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봉산 석종사(錦鳳山釋宗寺) / 전통사찰
- 충북 충주시 직동
신라 말 고려 초에 창건, 조선 말까지 죽림사로 법맥을 이어 왔다.
충주목사 조병로가 사찰을 헐어다가 충주목사 집무실인 청령헌(충주관헌)을 지었다고 합니다.
일제강점기 때엔 오층석탑만 남고 폐사가 되었다.
1985년 석종사 금아 혜국선사께서 과수원 800평을 사기 시작하여 현재 약 10만 평의 터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석종사는 대웅전, 선원, 수련원 등 중창불사하여 근대에 지어진 가람으로 아름답고 문화적 가치가 높다.
(안내판과 홈페이지 참조, 정리)
고졸한 느낌은 없지만 시원하고 산뜻한 느낌이 큰 절이다.
전각 배치가 주변 자연 환경과 잘 어우러져 있다. 단풍나무가 많아 단풍이 들 때 오면 더 운취가 있겠다.
절에 대한 설명은 석종사 안내도를 사진으로 올리는 것으로 대신한다.
일주문, 일주문 앞에 주차하고 가는 게 좋다.
화엄공원, 돌에 새긴 법구, 시간을 갖고 찬찬히 음미하여 좋겠다.
노자사상이 불교와 맥을 같이 하는 부분이 많앋.
상선약수유불쟁무우(上善若水唯不爭無尤)
장묘시설
석종사 안내도
선림원, 글씨가 아니고 그림이다.
천척루
석종사 오층석탑
일제강점기 때 도굴 등으로 훼손, 남은 부재로 원형에 가깝게 다시 만든 것이다.
범종각
창룡사(蒼龍寺) / 전통사찰
- 충북 충주시 직동
신라 문무왕 때 원효(元曉)가 창건, 고려 공민왕 때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중건하였다.
조선 선조 때 서산대사(西山大師)가 중수하여 대찰(大刹)의 면모를 갖추었다.
1730년(영조 6)에 관음상을 봉안하였으며, 당시 대웅전·요사 등의 건물이 있어 사찰의 규모가 컸다고 한다.
1870년(고종 7)에 충주목사 조병로(趙秉老)가 현재 세무서 자리에 수비청(守備廳)을 세우기 위하여 불전(佛殿)을 철거,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 수비청은 그 뒤 창룡사 주지 김추월(金秋月)이 다시 뜯어다가 현 대원사(大圓寺)를 짓는 데 사용.
절의 역사는 충청북도 사지에 전해지는「창룡사관음상연기문(蒼龍寺觀音像緣起文-1730년)」,「충청북도충주군남변면금봉산창룡사중건후불준병기(忠淸北道忠州郡南邊面錦鳳山蒼龍寺重建後佛準竝記-1913년)」등의 기문을 통해 알 수 있다.
(대한민국구석구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정리함)
석종사를 향하여 가다가 보면 좌측에 창룡사가 있다. 석종사를 보고 내려 오는 길에 창룡사를 들렸다.
창룡사 역시 고색창연한 느낌은 없지만 산뜻한 느낌의 기분 좋은 사찰이다.
창룡사 다층청석탑 / 충북 문화재자료 제56호
평면 사각형의 다층청석탑으로 일부 부재가 결실되었다. 화강암 기단 위에 점판암인 탑신을 올렸는데 옥개석만 남아 있다.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한다.
청석탑은 해인사 원당암, 김제 금산사, 동화사 염불암, 원주 보문사 등에 있으나 우리나라에선 매우 드문 탑이다.
(본 카페, 해인사 원당, 동화사 염불암 등 청석탑 사진이 있음.)
2022년 9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