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디터백성호
#궁궁통1
일제 강점기 때
김일성은 나라 밖에서
공산주의 운동을 하다가
1945년 9월 18일에
들어왔습니다.
김일성이
가장 먼저 찾은 곳은
고향이었습니다.
김일성의 고향은
‘104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의
고향에서
그리 멀지 않았습니다.
마침 김 교수는
일본 유학에서 돌아와
평양 부근의
송산리 고향 집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김일성의 아버지는
동네의 여러 청년을 불러서
자신의 집에서
조찬 모임을 마련했습니다.
나라 밖에서
막 돌아온
김일성에게
국내의 이런저런 사정을
들려주려는
목적이었습니다.
일본에서 막 돌아온
젊은 김형석도
초청을 받았습니다.
일본 유학에서 돌아왔으니
보고 배운 것이
많을 것이라는 이유였습니다.
그날
김형석 교수는
김일성의 집에서
아침 밥상을 앞에 두고
김일성과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궁궁통2
김형석 교수는
당시 상황을
이렇게 기억했습니다.
“그때 나는
스물다섯 살이었다.
김일성은 나보다
여덟 살 위였다.
게다가 나와 같은
초등학교 선배였다.”
그 자리에서
김형석은 김일성에게
물음을 던졌습니다.
“이제 우리나라가
해방됐는데
앞으로
우리가 무엇을 하면
좋겠습니까?”
그러자
김일성은
기다렸다는 듯이
대답했습니다.
“첫째 친일파 숙청,
둘째 전 국토의 국유화,
셋째 모든 산업시설의 국유화….”
김일성은 그렇게
6가지를,
암기하고 있는 걸
오차 없이
풀어내듯이
줄줄 이야기했습니다.
그걸 본
김형석 교수는
이렇게 생각했다고
했습니다.
“마치 초등학생이
숙제 외운 걸
줄줄 읊듯이 하더라.
아, 저렇게
기계적으로 공식을 외우듯이
자신 있게
말하는 사람들이
공산당원이구나.”
김 교수는
그때 그렇게
느꼈다고 했습니다.
거기에는
고민의 공간,
고뇌의 여백이
별로 보이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김형석 교수의
대학 직속 후배가
김수환 추기경입니다.
김 교수는
일본 조치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습니다.
조치대학은
가톨릭 계열의 대학입니다.
크리스천인 김 교수가
조치대학에 간 데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김수환 추기경은 가톨리과 개신교의 차이점을 내세우지 않았다.
대신 두 종교가 향하는 진리의 끝을 공유했다.
그래서 김형석 교수와 대화가 잘 통했다.
다른 기독교 계열 대학은
신학만 강한데,
조치대학은
신학을 비롯해
철학이나 역사, 문학 등
인문학적 전통이 두루 강하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조치대학에는
한국에서 유학 온
가톨릭 신부들도
여럿 있었습니다.
같은 한국인이라
몇 차례 어울리기도 했지만
그때마다 김 교수는
서로의 차이만
확인했다고 했습니다.
“그분들은 주로
가톨릭 교리를 앞세워서,
개신교와의 차이점을
이야기했습니다.”
그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때마다
중간에는
‘차이의 강물’이 흘렀다고
했습니다.
반면에 갓 입학한
김수환 추기경과 만날 때는
아주
달랐다고 했습니다.
“김수환 추기경은
교리를 앞세우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분은
진리를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니
저하고는 이야기가
너무 잘 통했습니다.”
김수환 추기경과
대화를 나눌 때는
둘 사이에
‘공감의 강물’이 흘렀다고
했습니다.
#궁궁통4
진리를
찾아가는 길에서
인간은 늘
고뇌합니다.
고민하고
좌절하고
실패도 하고
다시 일어서기도 하면서
앞을 향해 나아갑니다.
그것이
진리를 찾아가는 길에서
수도자가 겪는
수도의 여정이기도 합니다.
김형석 교수는 "신앙의 대상이 교리가 되면 곤란하다.
신앙의 대상은 진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거기에는
어김없이
고뇌의 여백,
궁리의 공간이 있습니다.
그런데
진리가 아니라
진리로 포장된
교리를 믿는 이들은 다릅니다.
그 사람들은
고뇌하지 않습니다.
절망하지도 않고,
좌절의 문턱에서
자신을 돌아보지도
않습니다.
마치
수학의 공식처럼
교리나 이론을
진리라고 믿으며
단호하게
자신의 믿음을
피력합니다.
저는 그게
이데올로기라고
생각합니다.
김일성이
아침 밥상에서
강변했던 6가지의 공식도
실은
이데올로기입니다.
조치대학에서
가톨릭과 개신교의 차이점을
딱딱 짚어가며
차이를 이야기하던
사제들의 믿음도
알고 보면
일종의 이데올로기입니다.
그런데
진리를 향하는 길에서
이데올로기는
그저
손가락에 불과합니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 말입니다.
종교는
늘
이데올로기화할 수 있는
본질적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달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손에 잡히지도 않는 데 반해,
손가락은
눈에도 보이고
손에도 쉽게 잡히기
때문입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자신의 내면보다
바깥에 집중하는 사람들이
손가락을 거머쥐는
성향이 더 강한 듯합니다.
그러니
달을 찾는 사람이라면
잊지 말아야 하겠지요.
길은
바깥이 아니라
내 안에 있다는 걸
말입니다.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