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프증권 스몰캡 박진형/안주원/허선재]
스몰캡 레시피 2022년 8월호
전체 보고서 원문: https://bit.ly/3QpxJ3X
TCC스틸 (002710)
- 2Q22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924억원(+53.3% YoY)과 164억원(+152.5% YoY) 시현. 주요 특징은, 1) 매출: 전방 산업(2차전지 원통형 배터리) 수요 급증, 2) 마진: 영업레버리지 효과, 3) 판관비: 1Q22 일회성요인 소진, 4) 영업외: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파생상품거래손실 발생(90.7억원) 등
- 동사의 추세적 실적 개선의 근거는, 1) 원통형 배터리 포장재의 폭발적 수요 확대, 2) 기존 사업에서의 안정적 매출 기반, 3) 매출 증가에 따른 본격적 영업레버리지 효과, 4) 대규모 증설 효과의 점진적 반영 등
- 2022년 예상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6,742억원(+25.6% YoY)과 512억원(+100.0% YoY)으로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2만원 유지
씨앤투스성진 (352700)
- 2Q22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374억원(-14.8% YoY)과 97억원(-38.2% YoY) 시현. 마스크 판매 둔화와 원자재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익성(영업이익률 25.8%)이 유지되며 상대적으로 잘 방어한 실적이라는 판단
- 2분기 실적의 주요 특징은, 1) 매출: 공기청정기 선방(QoQ +2.0%), 보건용마스크 둔화(QoQ -19.3%), 2) 마진: 매출 감소에서 고수익성 유지(중국 공장 라인 조정, 필터 매출 회복 중), 3) 판관비: 큰 폭 개선(QoQ -18.7%) 등
- 마스크 부문의 실적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에어필터 부문의 고성장 기조가 유지되며 전체적으로 20% 중후반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이어갈 전망
- 2022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701억원(-0.5% YoY)과 465억원(-17.4% YoY) 수준으로 전망. 투자의견 BUY/목표주가 1.2만원 유지
인텔리안테크 (189300)
- 2Q22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570억원(+87.6% YoY)과 42억원(흑전 YoY) 시현. 이는 사상 최고의 매출액을 달성한 것으로, 추세적인 고성장 기조를 확인하는 양호한 실적으로 판단
- 실적의 주요 특징은, 1) 해상용 안테나 시장 성장 및 시장지배력 확대, 2) SES향 중궤도 위성통신 안테나 매출 증가, 3) 반도체 쇼티지 영향으로 매출총이익률 소폭 하락, 4) 원/달러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영업외손익 대폭 개선 등
- 2022년 예상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2,613억원(+89.4% YoY)와 193억원(+766.9% YoY) 수준으로 전망.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12만원 유지
대명에너지 (389260)
- 대명에너지 2분기 실적은 매출액 297억원(-6.3%, YoY)과 영업이익 79억원(-11.9%, YoY) 시현. 지난해(영암 태양광 발전 21.3월 납기)와 달리 큰 프로젝트 완료가 부재했고 하반기 열릴 입찰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시간 보낸 것으로 추정
- 반면 상반기 당기 순이익은 103억원(-16.6%, YoY)으로 감소폭 크지 않았는데 완공된 발전소들의 운영 실적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 하반기 신규 수주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실적 향상 및 내년 실적 확대 폭 클 것으로 예상하며 단기 실적보다는 중장기 성장 방향성이 중요
- 2023년은 매출액 1,789억원(+55.1%, YoY)과 영업이익 620억원(+34.7%, YoY)으로 급증할 것.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3.3만원 유지
파수 (150900)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96억원(+23.2%, YoY)과 영업이익 5억원(흑자전환)으로 창사이래 2분기 첫 흑자전환 달성
- 국내를 중심으로 데이터 보안 사용 영역이 넓어지며 수주가 증가하고 있고 애플리케이션도 개발자들로부터 수요가 증가하면서 동반 성장 중
- 공공기관 중심의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일반 대기업 및 중소형 고객사로의 포트폴리오 확대 등을 통해 1~3분기 만성 적자 구조에서 탈피한 만큼 의미 있는 실적 보여주었다고 판단
- 2022년 실적은 매출액 544억원 (+28.9%, YoY)과 영업이익 98억원(+131.3%, YoY)으로 추정. 이미 상반기에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27% 성장했고 하반기가 성수기인 만큼 외형 확대 폭 커질 것으로 판단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337930)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574억원(+21.0%, YoY)과 영업이익 41억원(+66.1%, YoY)을 시현.
- 젝시믹스는 올해 상반기 매출액만 900억원을 상회했으며 영업이익률도12% 달성. 하반기 키즈라인 출시 및 객단가 높은 겨울 아우터 판매 등에 따라 연간 매출액도 전년대비 30%를 넘어서는 성장률 보여줄 것
- 주력 자회사인 이루다마케팅은 매출액 29억원(+77.6%, YoY)과 영업이익 13억원(+105.7%, YoY)으로 매분기 실적이 좋아지고 있으며 셀프네일인 젤라또랩은 3분기가 성수기 시즌으로 하반기부터 매출액 회복과 수익성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판단.
- 2022년 실적은 매출액 2,265억원(+31.2%, YoY)과 영업이익 221억원(+103.8%, YoY)으로 전망. 젝시믹스를 중심으로 고 성장하며 자회사 적자폭 축소 등으로 뚜렷한 실적 확대 나타날 것으로 예상
애니플러스 (310200)
- 2분기 실적은 매출액 108억원 (YoY +68.7%)과 영업적자 -12억원 (YoY 적전)을 시현. 실적 감소의 주요 원인은 현금유출이 없는 주식보상비용 약 49억원이 영업실적에 반영된 점에 기인.
- 하지만 관련 회계적 비용 제거 시 2Q22 영업이익은 약 38억원으로 전년대비 +118% 증가한 상황이며 영업현금흐름 또한 1H21 85억원1H22 128억원으로 약 51.3% 개선되었기 때문에 동사의 기초체력은 꾸준히 좋아지고 있다는 판단
- 사업 부문별로 고른 성장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2년 실적은 매출액 703억원 (YoY +43.4%), 영업이익 157억원 (YoY +20.5%)으로 전망
- 2021년 신사업 추진을 위해 발행한 전환사채에 따라 (회계적 비용에 따른) 실적 변동성 확대 및 지분가치 희석 우려가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사는 현재 종합 콘텐츠 업체로 변화에 성공하며 영업실적 성장이 가속화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향후 유의미한 주가 상승이 수반될 것으로 전망
엠아이텍 (179290)
- Boston Scientific은 22년 6월 엠아이텍 지분 64%를 총 2,912억원 (주당 1.45만원)에 양수하는 계약을 체결
- 엠아이텍 입장에서는 ①글로벌 최대 시장인 북미/유럽 등 주요 시장 침투 본격화 ②생분해성 스텐트에 대한 R&D 가속화 등의 사업적 시너지를 누릴 수 있을 것
- 당장 내년부터 인수효과가 본격 반영될 것으로 예상. ①본업에서의 유기적 성장 ②Boston Scientific의 해외 판매 물량 흡수까지 더해지면서 사상 최초로 연간 1,000억원대 매출액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며 수익성 또한 OPM 기준 40% 이상으로 대폭 향상될 것으로 추정
- 2Q22 실적은 매출액 145억원 (YoY +16.0%)과 영업이익 45억원 (YoY +24.0%, OPM 31%)을 시현하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 내년에는 ①Boston Scientific 물량 흡수를 통한 규모의경제 효과 ②판관비 감소 등까지 더해지며 연간 OPM 40% 이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 2023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1,011억원 (YoY +65.3%)과 영업이익 406억원 (YoY+136.2%, OPM 40.2%)으로 추정. 내년 예상실적 기준 PER은 10배 수준으로 낮아지며 벨류에이션 매력도까지 대폭 부각될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