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진운수는 1979년에 계룡버스에서 분사하여 창업하였고 당시 버스차종들이 현 대우버스의 전신인 신진,GMK,새한자동차 버스들이 많이 있었고 계룡버스 출처인 아시아버스도 몇 대 있었습니다!
1982년 이전: 새한자동차 BF101, 아시아 AB185 등이 있었고 이 외에 중문형 버스들이 있었을 것임
1983년: 좌석버스 첫 운행 참여목적으로 무냉방 프론트엔진형식 전문형좌석을 도입
1984년: 대전시 조례개정으로 하차벨에 중문 슬라이딩인 형식을 의무화
시민자율버스제도 시행(전문 승차,중문 하차)
현대 FB485 슬라이딩중문(~1991), 대우 BF101 슬라이딩중문(~1992)도입(중문형 버스 대차완료)
1985년: 리어엔진 최초기 모델인 대우 BV101(~1993) 도입
1986년: 현대 RB520L 2기, 대우 BS105 도입(새한 BF101, AB185 대차분)
1987년: 좌석버스 냉방화로 리어엔진 냉방좌석 도입(RB520 스틸바디좌석, 증차분)
1988년: 88올림픽 행사 관계로 고령버스들을 대거 대차
1989년: 1982년 이전형식 버스 및 프론트엔진 좌석버스 대차완료
1990년: RB520L(~1996.8), BS105(~2000.6) 도입(1983년형 버스 일부 대차)
1991년: BF105, BS106 도입(1983년~1984년형 버스 대차)
1992년: BF105, BS106 도입(1984년 이전 버스 대차완료)
1993년: 대전엑스포 행사관계로 엑스포셔틀버스 운행, 폐막 이후 일반좌석으로 전환(에어로시티540 좌석)
1994년: 1986년형 버스 일부 대차
1995년:
1996년: 오지노선 투입 목적으로 25인승 콤비(증차분), 35인승 에어로타운(입석->중형 전환분) 도입
직행좌석 1번 운행개시 참여(증차분)
입석 3대를 좌석으로 형간전환
1997년: IMF 한파 여파로 버스업체가 타격을 입음
콤비차량 대차완료
1998년: 대우 입석신차 8대, 좌석신차 1대 도입
1999년: 입석 3대를 좌석으로 형간전환
에어로타운 3대 모두 중고로 처분
2000년: 프론트엔진버스 대차완료
로얄시티 2000년 후기형 좌석 도입
2001년: 6월 NGV 첫 운행(현대 2대, 대우 1대)
노선개편으로 좌석 4대를 도시형으로 형간전환
2002년: NGV 대거 도입(대우차량이 대부분이었고 현대차량도 조금 도입)
2003년: 1월 예비차 감차
무냉방 입석차량 대차완료(2003.4)
10월 노선 대개편으로 중형 6대(좌석->중형 전환분 3대, 증차분 3대) 도입(전부 글로벌900)
2004년: 디젤차량 최후 도입
2005년: 준공영제 및 고정배차제 시행
무계단 저상버스 운행개시 참여(현대차, 좌석차량 대차분이자 좌석도색으로 출고)
2006년: 대전 첫 격벽차량 도입(현대차량)
2007년: 1998년형 로얄시티 대거대차(현대차량으로)
2008년: 12월 간지선제 도입
현대 F/L 저상버스를 비롯한 신차 도입
2009년: 현대 F/L 신차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