守 株 待 兎
守 : 지킬 수 株 : 그루터기 주 待 : 기다릴 대 兎 : 토끼 토 (그루터기에서 토끼를 기다리다 / 되지도 않을 일을 고집하는 어리석음)
춘추전국시대 송(宋)나라에 한 농부가 있었다. 하루는 밭을 가는데 토끼 한 마리가 달려가다 밭 가운데 있는 그루터기에 머리를 들이받고 죽었다. 뜻하지 않게 토끼 한 마리를 잡은 농부는 다른 토끼도 그렇게 달려와 죽을 줄 알고 쟁기를 세워둔 채 그루터기만 지켜보고 있었다. 하지만 토끼는 다시 나오지 않았고, 농부는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됐다. [한비자] 오두편에 나오는 얘기다. ‘토끼를 기다리며 그루터기를 지켜본다’는 수주대토(守株待兎)는 어떤 착각에 빠져 안 될 일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한다. 헛된 믿음으로 생각이 완고함을 꼬집는 말이다. 한비(韓非)는 유가(儒家)에서 칭송하는 요순(堯舜)의 이상적인 왕도정치가 시대에 뒤떨어진 사상이라는 주장을 펴기 위해 이 얘기를 지어냈다. 사람들이 낡은 관습만을 고집하고, 새로운 시대에 순응하지 못하는 것을 지적한 것이다.
어리석음과 연관된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은 주로 송(宋)나라 사람이다. 불필요한 인정을 베풀다 거꾸로 화를 입는다는 송양지인(宋襄之仁), 잔꾀를 부린다는 조삼모사(朝三暮四)에 나오는 인물은 모두 송나라 사람이다. 중국 역사에 송나라는 세 번 등장하는데, 하(夏)나라 은(銀)나라에 이어 세워진 주(周)나라의 조그마한 제후국이 송나라다. 나라가 작고 세력이 약한 데서 연유하지 않았나 싶다. 남북조 시대의 송나라(420~479), 당나라 이후의 송나라(960~1279)가 있다. 땀 흘리지 않은 결과물은 초라하다. 세월을 익히지 않은 열매는 조그맣고, 정성을 쏟지 않은 작품은 허접하다. 뿌린 대로 거두고, 심은 대로 거두는 게 이치다. 행운이란 것도 속내를 들여다보면 최선의 부산물이 대부분이다.
씨앗의 법칙은 단순하다. 뿌려야 싹이 돋고, 정성을 쏟아야 열매를 맺고, 세월을 익혀야 제대로 영근다. 사상누각(沙上樓閣)은 어느 순간 절로 무너진다.
출처 : 한비자(韓非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