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정도 된 단독주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저희집이 2층에 살고 아래층이 여러가구로 되어 있어서 전세와 월세를 주고 있습니다.
어제 전세살고 있는 집의 보일러가 문제가 있어서 A/S기사를 불러서 수리했습니다.
15만원 정도 들었습니다.
집사람이 또 화가 났습니다.
월세 받아서 수리비 충당하고 세입자들 요구를 일일이 들어주느라고 신경도 엄청 쓰이고 짜증을 엄청내더군요
얼마전 뉴스기사에서 도시 근로자들이 월급 200만원 정도 받아서 50만원을 월세로 지급하면
생활에 너무 부담이 되고 집주인도 건물 건축비, 공실율 계산하면 돈이 안된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저희 집은 30년이나 된 집이라 월세를 50만원의 절반수준밖에 받지 못합니다.
얼마 받지 못하는 월세에서 수리비를 빼면 별로 남는 것이 없습니다.
오히려 세입자들 요구가 많아서 집사람 스트레스 받은 것을 인건비로 계산하면 정말 돈이 안되는 경우가 되겠지요
어제 보일러를 고쳐준 집은 전세를 사는 집이니 저희집 입장에서는 오히려 손해가 나는 케이스 이지요
원룸 건축을 하였다가 오히려 손해를 보았다는 기사도 많이 보았는데 사실일 겁니다.한달에 월세로 50만원을 내는 세입자는 생활비에 부담이 되고 주인은 건물감가상각, 관리비, 공실율 계산하면
오히려 손해가 나는 것이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현실인 것 같습니다.
전세가 세입자 입장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제도이지만 집주인 입장에서는 자선사업이나 마찮가지이고
월세는 세입자도 부담되고 집주인은 투자대비 수익율이 은행이자에 비하여 마이너스이고
현재 월세가 세입자입장에서는 부담이 되겠지만 현재의 월세 수준으로는 공공임대주택이 공급되지 않는한민간에서는 공급될 수 없다고 봅니다.
지금까지는 월세가 투자비용 대비 은행이자보다 낮아도 부동산 가치 상승분이 그 차액을 보상해 주었지만
앞으로는 그런 보상이 없기 때문에 감가상각, 공실율, 관리비 등을 감안한
순수 임대료수익이 은행이자만큼 나와야 합니다.
집값이 조금 더 내리고 월세는 조금 오르고 은행 이자율도 조금 더 내리면 어느 시점에서 평형점을 찾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단독주택이 신경이 너무 쓰여서 집사람과 아파트로 이사가는 것도 여러번 알아 보았습니다.
그런데 노후화된 아파트는 노후화된 단독주택보다 훨씬 골치가 아프다는 것을 보고 집사람이 먼저 포기하더군요
노후화된 아파트가 왜서 골치가 아픈지는 이 까페 회원분들은 잘 아실 터이니 생략하겠습니다.
첫댓글 아파트는 노후화 되어도 집 수리하는데는 공동구에 모든 배관과 전선이 연결되어 있어 단독보다는 수월하고 돈도 덜 들지요... 다만 전면 리모델링 하거나 재건축논의시 개개인의 경제성 샘법이 다 달라서 절대 다수의 동의를 받는게 어렵운 것이지요... 그리고 세를 줘서 손해가 난다면 누가 집을 사서 세를 놓겠습니까? 세를 놓을 주택이 절대적으로 적어지면 세는 당연히 올라가게 되지요( 뭐 정부가 대량으로 싼 공공 임대주택을 대량으로 공급한다면 달라지지만)
본인의 직장이 부득이 제주도로 이전하게 되어 제주도 세 시세를 알아보니 제주도에서는 당연히 전세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되고 거의 거래 되는 것은 보증금 1,000만원에 1년치 월세를 한꺼번에 내는 년세로 내는데 서귀포 혁신도시 LH 1블럭 신축 아파트 30평형(34평이 아니고 30평의 신축 분양가는 1억9천만원대, 34평 분양가는 2억 2천만원대) 아파트의 월세가 년세로 1,200만원 정도로 서귀포시 기준으로 거래되고 제주시 노형동은 년세로 1,500만원 이상으로 거래가 되더군요... 거래 시세는 각종 제주도 부동산 직거래 장터 까폐에 가시면 알 수 있고요...
@sunj 저도 처음에는 웬 제주도에서도 후진 서귀포시의 월세가 수도권 보다도 저렇게 비싼가 했더니 월세가 싫으면 본인이 살 집을 새로 건축하던지 건축 할 수 없다면 비싼 월세를 선택 할 수 밖에 없는 곳이더라구요... 결국은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이외 지역도 집주인도 바보가 아닌이상 전세 보증금은 점점 낮아지고 월세로 정착이 된다는 것인데 이때도 살기가 불편한 단독 구옥은 세입자가 기피하게 되고 신축 아파트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공급이 부족하면 월세는 많이 올라 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이지요...
@sunj 그레서 본인은 혁신도시 이주 직원에게 우선적으로 공급권을 주는 25평 임대후 분양 아파트를 선택했는데 이것도 LH 가 공급한 월세가 보증금 2,500만원에 월세가 44만원으로 계약을 했지요... 저야 우선 공급권으로 계약을 했지만 LH에서 공급한 월세 수준으로도 서귀포시 일반 경쟁률은 서귀포시에서 1년이상 거주한 무주택자로 제한해서 청약한 경쟁률은 상당한 경쟁률로 계약이 완료 됐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정도의 가격으로 공급한 임대주택은 나중에 법적으로 전대사항이 발생시 상당한 프리미움이 붙을 수 있는 가격이라는 것이 서귀포시 시민들의 월세에 대한 생각 이랍니다.
@sunj 전세가 점차 없어지면 월세 금액이 현실적으로 바뀌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보증금은 6개월치 정도에 30평 아파트라면 월 200 지역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반전세란 일시적 현상이고 개인이 아닌 사업체 주체의 주택렌트란 개념으로 가겠죠.
@sunj 년세로 1,200만원 정도이면 분양가대비 연이율을 따지면 6%정도 되겠군요
건물감가상각, 관리비 등을 감안하면 현재 은행예금 수익율과 비슷한 수준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런데 현재 수도권의 월세 수익율은 6%에 한참 못 미칩니다.
결국 민간에서 임대주택이 공급되려면 주택가격이 떨어지던지, 월세가 오르던지, 시중금리가 내려가야겠죠
그런데 주택가격이 더 떨어지면 하우스푸어와 금융기관에게 손실이 오고, 월세가 오르면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의 소득수준으로 감당이 안될 것 같고, 미국의 테이퍼링시점에서 과연 금리가 더 내릴 수 있을 지도 의문이고요
아무튼 시간이 지나다 보면 어떻게 결론이 나겠지요
@과꽃 년세도 저희 직원들이 분양 받을걸 이전일정 지연으로 시세보다 훨씬 싸게 직거래 장터에서 거래한 거고요 부동산에서는 년세 1,500만원 이상 받아 주겠다고 하더군요...
주택소유가 비용인 시대가 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단독주택은 토지라는 감가상각없는 부동산이므로 미래가치는 있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