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누적도수
각 계급의 큰쪽의 끝값과 그 계급의 누적도수를 순서쌍으로 하는 점을 찍는다.
여기서요 순서쌍이 란 말이 들어가면요 두 지점이 만나는 점에 점을 찍는다 이렇게 생각해야되나요 좀알려주세요.
,
누적 도수의 그래프는 계급의 큰쪽의 끝값에 누적도수를 대응시켜 점을 찍는다.
여기서 대응이라는 말이나왔는데 이것도 함수란 관련된건데 즉 계급의 큰쪽의 끝값과 누적도수에 만나는 곳에 점을찍는다는건가요?.
,
누적도수의 그래프는 계급값이 커지루록 증가한다.
이것은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좀알려주세요.
[2]
상대도수는 변량의 개수가 많을때 이용하기 편리한 자료이다.
어디까지나 제생각으로 는요
변량의 개수가 너무많아서 구별하기 힘들때 상대도수는 소수로 구별하기 편하닌까
상대도수가 변랑의 개수가 많을때 즉 도수의 자료가 클때 구별하기 쉽다.
맞는지 틀리는지좀 알려주세요 ㅠ.
,
상대도수로 평균을 구할때요
상대도수 x 계급값 으로 구하잖아요.
여기서요 평균은 계급값 x 도수 의 총합을 구한다음 도수의 총합으로 나누어서 평균을 구하 잖아요.
여기에서요 상대도수 x 계급값 을요 이렇게
도수가 1 전체도수가 10 계급값이 30 이라고 할게요
그러면 0.1 x 30 이 즉 평균이죠?.
즉 하나하나씩 먼저 1 x 1/10 x 30 이러한 계산 과정때문에 그런가요?. 음
제상각에는요 먼저 상대도수와 도수를 곱해서 하는것이요
평균을 구할때 계급값과 도수를 곱한 결과를 총도수로 나눈것을 전부 더해준거 가태요.
즉
2 + 4
----
2
를요 1 + 2 로 고쳐서 3으로 할수 있뜻이 다 나눠서 하지 않았을까 생각이에요.
음 간단히 말해서요 이것을 더해서 2로 나누어서 하는방법도 있지만요.
이렇게 나누어서 2로 나눈다음에 더한 합이 같지 않을까 음음 머라구해야하지 머리가 아파요 ㅠㅠ.. 누가점알려주세요.
[3]
A, B 두 반의 전체 도수의 비가 2:3 이고 , 어떤 계급의 도수의 비가 3 : 5 일때 , 이 계급의 상대도수의 비를 구하여라.(가장 간단한 정수의 비로 나타낸다.).
풀이를 봐도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3b 5b
-- : --- = 9 : 10 으로 나와요 단(a,b는 자연수 이다)
2a 3a
,
분포 의 뜻좀 알려주세요 제발요 쉽게 설명좀해주세요 ㅠ..
첫댓글 순서쌍이라는 것은 (2,5)와 같은 것을 말합니다. 가로좌표 2 세로좌표 5인 점을 찍으시면 되는 겁니다. 네 계급의 최대가 되는 값을 가로로 그 대응하는 누적도수는 함수값으로 볼 수 있음므로 세로로 찍습니다. 누적도수는 작은 계급부터 차례로 도수를 더해 나가는 것입니다. 도수는 절대 음수가 될수 없으므로 도수를 계속 더해 나갈수록 누적도수는 증가만 할 뿐, 감소 하는 일이 없습니다.
상대도수는 변량이 클 때 보다는, 도수 자체가 클 때 편리합니다. 가령 100만 명 중에 3만 5천명이라고 하느니, 3.5%라고 생각하는 것이 편합니다. 상대도수의 총합은 1입니다. 따라서 상대도수와 계급값의 곱한것을 모두 더해 버리면 평균이 나옵니다.
"도수가 1 전체도수가 10 계급값이 30 이라고 할게요. 그러면 0.1 x 30 이 즉 평균이죠?."는 아닙니다. 평균이라는 것은 모든 계급을 다 더해야 되는 것이지 하나의 계급만 두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즉, 전체도수가 10이고 도수가 1이면 어딘가에 9개의 도수가 다른 계급에 속할 것입니다. 그 계급들에 관한 값도 생각해 주어야 올바른 평균이 됩니다.
A, B 두 반의 전체 도수의 비가 2:3 이니까 편의상 20명, 30명이라고 합시다. 어떤 계급의 도수의 비가 3 : 5이므로 편의상 3명, 5명이라고 합시다. 그렇다면 A반의 상대도수는 3/20이 되고 B반의 상대도수는 5/30입니다. 따라서 3/20 : 5/30를 계산하시면 됩니다. 좌우에 60을 곱해도 비례식은 변하지 않지요. 따라서 3*3 : 5 * 2 = 9:10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