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24 월미도를 가다.
자유인 조동화는 익산서부새마을금고 대의원수련회에 다녀오다.
버스3대로 서부금고본점앞에서 7:30출발 했으며 월미도 12:00도착, 중식은 월미도 송도횟집에서 우럭탕으로 하다.
주요 답사개소는 인천 차이나타운-월미도-인천대교-영종도 인천국제공항이었다.
☛자유인 조동화 오늘의 소감
인간의 삶이란
내 의지와 상관없이 이 세상에 왔으니 삶에 이유가 없고, 그냥 태어났으니 사는것이다.
인간의 삶이란 정답이 없는 것이 정답인 것 같다.
정답없는 인생, 내가 하고자 하는것 하면서 행복 느끼며 살면 그것이 행복아닐까 생각해본다.
나를 아는 사람들 건강하고 행복합시다.
◉차이나타운
한국과 중국의 문화가 공존하는 ‘한국 속의 작은 중국’ 차이나타운은 1884년 청국영사관이 설치된 후 중국인 2,000여 명이 현 선린동 일대로 이주하면서 형성된 곳이다.
중화가(中華街), 선린문(善隣門), 인화문(仁華門), 한중문(韓中門), 4개의 패루가 차이나타운의 경계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중국인들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는 건축물로 예부터 동네 입구에 마을의 대문을 세웠다고 합니다. 전통적으로 붉은 기둥 위에 지붕을 얹은 탑 모양이고 화려한 장식이 특징입니다. 정교하고 아름다운 장식과 화려한 채색이 시선을 잡아끄는데, 여기에는 귀신같은 부정한 것을 내쫓고 상가의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인천광역시중구청 홈페이지===
◉월미도
월미도(月尾島)는 인천광역시 중구에 속해 있는 섬이었다. 현재는 섬과 육지 사이가 간척 사업으로 메워졌기에 더 이상 섬이 아니다. 섬의 생김새가 반달의 꼬리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월미도 인천 상륙작전은 유엔군 제7 합동 상륙기동 부대의
항공모함을 포함한 미전함 “미조리”함과 순양함,구축함 등 총 261척의 함정과 연합상륙군인 미 해병 제1사단과 한국 해병 제1연대, 미 육군 제7사단과 한국 육군 제17연대로 구성하여
총병력 7만5천명으로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하였다
◉영종도
인천광역시 중구에 속한 섬. 인접한 섬들과 합쳐진 뒤로는 영종용유도라고도 한다. 월미도에서 서북쪽으로 약 2.5㎞ 지점에 있다. 본래 영종도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이며, 중앙에 솟은 백운산(256m)이 최고봉으로 북쪽으로 금산(167m)·석화산(147m) 등이 있을 뿐 평지가 많아 농경지와 취락이 분포했다. 곳곳에 있는 소규모의 만을 대부분 방조제를 축조하여
농경지와 염전으로 이용했다. 옛날에는 제비가 많은 섬이라는 뜻을 지닌 '자연도'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1992년 11월부터 인천국제공항의 부지 조성사업을 위해 인접한 용유도·삼목도·신불도 사이의 갯벌을 매립하면서 하나의 섬이 되었다.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동상 옛 영종도는 운남동에 속하며, 옛 신불도와 삼목도는 운서동, 옛 용유도는 용유동에
속한다. 2001년 3월 인천국제공항이 개항되면서 공항고속도로, 인천대교고속도로가 건설되어 수도권과 연결되었다.
면적 104.28㎢, 인구 66,762(2017).
===[Daum백과]===
◉인천대교
총연장 18.38km의 다리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길다. 6차로 고속도로인 인천대교는 바다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형식의 특수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천항의 주항로를 통과하는 구간은 주교각 사이의 거리가 800m로서 준공시점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4번째로 긴 사장교이다.
한국도로공사의 관리 아래 민간투자사업과 국가재정사업으로 병행 추진하여 건설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외국인 사업시행자가 참여한 최초의 사회간접자본 민간투자사업이다. 2005년 7월 착공하여 4년 4개월만인 2009년 10월 완공하였다.
인천대교 건설사업은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영종도와 인천경제자유구역인 송도국제도시를 잇는 최대 6차로,
총길이 21.38 km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서, 이중 황해를 횡단하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교량 구간이 인천대교로서, 그 길이는 18.38km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긴 다리이다. 바다를 건너는 구간은 민간자본투자사업으로 건설하였으며, 영종도 내 고속도로와 송도국제동시 통과 구간은 국가재정사업으로 진행하였다.
한국도로공사가 전체 사업을 총괄관리하였으며, 민간투자사업 구간에 대해서는 인천대교주식회사가 시행을 담당하였다. 2005년 7월 착공하여 2009년 10월 완공하였다.
해상구간은 사장교(1,480m), 접속교(1,778m)와 고가교(8,400m)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주항로부에 위치하는 사장교의 주경간장은 800m로 사장교 형식으로는 준공시점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4번째로 길다. 주탑의 높이는63빌딩(249m)보다 조금 낮은 230.5m로 국내에서 가장 높다. 또한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으로 추진되어 국내 최초로 사회자본 사업에 외국인이 시행자로 참여하였다.
인천대교(주)가 민간사업구간 사업비 중 약 52%인 8,2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고 완공 후 30년 동안 운영권을 가진다.
국고구간은 다양한 형식의 특수교량과 토공부 도로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교량으로서는 하이브리드 중로 아치교(213m), 스트럿이 부착된 박스 거더교(2,209m), 나비형사장교(230m) 및 엑스트라도즈교(308m)가 있다.
인천대교는 설계와 시공을 병행하는 패스트트랙(Fast Track)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초속 72m의 강풍과 진도 Ⅶ(7)의 진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주항로부에는 선박과 교량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세계최대 규모의 돌핀형
충돌방지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국내 최초로 교량의 하부구조 및 상부구조 설계에 하중ㆍ저항계수설계법(LRFD)을 적용한 것을 비롯, 세계적 수준의 최신 토목기술을 총동원하여 건설하였다.
===Daum백과===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53E4E5BD1AF6E0A)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56C4E5BD1AF710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FB64E5BD1AF7429)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1864E5BD1AF760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F3A475BD1BED21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42B4F5BD1B07E2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7CD4F5BD1B08019)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32C4F5BD1B0830B)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5494F5BD1B0860C)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CC14B5BD1B0C909)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592425BD1BE901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6F34B5BD1B0CB1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C1B4B5BD1B0CD2C)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9594B5BD1B0CF1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B694D5BD1BE552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3704B5BD1B0FB1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2714B5BD1B0FD0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B024B5BD1B0FF0A)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0224B5BD1B1023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C2D4B5BD1B10428)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1914D5BD1B1311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688435BD1B57718)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A794E5BD1BDAA1B)
무너진사랑탑-이석화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