 기적 보도를 통해 마르꼬 복음서는 구마기적들과 치유기적들과 더불어 '빵의 기적'이 하느님 나라의 대표적 표지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선포하시는 '하느님 나라'는 풍요롭고 아름다운 나라임을 보여줍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그 누구도 배고픈 이웃들이 없고 모두가 배불리 먹고도 남는 풍요로운 나라. 혼인잔치처럼 기쁨이 넘치는 아름다운 나라임을 보여줍니다.
예수님께서는 굶주린 "많은 군중"을 보시고 마음 아파하시며 오늘도 빵의 기적을 일으킵니다. 예수님의 말씀대로 모두가 같이 나누어 먹을 때, 공감과 연대와 나눔으로 함께 할 때, 빵의 기적은 현실이 됩니다. 우리 가운데 하느님 나라가 실현됩니다. 공감과 연대와 나눔으로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하며 사랑을 실천하는 우리 밥집에서는 실제로 매일 빵의 기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참된 행복과 기쁨 평화와 자유 넘치는 하느님의 나라를 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빵의 기적으로 주신 빵을 골고루 나누어 먹지 못할 때, 빵의 기적은 현실이 되지 못합니다. 한강의 <괴물> 그에 먹히고 사투를 벌이는 사람들, <설국열차>의 맨 아랫칸 사람들과 맨 윗칸 사람들, <마더>의 어머니와 바보 아들과 영악한 이웃 친구들, <살인의 추억>의 쫓는 자들과 영리한 쫓기는 자들, <기생충>의 높은 곳, 반지하, 지하, 벙커에 사는 사람들. <오징어 게임>에서 살아남는 자만이 독식을 합니다. 살아남기 위해 사투를 벌이는 사람들. 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블랙 코미디와 혼란은 계속됩니다. 예수님의 빵의 기적에도 불구하고 불안과 공포는 계속됩니다. 야전병원같은 우리 밥집도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