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참고] 2024년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24년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한국은 67개국 중 20위로 역대 최고 기록 - 30-50클럽(국민소득 3만달러 & 인구 5천만 이상 국가)중 미국에 이어 2위 - - 기업효율성(23위), 인프라(11위) 분야 역대 최고로 종합순위 상승 견인 -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은 6.18(화)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우리나라는 ’23년 대비 8단계 상승하며 67개국 중 20위로 ’97년 평가대상에 포함된 이래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30-50클럽(국민소득 3만달러 & 인구 5천만 이상 국가) 중에는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랐다(3→2위).
분야별로는 기업효율성(33→23위)과 인프라(16→11위) 순위가 대폭 상승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며 종합순위 상승을 견인했으며, 경제성과(14→16위)와 정부효율성(38→39위) 순위는 소폭 하락했다.
기업효율성 분야는 10계단 상승하며 종합순위 상승을 견인했다. 생산성⋅효율성(41→33위), 노동시장(39→31위), 금융(36→29위), 경영관행(35→28위), 태도⋅가치관(18→11위) 등 5개 부문 모두 큰 폭 상승했다. 세부지표 중에는 전반적 생산성 증가율(28→15위), 인재유치(14→6위), 기업의 민첩성(28→9위), 국민의 유연성·적응성(30→14위) 등의 순위가 큰 폭 상승했다.
인프라 분야도 5계단 상승했다. 기본인프라(23→14위), 기술인프라(23→16위), 과학인프라(2→1위), 교육(26→19위) 등의 부문이 큰 폭 상승했다. 세부지표 중에는 유통인프라 효율(8→3위), 우수 엔지니어 가용성(47→29위), 대학교육지수(22→12위) 등의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
경제성과 분야는 2계단 하락했다. 성장률(44→34위), 투자(총고정자본형성, 51→40위) 등 국내경제(11→7위) 부문 순위가 상승했으나, 국제무역(42→47위) 부문이 하락하며 이를 상쇄했다. 국제무역 세부지표 중 전반적 무역수지(54→49위) 순위는 상승했으나, 민간서비스수지(38→62위) 순위가 큰 폭 하락했다.
정부효율성 분야는 1계단 하락했다. 5개 부문 중 재정(40→38위), 제도여건(33→30위), 기업여건(53→47위), 사회여건(33→29위) 등 4개 부문 순위가 상승했으나, 조세정책(26→34위) 부문 순위가 큰 폭 하락하며 이를 상쇄했다. 세부지표 중에는 정부부채 실질증가율(56→43위)과 GDP 대비 재정수지(24→20위) 순위 등 재정건전성 지표, 관료주의(60→54위), 자본시장 접근성(27→20위), 보조금의 공정경쟁⋅경제발전 왜곡(45→30위), 기회균등(40→23위), 남녀 실업률 격차(37→21위) 등의 순위가 큰 폭 상승했다. 조세정책(26→34위) 부문은 ’22년 기준 GDP 대비 총 조세(32→38위)⋅소득세(35→41위)⋅법인세(48→58위) 등 조세부담 증가가 큰 폭의 순위 하락을 이끌었다.
앞으로 정부는 평가 결과를 참조하여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 정책 기조에 따라 기업효율성 제고를 더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재정의 지속가능성 확보, 세제 합리화, 기회균등 등 정부 효율성 제고,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및 수지개선 등 경제성과 개선, 인프라 구축 등 종합적인 국가경쟁력 강화에 더욱 힘쓸 계획이다.
담당 부서 | 경제정책국 | 책임자 | 과 장 | 박은정 | (044-215-2830) |
거시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이동훈 | (ldh5758@korea.kr) | |
담당자 | 사무관 | 오성진 | (eyesopen80@korea.kr) |
별첨 | ’24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주요내용 |
1 | 우리나라 주요 평가 결과 |
□ ’24년 IMD 국가경쟁력 순위는 전년 대비 8계단 상승한 20위로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
* (계량지표) ‘23년 기준 통계(조세정책 등 일부 지표는 ’22년 이전 자료도 있음)
(설문지표) ’24.3~5월 조사결과를 반영
** ’97년부터 한국 순위 발표 → 이전 한국 최고 순위는 22위(‘11~13년), 최저는 41위(‘99년)
ㅇ 30-50 클럽 7개국* 중 2위, 인구 2천만명 이상 30개국** 중 7위
* 미국(12위), 한국(20위), 독일(24위), 영국(28위), 프랑스(31위), 일본(38위), 이태리(42위)
** 대만(8위), 미국(12위), 호주(13위), 중국(14위), 사우디(16위), 캐나다(19위), 한국(20위)
【 IMD 국가경쟁력 한국 순위변화 추이 】
Not supported Object.
□ 분야별로는 기업효율성(10↑), 인프라(5↑) 순위가 대폭 상승,
경제성과(2↓), 정부효율성(1↓) 순위는 소폭 하락
< 4대 분야 20개 부문별 순위 >
경제 성과 (14 → 16, 2↓) | 정부 효율성 (38 → 39, 1↓) | 기업 효율성 (33 → 23, 10↑) | 인프라 (16 → 11, 5↑) | |||||||||||||||||
국내경제 | 국제 무역 | 국제 투자 | 고용 | 물가 | 재정 | 조세정책 | 제도 여건 | 기업 여건 | 사회 여건 | 생산 성 ㆍ효율성 | 노동 시장 | 금융 | 경 영관행 | 태도ㆍ가치관 | 기본 인프라 | 기술 인프라 | 과학 인프라 | 보건 환경 | 교 육 | |
‘23년 | 11 | 42 | 32 | 4 | 41 | 40 | 26 | 33 | 53 | 33 | 41 | 39 | 36 | 35 | 18 | 23 | 23 | 2 | 29 | 26 |
‘24년 | 7 | 47 | 35 | 4 | 43 | 38 | 34 | 30 | 47 | 29 | 33 | 31 | 29 | 28 | 11 | 14 | 16 | 1 | 30 | 19 |
등락 | 4↑ | 5↓ | 3↓ | - | 2↓ | 2↑ | 8↓ | 3↑ | 6↑ | 4↑ | 8↑ | 8↑ | 7↑ | 7↑ | 7↑ | 9↑ | 7↑ | 1↑ | 1↓ | 7↑ |
2 | 분야별 평가결과 |
빨간색 : 순위상승 |
파란색 : 순위하락 |
□ (경제성과: 14→16위) 국내경제(4↑)는 순위 상승, 고용(4위)은 유지, 국제무역(5↓), 국제투자(3↓), 물가(2↓) 부문은 하락
ㅇ (국내경제) 성장률(44→34위), 총고정자본형성(51→40위) 상승
ㅇ (국제무역) 무역수지(54→49위) 상승, 민간 서비스수지(38→62위) 하락
ㅇ (국제투자) 해외직접투자(24→22위) 상승, 기업 이전이 미래경제에 미치는 위협(64→67위, 설문) 하락
ㅇ (물가) CPI(14→18위) 하락(물가 순위는 ’23년 큰 폭 상승 후 ‘24년 소폭 하락)
‘18 | ‘19 | ‘20 | ‘21 | ‘22 | ‘23 | ‘24(변동) | |
경제성과 | 20 | 27 | 27 | 18 | 22 | 14 | 16(2↓) |
- 국내경제 | 9 | 16 | 11 | 5 | 12 | 11 | 7(4↑) |
- 국제무역 | 35 | 45 | 41 | 33 | 30 | 42 | 47(5↓) |
- 국제투자 | 35 | 30 | 30 | 34 | 37 | 32 | 35(3↓) |
- 고용 | 6 | 10 | 12 | 5 | 6 | 4 | 4(-) |
- 물가 | 54 | 53 | 48 | 51 | 49 | 41 | 43(2↓) |
□ (정부효율성: 38→39위) 재정(2↑)·제도여건(3↑)·기업여건(6↑)·사회여건(4↑) 부문 순위 상승, 조세정책(8↓) 부문 하락
ㅇ (재정) 정부부채 실질증가율(56→43위), GDP 대비 재정수지(24→20위) 상승
ㅇ (조세정책) ’22년 기준 GDP 대비 총 조세(32→38위)ㆍ소득세(35→41위)ㆍ법인세(48→58위) 등 순위 하락(GDP 대비 조세부담이 높을수록 순위 하락)
ㅇ (제도여건) 관료주의(60→54위, 설문), 뇌물ㆍ부패(32→27위, 설문) 상승
ㅇ (기업여건) 자본시장 접근성(27→20위, 설문), 보조금의 공정경쟁 및 경제발전 왜곡(45→30위, 설문) 상승
ㅇ (사회여건) 기회균등(40→23위, 설문), 남녀 실업률 격차(37→21위) 상승
‘18 | ‘19 | ‘20 | ‘21 | ‘22 | ‘23 | ‘24(변동) | |
정부 효율성 | 29 | 31 | 28 | 34 | 36 | 38 | 39(1↓) |
- 재정 | 22 | 24 | 27 | 26 | 32 | 40 | 38(2↑) |
- 조세정책 | 17 | 18 | 19 | 25 | 26 | 26 | 34(8↓) |
- 제도여건 | 29 | 33 | 29 | 30 | 31 | 33 | 30(3↑) |
- 기업여건 | 47 | 50 | 46 | 49 | 48 | 53 | 47(6↑) |
- 사회여건 | 38 | 39 | 31 | 33 | 35 | 33 | 29(4↑) |
□ (기업효율성*: 33→23위) 생산성ㆍ효율성(8↑), 노동시장(8↑), 금융(7↑), 경영관행(7↑), 태도ㆍ가치관(7↑) 全 부문 순위 상승
* 그간 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설문(기업인 대상) 지표 순위가 큰 폭 상승
ㅇ (생산성ㆍ효율성) 전반적 생산성 증가율(28→15위), 디지털 기술 사용(12→11위, 설문) 등 상승
ㅇ (노동시장) 근로의욕(58→49위, 설문), 인재 유치(14→6위, 설문) 등 상승
ㅇ (금융) 주식시장(41→37위, 설문), 기업신용(49→38위, 설문) 등 상승
ㅇ (경영관행) 기업의 기회ㆍ위협 대응(43→17위, 설문), 고객만족도(16→3위, 설문), 기업의 민첩성(28→9위, 설문) 등 상승
ㅇ (태도ㆍ가치관) 국민의 유연성ㆍ적응성(30→14위, 설문), 기업의 디지털전환(11→6위, 설문) 상승
‘18 | ‘19 | ‘20 | ‘21 | ‘22 | ‘23 | ‘24(변동) | |
기업 효율성 | 43 | 34 | 28 | 27 | 33 | 33 | 23(10↑) |
- 생산성ㆍ효율성 | 39 | 38 | 38 | 31 | 36 | 41 | 33(8↑) |
- 노동시장 | 53 | 36 | 28 | 37 | 42 | 39 | 31(8↑) |
- 금융 | 33 | 34 | 34 | 23 | 23 | 36 | 29(7↑) |
- 경영관행 | 55 | 47 | 36 | 30 | 38 | 35 | 28(7↑) |
- 태도ㆍ가치관 | 30 | 25 | 15 | 21 | 23 | 18 | 11(7↑) |
□ (인프라*: 16→11위) 기본인프라(9↑), 기술인프라(7↑), 과학인프라(1↑), 교육(7↑) 부문은 상승, 보건ㆍ환경(1↓) 부문은 하락
* 그간 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설문(기업인 대상) 지표 순위가 큰 폭 상승
ㅇ (기본인프라) 수자원 접근성(13→6위, 설문), 유통인프라 효율성(8→3위, 설문) 상승
ㅇ (기술인프라) 우수 엔지니어 가용성(47→29위, 설문), 사이버보안(24→20, 설문) 상승
ㅇ (과학인프라) 지식이전(26→25위, 설문) 상승, 인구 대비 R&D 인력(1→1위), 특허(4→4)는 상위권 유지
ㅇ (보건ㆍ환경) 환경오염(50→40위, 설문) 상승, 보건인프라(14→27위, 설문) 하락
ㅇ (교육) 중등학교 등록률(36→11위), 대학교육지수(22→12위) 상승
‘18 | ‘19 | ‘20 | ‘21 | ‘22 | ‘23 | ‘24(변동) | |
인프라 | 18 | 20 | 16 | 17 | 16 | 16 | 11(5↑) |
- 기본 인프라 | 22 | 23 | 20 | 18 | 16 | 23 | 14(9↑) |
- 기술 인프라 | 14 | 22 | 13 | 17 | 19 | 23 | 16(7↑) |
- 과학 인프라 | 7 | 3 | 3 | 2 | 3 | 2 | 1(1↑) |
- 보건·환경 | 32 | 32 | 31 | 30 | 31 | 29 | 30(1↓) |
- 교육 | 25 | 30 | 27 | 30 | 29 | 26 | 19(7↑) |
참고 1 | IMD 국가경쟁력 평가 개요 |
기관 | ‣IMD(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국제경영개발대학원, 스위스 로잔) |
발표 | ‣매년 6월 세계경쟁력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
대상 | ‣OECD 국가 및 신흥국 총 67개국 |
목적 | ‣국가와 기업이 그들의 부를 증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평가 * (국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역량 (기업)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역량 |
구성 | ‣4대 분야, 20개 부문, 336개 세부항목*(보조지표 제외시 256개) * 통계자료: 164개 + 설문조사: 92개 / 보조지표: 80개 |
자료 | ‣(통계) 국제기구, 각국 정부통계, 민간기업 등의 자료 활용* * 국제기구 (IMF, World Bank, OECD, ILO 등), 정부통계(통계청 등), 민간기업 (Mercer HR Consulting - 생계비지수 등) ‣(설문) 전 세계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IMD 및 각국 파트너기관 (한국: KIEP)이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 |
참고 2 | 국가별 순위변동표 |
국가 | 순위 | 국가 | 순위 | |||||
‘22 | ‘23 | ‘24 | ‘22 | ‘23 | ‘24 | |||
싱가포르 | 3 | 4 | 1 | 카자흐스탄 | 43 | 37 | 35 | |
스위스 | 2 | 3 | 2 | 포르투갈 | 42 | 39 | 36 | |
덴마크 | 1 | 1 | 3 | 쿠웨이트 | - | 38 | 37 | |
아일랜드 | 11 | 2 | 4 | 일본 | 34 | 35 | 38 | |
홍콩 | 5 | 7 | 5 | 인도 | 37 | 40 | 39 | |
스웨덴 | 4 | 8 | 6 | 스페인 | 36 | 36 | 40 | |
UAE | 12 | 10 | 7 | 폴란드 | 50 | 43 | 41 | |
대만 | 7 | 6 | 8 | 이탈리아 | 41 | 41 | 42 | |
네덜란드 | 6 | 5 | 9 | 사이프러스 | 40 | 45 | 43 | |
노르웨이 | 9 | 14 | 10 | 칠레 | 45 | 44 | 44 | |
카타르 | 18 | 12 | 11 | 라트비아 | 35 | 51 | 45 | |
미국 | 10 | 9 | 12 | 슬로베니아 | 38 | 42 | 46 | |
호주 | 19 | 19 | 13 | 그리스 | 47 | 49 | 47 | |
중국 | 17 | 21 | 14 | 요르단 | 56 | 54 | 48 | |
핀란드 | 8 | 11 | 15 | 푸에르토리코 | - | - | 49 | |
사우디아라비아 | 24 | 17 | 16 | 루마니아 | 51 | 48 | 50 | |
아이슬란드 | 16 | 16 | 17 | 크로아티아 | 46 | 50 | 51 | |
벨기에 | 21 | 13 | 18 | 필리핀 | 48 | 52 | 52 | |
캐나다 | 14 | 15 | 19 | 터키 | 52 | 47 | 53 | |
한국 | 27 | 28 | 20 | 헝가리 | 39 | 46 | 54 | |
바레인 | 30 | 25 | 21 | 보츠와나 | 58 | 59 | 55 | |
이스라엘 | 25 | 23 | 22 | 멕시코 | 55 | 56 | 56 | |
룩셈부르크 | 13 | 20 | 23 | 콜롬비아 | 57 | 58 | 57 | |
독일 | 15 | 22 | 24 | 불가리아 | 53 | 57 | 58 | |
태국 | 33 | 30 | 25 | 슬로바키아 | 49 | 53 | 59 | |
오스트리아 | 20 | 24 | 26 | 남아프리카공화국 | 60 | 61 | 60 | |
인도네시아 | 44 | 34 | 27 | 몽골 | 61 | 62 | 61 | |
영국 | 23 | 29 | 28 | 브라질 | 59 | 60 | 62 | |
체코 | 26 | 18 | 29 | 페루 | 54 | 55 | 63 | |
리투아니아 | 29 | 32 | 30 | 나이지리아 | - | - | 64 | |
프랑스 | 28 | 33 | 31 | 가나 | - | - | 65 | |
뉴질랜드 | 31 | 31 | 32 | 아르헨티나 | 62 | 63 | 66 | |
에스토니아 | 22 | 26 | 33 | 베네수엘라 | 63 | 64 | 67 | |
말레이시아 | 32 | 27 | 34 |
* 굵은 표시는 인구 2천만 명 이상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