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blog.naver.com/nsesibong/60029862896
지난 시간까지 시퀀스 제어에 대해 네 시간에 걸쳐 학습하셨는데요, 마지막에는 실제 설계 예까지 학습하셨으니 잘 아시겠죠? 이번 시간에는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는 오실로스코프에 |
이번 장의 학습 내용은 |
|
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오실로스코프 I 에 대한 학습을 시작하겠습니다. |
![]() |
다음은 실험에서 사용하는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의 판넬 그림과 각 조작장치의 판넬 그림입니다. 각 노브의 기능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시고 넘어가길 바랍니다. |
|
|
![]() |
INTENSITY |
![]() | ||
1 |
|
|||
![]() |
![]() |
FOCUS |
![]() | ||
2 |
|
|||
![]() |
![]() |
SCALE ILUM |
![]() | |
3 |
|
![]() |
POSITION |
![]() | |
4 |
|
![]() |
VERTICAL MODE |
![]() | ||
5 |
|
|||
![]() |
![]() |
VOLT/DIV |
![]() | |
6 |
|
![]() |
AC-GND-DC |
![]() | ||||
7 |
|
|||||
![]() |
![]() |
INPUT |
![]() | ||
8 |
|
|||
![]() |
![]() |
HOLD-OFF |
![]() | |||
9 |
|
![]() |
SWEEP MODE |
![]() | ||
10 |
|
|||
![]() |
![]() |
POSITION |
![]() | |
11 |
|
![]() |
HORIZONTAL MODE |
![]() | |
12 |
|
![]() |
TIME/DIV |
![]() | |
13 |
|
![]() |
VOLT/DIV |
![]() | |
14 |
|
펑션 제너레이터는 넓은 주파수 범위는 다양한 출력 파형을 제공하는 매우 |
|
|
< 그림 16-8 펑션 제너레이터 > |
![]() |
FREQUENCY |
![]() | ||
|
||||
![]() |
![]() |
AMPLITUDE |
![]() | |||
|
오실로스코프에서 가장 빈번히 이용되는 기본 측정인 전압의 기본 측정법을 |
![]() |
교류 신호에서 주기와 주파수의 관계는 역수관계 입니다. 즉,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는 말이죠 |
![]() |
|
지난 시간에는 오실로스코프의 조작과 신호 발생기의 조작, |
이번 장의 학습 내용은 |
|
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오실로스코프II 에 대한 학습을 시작하겠습니다. |
![]() |
|
- Cal에 probe를 연결하면 전압/파형이 제대로 나오는 지 측정 가능 - Function Generator에서 파형 종류(구형파, 삼각파, Sine파) 결정 가능 |
|
Function Generator가 없이 오실로스코프만 갖고 전압/파형이 제대로 나오는 지 측정할 때 Cal에 probe를 연결하면 됩니다. |
![]() |
이번에는 Function generator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볼까요? |
|
Function generator에서 다음과 같이 파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
|
|
|
|
|
위의 그림에서 5V는 측정값이 아니고 이론값입니다. 실제 측정갑은 약3.3V가 나오죠. 이렇게 이론값과 측정값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계측기 내부저항(r) 때문입니다. 즉.. |
![]() |
10M//10M 병렬이면 합성저항은 5MΩ입니다. |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회로와 동일 회로가 되죠. |
|
![]() |
이와 같이 계측기류의 내부저항이 있기 때문에 1M 이상 저항을 사용할 때에는 큰 오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
|
|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은 AC전원이 나옵니다 |
![]() |
에서 OSC로 측정 시 6Vp-p 이고 DVM으로 측정 시 2.21V입니다. |
|
![]() |
위의 파형에서 실효값을 계산해 보면 6Vp-p/2√2 ≒2.12V 가 나오죠? |
|
|
미분회로의 경유는 콘덴서쪽에 입력이 들어가고 저항쪽에 출력이 나오도록 하면 됩니다. |
![]() |
미분회로의 경우 세리믹 콘덴서를 사용하면 안됩니다. 마일러 콘덴서를 사용해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