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의 경지로 들어가는 길
부처님께서 열반하신 지 삼천 년이 되는 오늘날까지 이 칠월 해제일을 기해서
돌아가신 부모님이나 할아버지 할머니 저 선망 부모를 위시해서 가족에 아들딸 형제자매
원근 친척들의 영혼은 -물론 그 가운데는 비명으로 돌아가신 분, 횡사해서 돌아가신 분,
교통사고나 혹은 물에 빠져 죽고 목매달아 죽고 약 먹고 자살하고 한
온갖 비명횡사한 그런 영가들은 더 말할 것도 없고, 그러한 영가들을 천도하는 법요식을
해마다 연례행사로서 거행해 내려오고 있는 것입니다.
왜 백중날이 좋으냐 하면, 석 달 동안을 열심히 수행해서 몸도 청정하고 마음도 청정한 수행자들,
수행자(修行者)들에게 공양 올린 공양 공덕이 얼마나 장한가를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사십이장경에 보면, 악한 사람 백 명에게 공양하는 것보단 착한 사람 한 사람한테 공양하는 것이 낫고,
착한 사람 천 명에게 공양하는 것 보단 오계(五戒)를 지키는 사람에게 공양하는 게 낫고,
오계를 지키는 사람 만 명에게 공양하는 것보다는 수다원과를 증득(證得)한 사람에게 공양한 것이 낫고,
수다원과를 증득(證得)한 백만 명에게 공양한 것 보단 사다함을 증득(證得)한 한 성현한테 공양한 것이 낫고,
사다함 천만인에게 공양한 것 보단 아나함 한 사람에게 공양한 것이 낫고,
아나함 일억의 성현에게 공양한 것 보단 아라한과를 증득(證得)한 한 분에게 공양한 것이 낫고,
일억의… 십억의 아라한에게 공양한 것보다는 한 분의 벽지불에게 공양한 것이 낫고,
백억의 백, 벽지불에게 공양한 것보다는 한 사람의, 삼세제불(三世諸佛)의 한 사람에게 공양한 것이 낫고,
천억의 삼세제불에 공양한 것보다는 한 무심 도인(無心道人)에게 공양한 것이 낫다.
사십이장경에는 무념(無念) 무주(無住) 무수(無修) 무증(無證)한 사람에게 공양한 것이 낫다.
그런데, 무념이요‧무주요‧무수요‧무증(無證)한 사람은 한마디로 말해서 무심도인 그 말인데,
이 무심도인은 어떠한 것이 무심도인이냐?
생각하되 생각 없는 생각을 하고, 행을 하되 행이 없는 행을 하고, 닦되 닦음이 없이 닦고,
증(證) 하되 증(證)-한 바가 없이 증(證)-하는 이것을 한마디로 말해서 무심도인이라 하는데,
이 무심이라 하는 건 사실은 이론적으로 따져서 ‘이러한 것이 무심도인이다.’
이렇게 말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면, 그래서 누가 무심도인인지 아닌지를 겉으로 보아서는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석 달 동안을 열심히 수행한 수행자 가운데에는 몸도 마음도 청정해서 무심한 경계에 들어간,
들어갈 공부를 했고 그 가운데에는 이미 무심한 경계에 들어간 스님이 몇 분인가는 있을 수가 있다 그 말이야.
설사 오늘날 당장 완전히 진, 진무심경계에 들어가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 목적지를 향(向)해서 수행하고 있기-때문에 그분도 준 무심도인이라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름 해제 때 모이신 그 스님네들에게 공양을 올리면 무간지옥에서 고통을 받는,
비명횡사해서 거리 중천에서 갈 곳을 모르고 헤매고 있는 우리의 선망 부모와 가족들로-하여금
그 고통에서 벗어나게 허는 공덕이 거기에 있는 것이다. 그 말이야.
무심도인! 내가 무심도인이다. 하면 그게 무심도인이 아니야.
‘내가 한 소식(消息)을 했다’하는 생각을 품고 있으면 그것이 무심도인이 아니고,
‘나는 아라한과를 증득(證得)했다.’ 한 생각을 품으면 이미 그것이 무심도인이 아닌 거야.
어떻게 하면 무심의 경지에 들어가느냐?
본참 공안 ‘이 뭣 고?’ 화두가 되었건, ‘판치생모 화두가 되었건, 무자 화두가 되었건,
선지식으로부터 지정받은 그 본참 공안 하나를 가지고 일체처 일체시에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알- 수 없는 의심으로 은산철벽(銀山鐵壁)에 탁! 부딪힌 것처럼,
나아 갈래야 나아갈 데도 없고 물러서래야 물, 물, 물러설 수도 없고,
오직 꽉 막힌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본참 공안에 실참 실수해 나감으로-해서
공안을 타파해서 마침내는 무심도인이 되는 것이고 확철 대오해서 참 나를 깨닫게 되는 것이야.
이것이 부처님께서 왕궁에 부귀를 버리시고 출가하셔서 설산에서 고행하셔서 일생,
일대사를 해결해서 팔만 사천 법문을 설하신 요점이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 송담 스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