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 류 : 국화과 허브식물 154종 학 명 :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 원산지 : 파라과이, 브라질 등 크 기 : 70~150cm, 9월 상순과 중순이 수확 적기 감미물질 : 스테비아 풍건엽에 7∼12% 스테비오 사이드 당도는 설탕의 200~300배이상 감미는 상쾌한 향, 뒷맛이 좋고 쓴맛이 없어 천연감미물질 칼로리는 설탕의 90분의 1로 낮아 저칼로리 감미료로 인정 1973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들여 왔으며 1976년에는 100∼300M/T를 일본에 건엽으로 수출하였다. 작물시험장에서 설탕 대체용 개발을 위하여 시험재배를 실시하여 육성한 품종으로는 수원 2호(감미성분 12.2%)와 수원 11호(23%)가 있다. |

스테비아 연구성과
■ 당도는 설탕의 200~300배, 항 산화작용은 녹차의 약 5~7배 - 동북 대학 농학부 ■ O-157 및 대장균, 살모네라균,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 동북대학 농학부 ■ 발암 억제, 에이즈 바이러스억제 작용 ■ 혈당치의 정상화, 칼로리가 적어 다이어트 효과 ■ 히스타민 해독 작용- 동북대학 농학부 ■ 다이옥신의 분해 작용- 주화 분석 센터 ■ 화학물질(염소) 분해 작용 ■ 니코틴의 분해 작용 - 內藤환경관리 ■ 가축의 발정촉진, 수태 율 향상 - 미야시타현 공제조합 ■ 채란 수가 적은 소는 채란 성적이 향상 - 낙농 시험장
■ 육질 개선, 소의 유용균의 증식 작용- 北일본 조합 사료 ■ 양식어의 활성 및 면역력 향상 - 카가와현 양식장 ■ 스테비아 퇴비를 이용한 문우병(뿌리썩음) 예방 - JBB스테비아 ■ 생활 쓰레기의 퇴비화 출저: 일본 JBB스테비아 | | http://www.koreastevia.com/
스테비아는 다년생의 높이1 m정도의 관목으로, 길이 2~3 cm의 잎을 가집니다. 식물학적으로는, 남미의 북부가 원옷감인 아스텔종으로서 분류됩니다만, 아만바이나 브라질과 파라과이의 국경 부근의 이그아크의 고지에 자생하고 있는 것이 볼 수 있습니다. 또,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중미, 이스라엘, 타이, 중국등에서 상업 생산되고 있습니다.
|
스테비아의 잎은 몇세기의 사이 브라질이나 파라과이의 것에 사는 선주민의 사이에 감미료로서 이용되어 왔습니다. 파라과이의 가라니인디안에서는 스테비아를 「kaa jhee」의 이름으로 불러, 전통적으로 마떼차차에 단맛을 더하는 용도에 사용해 오고 있습니다(1). 또, 마떼차차 이외의 약용차나 약용식의 감미료로 하거나 비만, 고혈압, 가슴앓이, 요산 레벨 저하 등, 약용적인 용도에 대해 강심제로서 이용되고 있습니다.(2)
|
16 세기에 스페인의 입식자가, 남미 선주민이 고대보다 허브티의 감미료로서 사용하고 있는 식물이 있다라는 통지를 스페인 본국에 보냈던 것이, 서구와 스테비아의 처음의 만남이 되었습니다. 19 세기에 접어들었을 무렵으로부터 유럽에서의 스테비아에 대한 관심은 고조를 보여 조사단이 브라질에 보내져 스테비아에 관계되어 청취 조사가 개시되어"한 장의 잎이 표주박 한 개 분의 떫은 맛이 있는 마떼차차를 달게 하는"라고 하는 표현에 상징되는 실태가 서서히 밝혀져 갔습니다.
1899년에 파라과이의 식물학자 Moises S. Bertoni에 의해 스테비아에 관한 연구 리포트가 쓰여진 것을 시작으로, 1900년 이후 동씨에 의해 스테비아에 관한 초기의 연구논문이 몇개인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그리코시드로 불리는 8 종류가 뛰어난 식물화학 성분이 발견된 후, 1931년에 스테비아의 단맛의 요인이 되고 있는 구성물질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고 있습니다(3). 이 8 종류의 그리코시드중, 스테비오시드로 불리는 성분이 가장 달다고 생각되어 스크로스(설탕)의 300배의 단맛이 있는 것이 실증 되고 있습니다(4). 스테비아의 잎에 포함되어 있는 그리코시드 중에서도 가장 양이 많은 것이, 스테비오시드로 6~18%의 함유가 있습니다(4)(5). 스테비오시드는 0.4%농도의 스크로스의 300배 , 4%농도의 스크로스의 150배,10% 농도의 스크로스의 100배의 단맛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5).
자연 감미료로서 매우 많은 관심을 갖게 되면서 부터, 스테비아는 독물 학문적인 연구도 포함해 여러가지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5). 쥐, 토끼, 몰모트, 닭을 사용한 동물 실험의 결과, 스테비오시드는 구조적으로 변화하는 일 없이 배출되는 것이 알아, 급성 독성의 연구에서는 독성이 없는것이 실증 되고 있습니다. 또, 생식 능력에의 영향이나 돌연변이 유발성, 유전적 독성도 없는 것도 확인되고 있습니다(5).
|
스테비아가 식품첨가물로서 인가되고 있는 일본과 브라질에서는, 스테비아엣센스은 안전한 논카로리 천연 감미료로서20년 이상으로 건너 넓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일본이 스테비아의 잎과 엣센스의 세계 최대의 소비국으로, 간장, 채소 절임, 과자류, 소프트 드링크 등 많은 아이템에 단맛을 더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코카콜라 등 다국적기업도 일본이나 브라질 등 스테비아가 식품첨가물로서 인가되고 있는 나라에 있어서는, 뉴 트러디셔널 스위트나 사카린의 대체 감미료로서 스테비아엣센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미국에서는 스테비아의 감미료나 식품첨가물로서의 사용은 금지되고 있습니다만, 이것은 100%내츄럴하고 한편 페턴트를 가지지 않는 염가의 스테비아가, 고가이고 한편 페턴트에 굳힐 수 있었던 기존의 합성 감미료의 시장을 빼앗는 것을 무서워한 논카로리 감미료 메이커가, 자사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서 있는 로비 활동에 의하는 것이다라는 견해가 올바른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는 스테비아는 식품 혹은 보조 식품으로서의 용도에서만 수입 판매 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 것이 현상입니다(6)(7).
|
스테비아는, 뛰어난 감미료인 것과 동시에 브라질의 허브 의료에서는 혈당치의 저하, 혈압 강하 작용, 이뇨 작용, 강장 효과 가 있다라는 생각되고 있습니다(8)-(11). 당뇨병이나 고혈압의 치료나 강심약으로서 스테비아는 이용되고 있습니다(12).
미국에서도 자연 요법사가 같은 방법으로 스테비아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용도에 대해서는, 몇개의 임상적인 시도에 의해 이미 평가되고 있습니다(13). 1996년에 발표된 쥐를 사용한 임상 실험에서는 가공하고 있지 않는 스테비아엣센스에는 혈압 효과 작용이 있는 것이 실증 되고 있어, 감미료로서의 용도보다 오메에 스테비아엣센스를 복용하면, 통상의 혈압 혹은 고혈압의 동물에 있어 혈관 확장 효과가 있는 것이 그 실험으로 알고 있습니다(14)(15).
스테비아엣센스와 분리된 그리코시드에 관한 초기의 연구에서는, 혈압 효과 작용과 함께 이뇨 작용이 있는 것도 실증 되고 있어 1991년에는 같은 브라질인 과학자에 의해 행해진 쥐를 사용한 실험에 대해 스테비아에는 전신의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이 기록되고 있습니다(16).
또, 다른 브라질 연구반은,「모든 임의 피험자에 있어, 테스트 기간중과 그 다음의 밤 아무것도 먹지 않고에 둔 후, 원형질 포도당레벨의 현저한 저하를 판단할 수 있었다」라고 보고해, 스테비아의 잎으로부터 추출한 수성 엣센스에는 혈당치를 저하시키는 작용과 인체에 있어서의 포도당허용치를 높이는 효과를 실증 하고 있습니다(17).
한편, 스테비아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그리코시드가 가지는 혈당치 저하 특성에 관해서는, 스테비올, 이소스테비올, 그르코시르스테비올의 3개의 그리코시드가 포도당생산에 작용한다, 라고 결론 짓는 리포트가 브라질에서 발표되고 있습니다(18). 스테비아의 주요 단맛 성분인 스테비오시드에는 이러한 효과가 없는 것이 알고 있습니다(18).
1978년에 행해진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는, 혈압치를 정상화하거나 심박을 정돈하거나라고 한 강심 작용이나, 그 외 심폐기능 강화의 효능에 대해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스테비아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연구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만, 지금 항상 많은 연구자들은 스테비아의 퍼텐셜에 뜨거운 시선을 계속 따르고 있습니다. (19)(20).
스테비아 활용,연구
주의 : 당웹 사이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는, 계발적 혹은 교육적인 곳을 목적으로 해 소개하고 있는 것이어, 병상의 진단, 요법의 처방, 병의 치료 등 적절한 의료 행위의 대체로서의 사용을 의도하는 것이 아닙니다. |
|
|
|
스테비아 천연물질의 이용
일본에는 스테비아 농.수.축산물과 기능성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등 소비자들에게 "스테비아"라는 브랜드로 널리 시판되고 있다. 현 국내에서도 녹차을 응용한 육류, 차, 음료등 소비자들에게 익숙해져 있는데 이 시점에서 새로운 바이오 "스테비아"를 응용해 보십시요
친환경 농업-- 토양미생물 활성화로 발근촉진- 영양분 흡수-병충해에 강해짐! -- 신선도 장기간 보존! -- 당도증진! -- 연작장해 해소! |
원 예 작 물♠ 식물의 건강 회복 → 미네랄 성분이 식물의 자양 강장 도움 ♠ 식물의 병충해 예방 → 강한 발근으로 병충해강함 ♠ 인산, 칼슘의 흡수 → 꽃 향기가 진함. ♠ 친환경 화훼→ 스테비아 먹이로 미생물 균들이 활성화 되어 농약 불필요 ♠ 꽃과 잎의 색깔이 좋음 → 스테비아에 있는 카로틴은 꽃의 색을 최대한 발휘 ♠ 개화 기간이 길어짐 → 하절기에도 생생하게 개화 |
◈ 건강보조식품 저혈당, 심혈관 : 스테비아는 혈당치, 혈압강하 작용을 조절하여 정상적 균형상태로 도움 ◈ 다이어트류 : 스테비아는 저칼로리의 열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체중감량이나 체중관리 식사요법에 이상적 ◈ 피부보호 : 스테비아는 주름살, 여드름, 피지루(seborrhea), 습진 피부염 무좀 등 치료에 효과적 ◈ 소 화 기 : 스테비아는 소화작용 및 위장기능에 도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