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 { 1 , 2 , 3 , 4 ,5 }
B = { 1 ,5 }
여기서 전체집합은 = { 1 , 2 , 3 , 4 , 5 , 6 } 이에요
(A-B)c 을 구하여라.
여기서 A-B를 구하면 {2 , 3 , 4} 가 됩니다
즉 여집합을구하면 1, 5 , 6 이 됩니다
여기서 궁굼한게 있는데여 . A-B를 해서 나온결과 를 A 라고 생각해서 전체집합에대한 여집합을 구하는건가요?
음 설명좀부탁드려요,
A에 대한 B의 차집합 이 다라는것은 A -B 라는거죠 음 설명좀해주세요
쉽게 드립니다.
[2]
부분집합은
A 의 원소가 B의 모두 포함되어 있다는 말이 잖아요,
여기서 진부분집합은 무엇을 의미하는거죠
그냥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해서 자기자신을 제외한다 이게 뜻인가요 전 이해가 안가요.
A가 1,2,3
B가1,2 일때요
B 는 A 에 부분집합이다
A와B는 서로같지 않다 일때 진부분집이다 라구 는 그냥 이해가 안가요
왜그러는지좀 차근차근좀 설명좀해주세요.
첫댓글 1. 말 그대로 괄호 속에 해당하는 것을 골라서 전체에서 뺀다가 답이 되겠죠. 2번은 생각하는 바대로 부분집합을 다 구해봤을 때 자기자신과 같은 것은 제외한다입니다. B는 A의 부분집합 속에 같은 것이 있다 + A와 B는 같지 않다 ....
드라콘님 여기서 진부분집합은요 A 의 원소는 B의 부분집합이지만 둘이는 서로 같지 않다 라는 의미는요. A가 B의 원소를 절대로 가질수 없다는것을 의미하나요? 만약 B의 원소가 1,2 를 가지고 있으면 부분집합의 개수는 4개이니 자기자신을 제외하고 3개 인가요? 여기서 한가지더 A={1,2} 여기에 진부분집합을 구하라는 의미는 A라는 부분집합이 될수 있는거중에 A와 서로 다르게 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기자신을 뺀다는 의미가 아닌가요? 좀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