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가구배치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몇 가지 기본 원칙을 알고 있으면
의외로 어렵지 않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정답을 찾을 수 있는데요.
풍수지리 가구배치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우선 큰 가구들은 작은 가구들보다
위치 선정이 더욱 중요한데요.
그렇기 때문에 작은 가구나 소품보다는
큰 가구를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먼저 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가구가 너무 크면
위압감을 주기 때문에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그러므로 큰 가구는 갑갑하지 않으면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으로
고르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히 붙박이장처럼 부피가 큰 가구는
방문을 열었을 때
바로 보이도록 설치하기보다는
방문 쪽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은데요.
침대는 무조건 큰 것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방 사이즈에 맞추어서 선택을 해야 합니다.
방의 평수에 따라서
너무 크지도 적지도 작지도 않도록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요.
책장과 티브이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조건 크기가 커야
편하고 멋지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역시 위압감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크기가 너무 커서
문이나 복도를 막는다면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선도 불편해지므로
가구를 다른 자리로 옮기거나
변경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풍수지리 가구배치 소파는
어떻게 두어야 할까요?
일반적인 아파트나 주택의 경우
위치를 정하기가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
애초에 집을 설계할 때부터
소파를 어디에 둘지 선택이 불가능하게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티브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전기배선이 있는 곳이 티브이 자리이고
그 반대편이 소파의 위치로
암묵적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인데요.
일반적으로 티브이와 마주 보고
두는 경향이 있지만
되도록 소파는 현관이 보이는
곳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문을 열고
사람이 들어왔을 때 바로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그러므로 현관이 보이거나
연결되어 있는 복도가
보이도록 두어야 합니다.
또한 현관에서 대각선에 두면
풍수지리적으로 좋은 기를
받을 수 있다고 보는데요.
대각선 자리는
심리적 안정감이 느껴질 뿐만 아니라
좋은 기운이 몰리는 곳입니다.
이번엔 침실을 살펴보겠습니다.
헤드 쪽 부분은
화장실이나 서쪽을 향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요.
문을 열어보았을 때
침대가 바로 보이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방 크기에 여유가 있다면
벽면에 붙이기보다는
공간을 띄워두고 벽면 사이에
협탁을 두는 것을 추천하는데요.
그 정도의 공간이 나오지 않을 때는
문 대각선 방향 모퉁이 쪽으로
두 개의 벽면 중 한 면에
헤드 쪽이 오도록 비치하면 됩니다.
프레임이 높으면 고급스러워 보이지만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답답함을 주므로 적절한 높이의
프레임을 사용해야 합니다.
자녀가 있는 분들은
풍수지리 가구배치 중에서도
책상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가장 알고 싶으실 텐데요.
많은 가정에서 방문을 열었을 때
아이의 뒷모습이 보이도록
두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런 배치는
추천하지 않는데요.
공부를 하고 있을 때
누가 들어올지 몰라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을 열었을 때
아이의 뒷모습이 아닌
앞모습이 보이도록
두는 것을 추천하는데요.
사무실의 사장님 책상 배치를
떠올려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두면
부모님이 방문을 열었을 때
자녀 방에 있는 컴퓨터 모니터 화면이
보이지 않게 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아이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줄 수 있습니다.
또한 감시받는다는 느낌을 주지 않아
자녀가 더욱 안정적인 마음으로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데요.
또한 책상에 앉아서 바라보았을 때
책장이나 침대가 답답한 인상을
주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방 개수에 여유가 있다면
책상이 있는 공부 하는 방과
침대가 있는 침실을
구분해 주는 것이 학업에 도움이 되는데요.
공부방과 침실이 분리되면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성장기 자녀의 건강 관리에
효과적입니다.
이번에는 주방의
풍수지리 가구배치에 대해
이야기 나눠볼 텐데요.
싱크대와 가스레인지는
각각 물과 불의 기운을
상징하기 때문에 서로 되도록이면
거리를 멀리하는 게 좋습니다.
부엌에서 물을 상징하는 것은
싱크대와 냉장고인데요.
불을 상징하는 것은
가스레인지를 비롯하여
오븐, 인덕션, 전자레인지
등이 있습니다.
두 가지 기가 상충하므로
가급적이면 거리를 두어 배치하고
물과 불의 기운 사이에
관엽식물을 두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나무는 물로 인해 자라고
불의 땔감이 되기 때문에
관엽식물을 중간에 둠으로써
상생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엌 수납장이
나무로 되어있다면
이 부분은 이미 보완되므로
생략해도 괜찮습니다.
식탁은 나무 재질이 좋으며
모서리가 각진 것보다는
둥글게 마감된 것이 낫고
원형 식탁은 화목한 가정을 이루는데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리나 대리석 소재의 식탁은
음기가 강하며 찬 성질을 띄므로
식탁보를 활용하면
음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풍수지리 가구배치 화장실은 어떨까요?
화장실은 집의 중심부에 위치하면
그 집이 이미지가 좋지 못하게 되므로
중심부를 피해야 하는데요.
현관과 너무 가까이에 있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특히 문을 열었을 때
화장실이 바로 보이는 구조는
돈이 나가는 구조라 하여
피해야 하는데요.
공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볼일을 보는 곳인 변기가 있는 곳과
샤워를 하는 샤워부스를
구분해서 쓰는 것이 좋습니다.
세면기와 욕조, 탈의를 할 수 있는 공간도
따로 사용할 수 있다면
풍수지리적으로도 위생적으로도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카페 게시글
[학회] 인테 전원
풍수지리 가구배치 좋은 기운이 술술
운조루
추천 0
조회 2,074
22.04.03 20:57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