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래나무과(─科 Juglandaceae)에 속하는 견과류(堅果類). |
북아메리카 온대지역이 원산지이다. 피칸나무는 때때로 키가 약 50m, 지름이 2m에달한다. 수피(樹皮)는 골이 깊게 패어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깃털 모양으로 배열한 9~17장의 잎으로 된 겹잎이 달린다. 수꽃은 매달리는 미상(尾狀)꽃차례를 이루며, 암꽃은 가지 끝에 빽빽하게 무리지어 달린다. 짧게 무리지어 달리는 열매는 익으면 다육질의 껍질이 말라 봉선을 따라 쪼개지고 비슷한 크기의 4조각으로 벌어져 견과가 방출된다. 견과는 갈색으로 껍질에는 반점 무늬가 있고 두께가 매우 다양하며, 모양도 길고 끝이 뾰족한 원추형부터 짧고 둥근 것까지 다양하다. 맛과 조직이 풍부하고 독특한
피칸은 모든 채소 작물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의 지방을 함유한 것 중의 하나이며 버터와 비슷한 양의 칼로리를 가진다. 피칸의 생산은 미국 남동부의 중요한 산업이다. 피칸은 날것으로 먹거나 달게 또는 소금에 절여 먹으며, 커피 케이크 같은 페이스트리를 만드는 데도 쓰고 초콜릿과 섞기도 한다. 미국 남동부에서는 깨끗한 커스터드에 피칸을 넣고 구운 피칸 파이와 피칸 프랄린이 전통적인 사탕과자이다.
자생종 피칸나무는 미국(텍사스의 리오그란데 근처, 네브래스카, 아이오와, 인디애나 및 드물게는 앨라배마)에 분포한다. 1847년경 루이지애나에서 접목된 변종(變種)을 일부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몇몇 중요한 변종들도 1890년 전에 도입되었다. 지금은 조지아·앨라배마·미시시피에서 접목시켜 얻은 피칸 넛(pecan nut)을 가장 많이 생산한다. 피칸은 많은 나라로 도입되었는데, 오스트레일리아와 남아프리카에서도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
호두와는 다른 견과류 이며 호두와 비슷하게 피칸도 여러가지 요리에 이용된다.
호두랑 비슷하지만, 호두보다는 약간 길다.
피칸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해 주고, 고혈압에 좋다.
◑ 피칸 북아메리카 온대지역이 원산지이다. 피칸나무는 때때로 키가 약 50m, 지름이 2m에 달한다. 수피(樹皮)는 골이 깊게 패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깃털 모양으로 배열한 9~17장의 잔잎으로 된 겹잎이 달린다. 수꽃은 매달리는 미상(尾狀)꽃차례를 이루며, 암꽃은 가지 끝에 빽빽하게 무리지어 달린다. 짧게 무리지어 달리는 열매는 익으면 다육질의 껍질이 말라 봉선을 따라 쪼개지고 비슷한 크기의 4조각으로 벌어져 견과가 방출된다. 견과는 갈색으로 껍질에는 반점 무늬가 있고 두께가 매우 다양하며, 모양도 길고 끝이 뾰족한 원추형부터 짧고 둥근 것까지 다양하다. 맛과 조직이 풍부하고 독특한 피칸은 모든 채소 작물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의 지방을 함유한 것 중의 하나이며 버터와 비슷한 양의 칼로리를 가진다. |
높이 30∼50m이다. 잎은 겹잎이며, 작은잎은 9∼17개의 홀수이다. 암수한그루로, 5월에 꽃이 피고 웅화선숙(雄花先熟)이며 타가수분이 많다. 따라서 암꽃과 개화기가 같은 다른 품종을 함께 심어야 한다. 수꽃은 미상꽃차례로 달리고, 암꽃은 가지 끝에 무리지어 달린다. 유연성이 있는 목재는 가구재·내장재 등으로 널리 이용된다. 번식은 공대(共臺) 또는 근연종의 대목에 의한다. 심는 간격은 9×11m로 한다. |
대표적으로 호두파이와 비슷한 피칸파이▼
◑ 피칸나무는 히코리과에 속하는 나무중 가장 크다.
피칸나무는 꽤 크게 자라서 키가 70피트(21미터)까지 자라기도 하며 남부가 원산인 종류는 히커리나 흑호두와 종을 같이한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여름이 덥고 습한 텍사스주 같은 곳에서 잘 자란다.
열매를 맺을 수 있는 기간은 자그마치 "300년"이다.
보통은 호두라고 착각을 하기도 하고 호두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피칸은 타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호두보다 더 고소하고 부드러운 호두과 견과이다.
북 아메리카가 원산지로 단백질, 비타민, 철, 칼슘 성분이 많고 섬유질도 풍부한 피칸은 하루 두 주먹 정도의 복용으로 심장병과 관련된 나쁜 콜레스테롤들을 없애준다.
다른 견과류나 아몬드는 지방이 많아 꺼리기도 하지만 피칸은 그 무게의 53%를 차지하고 있는 지방 중 60%정도가 몸에 좋은 단일 불포화 지방(monounsaturated fat)으로 건강에 도움이 되고 비타민 E와 섬유질도 풍부해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피칸은 원래 인디안 부족들의 겨울나기 식품으로 애용된 열매였다.
열매의 모양은 동그란 호두와는 달리 도토리와 비슷하고 껍질은 잘 깨져서 딱딱한 껍질을 가진 호두와는 구별이 된다.
파칸은 자웅동주(암수한그루)이기 때문에 열매는 맺으나 꽃 피는시기가 틀려 수정률이 매우 떨어진다.
열매는 맺지만 아주 많은량이 열리지 못한다.
집단적으로 여러그루가 있으면 확률을 높일 수 있지만 몇그루라면 수정률이 떨어지므로 수분수를 함께 식재하면 많은 결실을 본다. 다만 접목은 열매를 빨리 맺을 수는 있지만 많은량의 결실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 피칸 암수 구별법
피칸나무는 자웅동체여서 한 나무에 암꽃과 수꽃이 핀다.
암수꽃은 다른 모양을 하고 있다.
나무의 꽃을 보면 수꽃은 캐투킨(미상화 尾狀花)라고 불리며 한 꽃자루에 둘 내지 여덟개의 송이로 자라 길게 늘어져있다.
각각의 꽃은 세개에서 다섯개의 꽃밥(약葯)을 가지고 있고 이것은 약 2천개의 꽃가루를 가지고 있다.
수꽃은 피칸나무에서 암꽃보다 두드러져보인다.
나무의 작은 꽃인 암꽃은 피스틸레이트라 불리는데 수꽃처럼 매달려있지 않다. 모습이 마치 별모양같다.
각각의 꽃은 5.5mm에서 8mm정도의 길이다.
열매를 보면 생산력 잇는 암꽃은 견과를 생산한다. 만일 다 익지 않은 견과를 보고 있다면 그 것이 암꽃이다
![]() | ||
△페그 박사 |
![]() | ||
△미국피칸재배자위원회의 세미나에서는 피칸의 심장병과 암 억제 등 건강 기능성에 대한 발표가 이뤄졌다. |
![]() | ||
△허드슨 회장 |
![]() | ||
△세이젤 관장 |
새로운 연구결과와 아이디어를 나누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완벽한 몸매를 위해 견과류를 챙겨먹던 나에게 새롭게 다가온 피칸!
피칸하면 피칸파이가 가장 먼저 생각나는데요.
한국에서 많이 알려진 견과류가 아니다보니, 잘 모르시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피칸에 대해 알게되면 호두 안녕...하게 되실거예요
|
첫댓글 피칸 배우고갑니다
맛도 호두랑 비슷하고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