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에 맞서 캐나다, 미국산 차량·부품에 25% 관세
3월 정규직 감소폭 2021년 이후 최대…시장 불안감 확산
강세 돌아선 환율에 수입가 상승…중앙은행 딜레마 커져
미국 정부의 관세 확대 조치 이후 금융시장이 급속히 얼어붙으며, 캐나다 중앙은행은 올해 정책금리를 0.75%포인트 더 내릴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통계청은 3월에만 정규직 6만2,000개가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1년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금리 인하 기대는 높아졌지만, 동시에 물가 상승 우려도 커지면서 중앙은행이 신중한 접근을 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마크 카니 자유당 대표는 미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기존의 철강·알루미늄 등 600억달러 규모 보복관세에 이어 추가 조치를 단행한 것이다. 다만 캐나다 정부는 소비자 물가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대응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금리 선물 시장은 오는 4월 16일 예정된 중앙은행의 차기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하될 가능성을 약 50%로 반영하고 있다. 불과 며칠 전만 해도 해당 가능성은 30%대에 머물렀다.
한편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3일 ‘해방의 날’이라며 전 세계 국가에 보복 관세를 발표했으나, 캐나다는 신규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에 대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캐나다 달러 환율은 관세 대응 이후 강세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수입 비용 상승 압력이 다소 완화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카니 대표는 미국이 향후 목재, 의약품, 구리 등 제품에 추가 조치를 취할 경우, 캐나다도 대응 여력이 있다고 밝혔다. 현재 캐나다는 미국 최대 무역 파트너로서, 미국의 경제 상황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최근 경기 둔화와 무역 변수로 인해 금리 인하 압박을 받고 있으나,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능성까지 감안해야 하는 복합적인 상황에 놓여 있다. 금리 정책을 둘러싼 고민이 더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