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1달러 157엔에 육박했지만 연말까지 달러 강세-엔저가 크게 진행될 가능성은 낮다고 할 수 있는 이유 [국제금융 애널리스트가 고찰] / 11/19(화) / THE GOLD ONLINE
트럼프 랠리의 영향으로 1달러 157엔에 육박한 지난주의 '미국 달러/엔'. 그러나 앞으로는 이 시기 특유의 연말에 걸친 엔 매도 포지션 조정이 영향을 미쳐 엔고 추세로 나아갈 가능성이 있다고 요시다 히사시 마넥스증권 수석 FX컨설턴트는 말합니다. 그 근거와 향후의 미국 달러/엔의 전개를 살펴봅시다.
◇ 11월 19일~11월 25일 'FX투자전략' 포인트
〈포인트〉
・지난주의 미국 달러/엔은 157엔 가까이까지 한 단계 상승했지만, 금요일에 크게 반락했다. 이 시기 특유의 연말에 걸친 엔 매도 포지션의 조정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있음.
・트럼프 씨의 대선 승리 영향을 받은 미 달러화 강세가 8년 전의 '트럼프 랠리'만큼 오래가지 못하고 이미 끝나가고 있을 가능성에도 주목.
・그 경우, 미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 마감의 미 달러 약세·엔고에의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부터, 이번 주의 미 달러/엔은 151.5~156.5엔으로 상정한다.
◇ 지난주 금요일 미달러화 급반락
지난주 미국 달러/엔은 그동안의 최고치를 경신하여 157엔 가까이까지 한 단계 상승했습니다. 단지 금요일은 일전해, 최대로 3엔 가까운 큰폭의 반락이 되었습니다(도표 1 참조). 이날은, 주목받은 미 10월 소매 매상고 등도 오히려 예상보다 강한 결과를 보이는 등, 미 금리 상승, 미 달러 매수에 반응할 만한 재료가 있었습니다. 한편, 특별한 미국 달러 매도 재료가 있었던 모습도 없는 가운데, 왜 미국 달러의 대폭 반락이 되었을까요.
미 달러/엔과 일미 금리차의 관계를 세세하게 보면, 155엔을 크게 미 달러/엔이 웃돈 움직임은 「지나치다」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도표 2 참조). 그 의미에서는, 지나친 미 달러 강세·엔저의 수정이 금요일에 퍼진 것으로, 미 달러/엔이 크게 반락했을 가능성은 있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 주목받은 것은 포지션 조정의 영향입니다.
과거 2년 연속으로, 11, 12월은 2개월 연속으로 미 달러 음선(미 달러 약세)이 되었습니다(도표 3 참조). 이것을 가져온 주된 원인은, 연말에 걸친 미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의 손끝이었다고 저는 생각해 왔습니다.
과거 2년 모두, 10월말부터 11월에 걸쳐 대폭적인 미국 달러 강세·엔저가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외환시장에서는 미국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이 크게 쌓였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 포지션의 이익을 확정하는 움직임이 연말에 걸쳐 퍼져, 그것이 2022년의 경우는 약 20엔의 것, 그리고 2023년도 약 10엔의 비교적 큰 미국 달러 약세·엔고를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었습니다(도표 4 참조).
이 경우에 중요하게 되는 것은, 연내의 미국 달러 강세·엔저의 판별입니다. 미국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의 입장에서 보면, 조금이라도 미국 달러/엔이 높은 곳에서 이익을 확정하고 싶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반대로 연내의 미 달러 강세·엔저가 일단락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 같으면, 크게 미 달러/엔이 내려가기 전에 이익 확정을 서두르게 됩니다.
2024년의 경우, 여름철에 미국 달러/엔이 급락한 것으로부터, 과거 2년 정도 미국 달러 매수·엔 매도 전략은 큰 이익을 가져오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데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의 트럼프의 승리를 받은 미 달러화 강세·엔화 약세는 연내 마지막 승부처로 자리잡아 과거 2년 정도는 아니더라도 미 달러화 매수·엔 매도 포지션이 확대되고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이 미국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은, 연내 미국 달러 강세·엔저가 160엔까지 진행된다면 더욱 확대되겠지만, 거기까지 도달하지 않고 미국 달러 강세·엔저가 끝날 것 같으면, 이익 확정을 서두르게 될 것입니다. 지난 금요일, 특별한 미 달러 매도 재료가 있었던 것도 아니고, 예상보다 강했던 미 소매 매상고등의 재료를 무시하는 것처럼 미 달러 매도·엔 매수가 퍼진 것은, 조금이라도 미 달러/엔이 높은 사이에, 미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의 이익 확정을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 강해진 영향이 컸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번 주의 주목점=엔 매도 포지션 마감이 열쇠
미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의 손익 확정 움직임을 생각하는데 있어서 주목되는 것은, 트럼프씨 승리를 받은 미 금리 상승·미 달러 강세가 아직 계속되고 있는지의 판별일 것입니다. 미 달러 강세가 아직 계속되고 있다면, 미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은 유지되겠지만, 끝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면, 조금이라도 미 달러/엔이 높을 때 이익 확정을 노리는 움직임이 미 달러/엔의 상한가를 억제하게 될 것입니다.
8년전의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의 트럼프 씨 승리 영향을 받은 미 금리 상승·미 달러 상승의 「트럼프·랠리」는 12월 상순에 걸쳐 약 1개월 계속되었습니다(도표 5 참조).
이 때는 개표가 진행되는 가운데 트럼프 당선인이 승리할 것 같아 처음으로 금리 상승·미국 달러화 강세 등을 전망한 '트럼프 트레이드'가 본격화됐기 때문에, 그것이 약 1개월이나 계속된 것은 아닐까요.
반면 이번에는 선거 때부터 '트럼프 트레이드'가 큰 화제가 되고 있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미 '트럼프 트레이드'는 상당히 소화돼 있어 정식 승리 확정 후 확대될 여지는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견해대로라면, '트럼프·트레이드'의 영향을 받은 연내의 미 달러 강세·엔화 약세는 거의 끝날 가능성조차 있기 때문에, 미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은 더욱 확대되기보다, 그 수단에 의한 미 달러 약세·엔고에의 영향이 주목된다고 생각됩니다.
대표적인 투기꾼인 헤지펀드들은 120일 MA(이동평균선)가 매매 전환점의 기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발밑의 그것은 151.2엔이므로, 미 달러/엔이 151.2엔을 깨지게 되면, 미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의 손익 확정 매도는 가속할 가능성도 나옵니다(도표 6 참조).
이상을 바탕으로 이번 주 미국 달러/엔의 예상 범위를 생각해 봅시다. 나는 이미 연내의 미국 달러 강세·엔화 약세는 끝났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한편으로 152엔이 깨지면 미국 달러 매수·엔 매도 포지션의 마무리가 가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번 주 예상 레인지는 151.5~156.5엔으로 상정합니다.
요시다히사시 / 마넥스 증권 / 치프 FX 컨설턴트 겸 마넥스 유니버시티 FX 학장
본연재에 기재된 정보에 관해서는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만, 내용을 보증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본 연재의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를 나타낸 것으로 필자가 소속된 기관, 조직, 그룹 등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 아닙니다. 본연재의 정보를 이용한 결과에 의한 손해, 손실에 대해서도, 필자 및 본연재 제작 관계자는 일절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은 본인 책임으로 부탁드립니다.
요시다히사시
https://news.yahoo.co.jp/articles/7ee8a7b5e610a7b5453a43041a4d564df8278fca?page=1
一時「1ドル157円」に迫ったが…年末にかけて「米ドル高・円安」が大きく進む可能性は低いといえるワケ【国際金融アナリストが考察】
11/19(火) 6:02配信
13
コメント13件
THE GOLD ONLINE(ゴールドオンライン)
(※画像はイメージです/PIXTA)
トランプ・ラリーの影響により、1ドル157円に迫った先週の「米ドル/円」。しかし、今後はこの時期特有の年末にかけての円売りポジションの調整が影響し、円高傾向に進む可能性がある、とマネックス証券・チーフFXコンサルタントの吉田恒氏はいいます。その根拠と、今後の米ドル/円の展開をみていきましょう。
【画像】「30年間、毎月1ドルずつ」積み立て投資をすると…
11月19日~11月25日の「FX投資戦略」ポイント
<ポイント>
・先週の米ドル/円は157円近くまで一段高となったが、金曜日に大きく反落した。この時期特有の年末にかけての円売りポジションの調整が影響した可能性あり。
・トランプ氏の大統領選挙勝利を受けた米ドル高が、8年前の「トランプ・ラリー」ほど長く続かず、すでに終わりつつある可能性にも注目。
・その場合、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手仕舞いの米ドル安・円高への影響が大きくなることから、今週の米ドル/円は151.5~156.5円で想定する。
先週金曜日に米ドル/円が急反落
1
/
4
[図表1]米ドル/円の日足チャート(2024年9月~) 出所:マネックストレーダーFX
先週の米ドル/円はこの間の高値を更新し、157円近くまで一段高となりました。ただ金曜日は一転して、最大で3円近くもの大幅な反落となりました(図表1参照)。この日は、注目された米10月小売売上高などもむしろ予想より強い結果となるなど、米金利上昇、米ドル買いに反応しそうな材料がありました。一方で、特段の米ドル売り材料があった様子もないなかで、なぜ米ドルの大幅反落となったのでしょうか。
米ドル/円と日米金利差の関係を細かくみると、155円を大きく米ドル/円が上回った動きは「行き過ぎ」だった可能性があります(図表2参照)。その意味では、行き過ぎた米ドル高・円安の修正が金曜日に広がったことで、米ドル/円が大きく反落した可能性はあったでしょう。そしてもう1つ注目されたのは、ポジション調整の影響です。
過去2年連続で、11、12月は2ヵ月連続で米ドル陰線(米ドル安)となりました(図表3参照)。これをもたらした主因は、年末にかけての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の手仕舞いだったと私は考えてきました。
過去2年とも、10月末から11月にかけて大幅な米ドル高・円安となりました。このため為替市場では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が大きく積み上がったと考えられました。そのポジションの利益を確定する動きが年末にかけて広がり、それが2022年の場合は約20円もの、そして2023年も約10円の比較的大きな米ドル安・円高をもたらした可能性がありました(図表4参照)。
この場合に重要になるのは、年内の米ドル高・円安の見極めです。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の立場からすると、少しでも米ドル/円が高いところで利益確定したいと考えるでしょう。逆に年内の米ドル高・円安が一段落した可能性がありそうなら、大きく米ドル/円が下がる前に利益確定を急ぐことになります。
2024年の場合、夏場に米ドル/円が急落したことから、過去2年ほど米ドル買い・円売り戦略は大きな利益をもたらさなかった可能性があります。それでも、米大統領選挙でのトランプ氏の勝利を受けた米ドル高・円安は、年内の最後の勝負所と位置付け、過去2年ほどではないにしても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が拡大していたと考えられます。
この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は、年内米ドル高・円安が160円まで進むならさらに拡大するでしょうが、そこまでに達することなく米ドル高・円安が終わりそうとなったら、利益確定を急ぐことになるでしょう。先週金曜日、特段の米ドル売り材料があったわけでもなく、予想より強かった米小売売上高などの材料を無視するように米ドル売り・円買いが広がったのは、少しでも米ドル/円が高いうちに、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の利益確定を目指す動きが強まった影響が大きかった可能性があります。
今週の注目点=円売りポジション手仕舞いが鍵
1
/
2
[図表5]米ドル/円と日米10年債利回り差(2016年~2020年) 出所:リフィニティブ社データよりマネックス証券が作成
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の損益確定の動きを考えるうえで注目されるのは、トランプ氏勝利を受けた米金利上昇・米ドル高がまだ続いているのかの見極めでしょう。米ドル高がまだ続いているなら、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は維持されるでしょうが、終わった可能性があるとみたら、少しでも米ドル/円が高いうちに利益確定を狙う動きが米ドル/円の上値を抑えることになるでしょう。
8年前の2016年、大統領選挙でのトランプ氏勝利を受けた米金利上昇・米ドル高の「トランプ・ラリー」は12月上旬にかけて約1ヵ月続きました(図表5参照)。
このときは開票が進むなかでトランプ氏が勝利しそうとなって初めて金利上昇・米ドル高などを見込んだ「トランプ・トレード」が本格化したので、それが約1ヵ月も続いた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
これに対して今回は、選挙中から「トランプ・トレード」は大きな話題となっていました。その意味ではすでに「トランプ・トレード」はかなり消化されており、正式な勝利確定後に拡大する余地は限られる可能性もあります。この見立て通りなら、「トランプ・トレード」の影響を受けた年内の米ドル高・円安はほぼ終わりの可能性すらあるため、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はさらに拡大するより、その手仕舞いによる米ドル安・円高への影響が注目されると考えられます。
代表的な投機筋であるヘッジファンドは、120日MA(移動平均線)が売買転換点の目安になっていると見られています。足下のそれは151.2円なので、米ドル/円が151.2円を割れそうになると、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の損益確定売りは加速する可能性も出てきます(図表6参照)。
以上を踏まえ、今週の米ドル/円の予想レンジを考えてみましょう。私はすでに年内の米ドル高・円安は終わった可能性もあると考えており、一方で152円を割れると米ドル買い・円売りポジションの手仕舞いが加速する可能性があるため、今週の予想レンジは151.5~156.5円で想定します。
吉田 恒
マネックス証券
チーフ・FXコンサルタント兼マネックス・ユニバーシティFX学長
※本連載に記載された情報に関しては万全を期していますが、内容を保証するものではありません。また、本連載の内容は筆者の個人的な見解を示したものであり、筆者が所属する機関、組織、グループ等の意見を反映したものではありません。本連載の情報を利用した結果による損害、損失についても、筆者ならびに本連載制作関係者は一切の責任を負いません。投資の判断はご自身の責任でお願いいたします。
吉田 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