容齋先生集卷之十 / [散文]
秉忠奮義靖國功臣崇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漢山君贈諡胡簡公神道碑銘 幷序
公諱蓀。字子芳。姓李氏。廣陵人。曾祖諱養中。高麗刑曹左參議。我朝革命。太祖,太宗。累徵不起。祖諱遇生。司醞主簿。贈吏曹判書。考諱守哲。平安道節度使。 贈議政府左贊成。妣陽城李氏。觀察使孟常之女。夫人。益齋李文忠公六世孫。曾祖諱擔。承政院右副代言。祖諱瞦。慶尙道觀察使。考繼潘。龍驤衛攝護軍。妣成安尹氏。縣監瀚之女。公年少夫人二歲。至是。後夫人二歲卒。竝享壽八十二。嗚呼。公三十而仕。奉國五十餘年。不敢少懈。以躋崇品。夫人二十而笄。治家六十餘載。罔有一愆。永膺厚福。人咸曰難矣哉。公己卯。進士。學問之餘。又善弓馬。世祖命補宣傳官。參成宗朝原從功臣。擢庚寅文科。累轉禮曹正郞,都摠府經歷,奉常寺副正。調金海府使。由承文院判校。陞掌隷院判決事。自是。出入踐履。皆一時重任。其爲兵馬節度使者。曰忠淸,咸鏡凡兩道。爲觀察使者。曰忠淸,黃海,全羅凡三道。參近侍者再。曰弘文館副提學,承政院承旨。歷諸曹五。曰戶曹參議,禮,吏曹參判,刑,兵曹判書。聖上重興。公方判兵曹。錄勳。賜秉忠奮義靖國功臣號。超階崇政。封漢山君。未幾。拜議政府右參贊。年至請老。上命賜几杖。敦諭不許。旣而。陞左贊成。貳公弘道。朝夕台鉉。公益懼盛滿。上表乞骸骨。至再三愈懇。上賜敎書。慰勉留之。俄進階崇祿。公猶執先志。辭以疾。上不得已。遞爲判中樞府事。以漢山君就閑頤養者。凡四年而終。疾革。上命賜醫藥。訃聞。輟朝二日。官庀喪事。太常諡曰胡簡。嗚呼。公性稟寬厚。心存敬謹。其居家。事親以孝。處兄弟以友。恩育諸族。不間疏遠。疾病死喪。護救備至。常食于家者。亦不下數十人。家儲屢空。略不爲意。喜與人論說。諄諄不知倦。非疾病。未嘗一日處於內。其居官。務持大體。不事細察。至決大議。未嘗少撓。其聽訟。剔繁撮要。剖斷如神。吏莫容奸。民無隱情。其治民。寬不至縱。威不至苛。蘇羸馭梗。納之大軌。故所至必有聲績。盡可稱述。聰明之性。出於天賦。一經耳目。終身不忘。國家典故文物。以至山川道里。民情物狀。纖悉究到。凡有疑質。應答如響。無少遺失。後進者。倚以爲蓍蔡焉。旣老。與柳領相洵,安判書琛及諸老之少時同游南庠者。結爲九老會。每良辰佳節。扶携子姪。迭相往來爲娛。一世稱爲美事。夫人生而英肅。長而溫懿。父母異之曰。此女不可以儷凡子。廣陵之李。爲世巨族。節度公思惟宗祀之重。爲公擇賢冢婦。得夫人。喜曰。足以付吾家事。無憂矣。夫人上奉舅姑。旁接娣姒。下撫婢僕。曲有禮意。內外斬斬。言不踰梱。不以纖芥累君子。公之享有多祉。終始以禮者。亦夫人善承之也。旣疾。諸子請迎醫行禱。夫人曰。吾年踰八十。榮貴亦至。有何所望。竟不肯。其賢矣哉。公以正統己未十二月二十日生。正德庚辰正月二十二日卒。是年四月初四日葬。夫人以正統丁巳七月初十日生。正德戊寅二月十八日卒。是年四月二十八日葬。異墳同塋。乃廣州治東無甲山艮坐坤向之原也。生四男三女。長粹彥。登第。官至司憲府執義。人以公輔期之。未四十而歿。次純彥。內資寺副正。次溫彥。有才名。未第而夭。次誠彥。登第。參靖國勳。以水原府使罷。女長適成允祖。登第。終漢城府右尹。次適權肩。終司憲府監察。次適申儼。登第。終軍資監正。側室子方山。忠佐衛司果。執義有子曰經。掌隷院司議。曰緯。司憲府監察。副正有子曰綱。陰竹縣監。曰紀。登武科。鐵山郡守。內外孫總七十八人。嗚呼。積善之報。寧有艾耶。銘曰。
孰培其根。而枝不繁。欲流之長。在濬厥源。廣陵之先。是謂德門。參議高蹈。匪時之屯。不食其報。以遺後昆。其人伊何。爲世達尊。其配伊何。益齋之孫。二大相偶。犀帶魚軒。衆人所矜。公戰以兢。保有令聞。禮備數登。我公之德。夫人是承。我公之福。夫人與膺。曰子曰孫。繼繼繩繩。刻石墓左。來者有徵。
.................................
경기광주-한산군 호간공 이손(漢山君 胡簡公 李蓀),수군절도사 이소(李昭)
구름에 달
by 碧巖 2017. 4. 3. 22:38
본문
댓글달기
한산군 호간공 이손(漢山君 胡簡公 李蓀)
광주시 기념물 제호
경기도 광주군 초월읍 신월리 山22-1
재실 한산재
한산군 호간공 이손영정
묘지석---
漢山府院君 第十八代 宗孫 李昌喜씨 안내로 한산재(漢山齋)로 들어가
이손 선생의 배위 경주이씨 묘지명이 적힌 백자(白瓷) 도자(陶磁)4매를 친견.
止亭公 南袞 撰 지정공 남곤 찬 (1471년(성종 2년)~1527년(중종 22년)]
東皐公 金魯 書 동고공 김로 서 (1498~1548)
묘지명은 뒷면에 有明朝鮮國 秉忠奮義靖國功臣 崇祿大夫 漢山君 李蓀 妻 貞敬夫人 李氏之墓
유명조선국 병충분의정국공신 숭록대부 한산군 이손 처 정경부인 이씨지묘
한산각
이손(李蓀) 神道碑
⦁소 재 지 : 경기도 광주군 초월읍(草月邑) 신월리(新月里) 山22-1
⦁건립연대 : 1520年(중종 15)
⦁찬 자 : 이행(李荇)
⦁서 자 : 김희수(金希壽)
⦁비 규 모 : 총고 267cm, 비고 164cm, 폭 70cm, 후 22cm
⦁서자경(書字徑) : 전자(篆字) 13.0cm, 음기(陰記)3.0cm
⦁비재질(碑材質) : 이수(螭首)·비신(碑身) : 대리석, 대석 : 화강암
1520년에 건립된 이 비는 귀부이수(龜趺螭首)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이수 앞면에는 용 두 마리가 가운데의 여의주를 마주 올려다 보고 있는데 운문(雲紋)에 감싸여 있고,
뒷면도 동일하며, 측면에는 용 꼬리와 운문이 있다.
귀부는 거북머리가 앞을 직시하고 목의 주름이 굵게 하나가 접혀 있으며,
앞ㆍ뒤 다리는 몸통에 부조형태로 각(刻)하여 붙였고, 꼬리도 왼쪽으로 들어 올렸다.
조선 중기에 건립된 비좌하엽(碑座荷葉)의 묘표가 각각 1기씩 있으며
조선 중기에 제작된 정경부인 경주이씨의 묘지석(묘지석) 4편은
남곤(남곤)이 묘지명을 지었으며, 김노(金魯)가 백자(白磁) 편에 글씨를 썼고,
묘소 입구에는 고덕재(高德齋)가 있다.
李蓀이손 1439년(세종 21) ~ 1520년(중종15)
李蓀이손 1439년(세종 21) ~ 1520년(중종15)
본관은 광주(廣州). 字는 자방(子芳).
형조좌참의 이양중(李養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우생(李遇生)이고,
아버지는 평안도절도사 이수철(李守哲)이며,
어머니는 관찰사 이맹상(李孟常)의 딸이다.
⦁1459년(세조 5)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학문은 물론 활쏘기·말타기를 잘 하여 왕명으로 선전관이 되었다.
1470년(성종 1)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조정랑·도총부경력(都摠府經歷)을 역임하고,
김해부사·판교(判校)를 거쳤다.
⦁1492년 장례원판결사, 이어 충청도·함경도절도사, 충청도·황해도·전라도관찰사, 부제학·우부승지를 지냈다.
1504년(연산군 10) 한성부좌윤·우윤, 이조·예조참판을 거쳐, 형조·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506년(중종 1) 중종반정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 3등으로 한산군(漢山君)에 봉하여지고, 우참찬으로 승진하였다.
⦁1508년 좌참찬 재임시 재덕(才德)이 없고 늙음을 핑계로 치사(致仕)를 요청하였으나
궤장(几杖)을 하사받고 그대로 유임되었다. 그 뒤 우찬성·좌찬성을 역임하고,
⦁1512년 일본의 화호(和好) 요청을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1513년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에 진봉되고 판중추부사를 지냈다.
만년에는 영의정 유순(柳洵), 판서 안침(安琛) 등
남학(南學)의 친우들과 구로회(九老會)를 만들어 서로 왕래하며 즐겼다.
諡號는 호간(胡簡)이다.
<가계 >
고조부 순천부사 이방귀(李方貴)
증조부 형조참의 이양중(李養中)
조부 증 이조참의 이우생(李遇生)
부친 평안도절도사 한원군 이수철(韓原君 李守哲)
장남 한산군 호간공 이손(漢山君 胡簡公 李蓀)
손자 이순언(李粹彦)
증손자 이경(李經)
손자 이순언(李淳彦)---이강(李綱)--이준인(李遵仁),--이준의(李遵義)--한천군(漢川君)
차남 수군절도사 이소(李昭)
손자 이창언(李昌彦)
증손자 이제(李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