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9개월 전인 2021년 1월 27일 추미애 법무장관은 1년 25일 동안의 정치검사 윤석열 다단계 쿠데타 진압 과정에서 그만 장관직을 떠나야만 했다.
2021년 윤석열 검찰 난동에 투항한 집권당 당 대표 이낙연과 대다수 민주당 의원들, 수사관 기소권 독점 전횡의 윤석열 국가 난동 기세에 겁먹은 국무총리 정세균과 비서실장 노영민 등 청와대 참모들, 종국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우유부단과 판단 패착으로 추미애 법무장관의 윤석열 제어는 무산됐다.
당시 문재인 정부 국무위원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정치검사 윤석열의 권력욕망 질주를 어떻게든 제어하고자 했던 추미애 법무장관, 아들의 정상적인 군복무 제대를 트집잡아 졸렬하게 겁박한 윤석열에 대응, 마치 전장에서 구원병 없이 고립된 상태로 수많은 왜곡된 여론과 맞서 용감하게 싸우는 형국이었다.
2024년 10월 현재 방종과 부패의 윤석열 김건희, 그리고 이것 둘에 굴종하는 사이비 정치정당인 국민의힘이 초래하는 오늘의 국가위기는 2021년 그때부터 본격화, 윤석열 다단계 쿠데타는 본격적인 가동 2019년 9월부터 3년 째로 절정을 향해 가고 있는 그때 부터였다.
조선일보가 주동하고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비롯한 기득권 언론표방 참칭 매체들의 정치검사 윤석열 편들기, 여기에 부화뇌동하다가 본격적으로 ‘조국 죽이기’ 조국 음해와 결과적으로 추미애 장관 검찰개혁 반대에 앞장선 한겨레신문 법조 출입 기자들까지, 추미애 장관의 검찰 개혁은 고군분투(孤軍奮鬪) 했지만 한계에 이르렀다.
그 결과 추미애 장관 사퇴 2021년 이후 만 3년 9개월이 지난 2024년 10월 현재, 나라는 총체적인 위기에 빠졌다.
그때나 지금이나 추미애 장관의 정치검사 윤석열 징치(懲治)실행이 옳았지만 언론 매체들의 윤석열 반란 동조는 급기야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 5년 공과(功過)도 ‘윤석열 블랙홀’이 삼키고 말았다.
3년 9개월 전 한겨레신문은 이런 제목으로 기사를 냈다.
“ ‘법무-검찰 갈등 1년’ 추미애, 떠나는 순간까지 ‘윤 때리기’ “
한겨레신문의 이 기사를 당시 나는 이렇게 비판했다.
<이 기사가 한겨레신문의 정신과 맞나? 이런 기사가 한겨레신문을 보는 독자들에게 납득이 되겠나? 이게 온전한 기사인가?
기사는 추미애 장관이, “검찰총장 징계와 수사지휘권 남발 등의 나쁜 선례를 남겼다는 비판이 있다”라고 썼다.
“지난해 4월 불거진 ‘검·언 유착’ 사건 국면에선 윤 총장과 갈등의 골이 더 깊어졌다. 추 장관은 검·언 유착 의혹에 이어 라임 로비 의혹, 윤 총장 가족사건 등에 수사지휘권을 남발하며 윤 총장을 압박했다. 김한규 변호사(전 서울변호사회장)는 “정부의 뜻에 따라 검찰 수사에 제동을 걸 수 있는 명분을 주는 나쁜 선례를 남긴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른바 추-윤 갈등은 헌정사상 첫 검찰총장 징계라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졌다. 재판부 사찰, 검·언 유착 의혹 감찰·수사 방해,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등을 근거로 법무부 검사징계위원회가 ‘정직 2개월’을 결정했지만 법원이 집행정지를 인용하면서 추 장관의 무리수가 확인됐다.”(옥기원 기자)>
2021년 1월 27일 이런 기사를 쓴 한겨레신문 기자의 민주주의 감수성은 정치검사 윤석열의 다단계 쿠데타는 시야에 아예 없었다. 그의 갖가지 비리 의혹과 윤석열의 처와 장모에 대한 비리들도 관심이 없었다. 그래서 추미애 장관의 검찰개혁을 틀어막는 ’윤석열의 검찰난동‘을 “추-윤 갈등“(한겨레신문 정치 선임기자 성한용 유포)이라고 성 기자 후배들도 따라서 되뇌이는, 근본에서 그르친 해석을 했는가?
추미애 장관의 사퇴 이후 윤석열은 31일 후인 2021년 3월 4일 “오늘 총장을 사직하려 한다. 이 나라를 지탱해온 헌법정신과 법치 시스템이 파괴되고 있다.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사회가 어렵게 쌓아올린 정의와 상식이 무너지는 것을 더는 두고 볼 수 없다. 검찰에서 제가 할 일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어떤 위치에 있든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힘을 다하겠다"며 정계 진출 가능성을 시사했다. 파렴치(破廉恥)에 후안무치(厚顔無恥) 배은망덕(背恩忘德)이 짐승인 상태였다.
2021년 4월 2일 한겨레신문은 ”(문재인) 정권 심판”이 ”민심”(이지혜 기자) 이라고 앞장서서 나발을 불었다.
그리고 한겨레신문은 정치부 선임기자 성한용이 먼저 나서서 정치검사 윤석열을 대선 레이스에 띄웠다.
한겨레신문 일부 기자들의 타락은 2019년 9월 5일 법조 선임기자 ‘강희철의 법조외전’ 칼럼 글을 당시 박용현 편집국장 등 국장단이 삭제하면서 한겨레는 기사를 쓴 법조 선임기자 강희철에게 한겨레 논조와 맞지 않는다는 ‘삭제 이유’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젊은층 기자 31명은 6일 오전 “박용현 편집국장 이하 국장단은 ‘조국 보도 참사’에 책임지고 당장 사퇴하라”는 제목으로 대자보를 게시했다. “현재 한겨레 편집국이 곪을 대로 곪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하나의 단면에 불과하다”며 “조 장관 후보자의 사모펀드가 관급공사를 수주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그의 딸이 의전원에 두 번을 낙제하고도 장학금을 받았다는 사실이 보도됐을 때도 한겨레는 침묵했다”라고 사실과는 틀린 정보를 사실이라고 주장하면서 박용현 편집국장 사퇴를 31명 기자들이 공개 연명 요구했다.
법조출입 선임기자 강희철 입장에 같이 서서 편집국장 사퇴를 요구한 한겨레신문 주니어 기자 31명.
한겨레신문은 민족반역 부패 기성언론 조선일보 동아일보나 일개 재벌이 창간한 권력 추종 중앙일보와는 출발의 근거가 다르다. 10여 년 이전부터 경쟁적으로 언론표방 참칭 매체를 사들이는 건설업체 신문과는 감히 비교할 수 없다. 3만 명 민주시민들의 간절한 민주주의 희구가 이 신문의 출발이다. 따라서 한겨레신문 창간사 중에 3문단은 거듭해서 강조된다.
“거의 모든 신문들이 말로는 중립 운운하면서 현실로는 언제나 주로 권력의 견해를 반영하고 있다.”
“자주성 없는 신문 제작 태도야말로 사회 혼란을 조장하는 지극히 위험한 언론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권력의 방종과 부패를 막고 국민의 민권을 신장하여 이 나라의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분투 노력할 것이다.”
자, 윤석열의 다단계 국가반란은 성공했다. 어떻게? 한겨레신문 기자 31명 뜻대로 지금 나라가 잘 굴러가는가?
31명 명단의 기자들은 퇴출시켜야 한다. 먼저 스스로 한겨레신문을 떠나야 한다.
아니라면? 뼈아픈 반성과 동시에 국가 재앙인 윤석열을 탄핵 파면 하는 것에 어떤 누구들보다 앞장서야만 한다. 민주시민의 민주국민의 이 정당한 요구에 이들 31명은 복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