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삼태극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한겨레참역사 공지 호선무(삼태극춤)으로 보는 신인합일의 위대한 역사
삼태극 추천 0 조회 1,846 09.11.23 16:02 댓글 2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09.11.23 16:20

    첫댓글 오자 탈자 가 발견되면 지적해 주시길 부탁올립니다.

  • 09.11.24 19:11

    참고 및 인용에 김은수를 김은주로 했군요.

  • 09.11.23 16:21

    삼태극님의 호선무 경이로움이었습니다. 어찌 그렇게 부드럽게 춤을 출 수 있는지 정말 부러웠습니다. 그날 백산소도 식구들도 모두 넋을 놓고 감상하도이다. 또한 혼자서 1시간을 넘게 출 수 있다니 힘으로 춘다면 불가능하겠죠. 정말 감명 받앗습니다.
    신당서에서 고구려 춤은 호선무인데 바람처럼 빠르게 돈다라는 하였으니 지금의 황해도굿이 바로 호선무가 아닌가 합니다, 바람처럼 빠르게 돌거든요. 왼쪽으로~~ 언제 기회가 있으면 황해도굿을 함께 감상하여보지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

  • 작성자 09.11.24 17:51

    저는 삼태극춤속으로 녹아들어 그렇게 관객들이 '넋을 놓고 감상' 하신 줄은 몰랐습니다. ^^ 황해도굿이 그렇게 하는 군요. 언제 구경할 기회를 주십시오. 꼭 보고 싶습니다. 저는 이 삼태극춤을 마고성시대로 돌아가는 '직행버스' 라고 봅니다. '해혹복본解惑復本본'의 강력한 길이죠. 이 춤으로 생겨나는 '지극히 맑고 깨끗한 고요한 정적'은 곧 '天地本音=天音'을 듣는 상태라고 또한 정의 내립니다. 우주의 깊은 침묵의 소리를 듣게 되는 것이죠. 이 침묵속에서 또한 천지신명과 하나가 되어 무당문화식으로 말하면 '공수' 도 나오고 '원하는 채널링'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샤먼의 굿, 무당사제의 권능이 회복되는 것입니다.

  • 09.11.24 03:01

    아~~또 머리가 아파 옵니다 지식이 모자라서 발상도 안되는가 봅니다 .ㅠㅠ

  • 09.11.24 11:21

    삼태극춤! 한번 해 보고 싶어집니다.^^

  • 09.11.24 19:11

    저는 중간에 약 35분 정도 자리 한 뒤 집으로 돌아가야 하기에 먼저 일어섰습니다만...어찌 그리 잘 돌 수 있는지요? 솔직히 체험이 없던 저로써는 그 느낌을 알 길이 없습니다. 같이 체험을 하였으면 좋았을 것을....생각해 봅니다.
    또한 집에서 혼자 해보아야겠다는 생각을 그 때 했습니다만...아직 실행은 못하였고 다소 겁이 나는지라....제가 좀 균형감각이 떨어져서...계속 노력하다 보면 그 감각도 좋아지고 신인합일의 극치를 맛볼 수 있을까요?

  • 작성자 09.11.26 16:01

    연습하면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춤입니다. 나중에는 몸이 알아서 자리를 잡아갑니다. 내 맡기기만 하면 됩니다. ^^ 서기2009 송년모임이 있으면 그 때 자세히 알려드릴 시간이 있을 줄로 믿습니다.

  • 09.12.02 16:13

    에구...난 다리가 불편해서... 안타까움이......

  • 09.12.03 20:35

    오호 _ 호선무 ~ 우주의 기운을 그대로 연결한 율동이로군요. (!)

  • 혹시 이게 바로 율려춤인가요?

  • 09.12.09 07:08

    잘 보았습니다.

  • 09.12.16 16:36

    언젠가 TV에서 본 적이 있었는 데 저것이 삼태극 춤이군요. 한 번 해 봐야지.

  • 수고하셨습니다. 잘보았습니다 ^^

  • 10.02.01 16:18

    고맙습니다 정말 감명깊게 보았네요..하나하나 따라해서 잘 배우겠습니다 근데 조금은 어지러울듯^^

  • 10.03.09 16:25

    왈츠라는 서양의 춤이 있슴다. 그뜻은 빙빙돈다 입니다. 그서역의 춤이 우주의 춤으로 함께하는 고구려의 춤은 호선이 되어 기운몰이를 하게 되는 춤이죠.. 정리된 삼태극무 잘 보았습니다. 계속 부탁합니다..

  • 10.03.18 14:27

    tv에서 본적이 있는데 돌고 있는 모습들이 평온해 보였는데 삼태극춤(호선무)이였군요 . 삼태극에서 정말 많고 귀한 것들을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10.04.01 18:20

    잘보았습니다

  • 10.04.21 10:08

    호선무 처음접하며 우리의 춤가락에는 한올흔적조차 없는

    저들 터기민족의 호피춤으로 종교적인 춤으로만 알고있었습니다

    저의 전공이 한국무용이였는데도 한자락 흔적조차 없었다니 ,,,,

    ㅠㅠ

  • 10.06.15 01:59

    태풍등 자연현상도 왼쪽으로 돌지만 우주의 핵심인 소우주 인체의 소화배설과 혈행도 왼쪽으로 돌아나가기에 인체구조및 특성상 왼쪽으로 돌며 천지인조화를 꾀함이 자연스러웠을겁니다.하여 우리 조삼님들이 왼쪽으로 도는 호선무(태극춤)를 그리 추신거 같습니다.^!^*

  • 10.06.21 17:05

    이것저것 들어와서 읽어보지만 방대한 자료들덕에 저의 무지를 깨닳고 있습니다..ㅡㅜ

  • 10.12.10 16:22

    기교가 필요없는 춤, 나를 찾는 춤, 자리에서 일어나 한번 해 봅니다.. 오른팔과 왼팔이 균형을 잡고 바람을 가르는데요?? 후후~ 집에가서 편안하게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0.12.20 02:24

    잘 봤습니다.

  • 17.04.19 18:14

    조선왕조 실록의 기록에 중국 사신이 성종에게 묻는 장면이 나옵니다.

    [ "월산 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이 술을 돌릴 때에 동기(童妓)가 일어나서 춤을 추니, 상사(上使)가 말하기를,
    "이것이 무슨 춤입니까?"
    하였는데, 임금이 말하기를,
    "이 춤은 고구려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이름을 동동무(動動舞)라 하지요."
    하였다. ]
    성종실록 132권, 성종 12년 8월 3일 을사 1번째기사 1481년 명 성화(成化) 17년

    동동무, 움직이고 움직이는 춤이라...
    이 춤이 호선무가 아닐까 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