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상 속의 짐승이기에 그 뿌리에 대한 이설이 많으나 고대중국의 태평왕국인 요(堯)나라 때 법을 다스렸던 고도( 陶)가
조정에서 기르던 외뿔(一角) 짐승으로 바르고 그르고 선하고 악하고를 그 뿔을 갖다 대어 즉각 판정하기에 해치 앞에서
속일 수가 없었다. 공평무사한 명판관으로 역사에서 우러름 받아온 고도를 이 해치에 결부시킨 것일 게다. 고대 퉁구스
부족은 죄인을 호랑이 앞에 던져주고 잡아먹지 않으면 무죄로 알았고 아프리카 나일강 상류에서는 범죄 용의자를 추장이
기르는 늙은 악어에게 노출시켜 달려들면 유죄로 쳤듯이 도덕적 신통력을 지닌 해치도 이 같은 원시적인 신판(神判)의
유교적 표출일 것이다.
해치 말고 요나라 조당(朝堂)에는 해치의 식물판이라고 할 수 있는 굴질이라는 풀도 자라고 있었다. 간사하고 아첨하며
흑심을 품은 자가 궁중에 들어오면 이 풀이 전후좌우로 흔들린다 하여 지영초라 불렸다. 「후삼국연의(後三國演義)」에
보면 여주인공 석주(石珠)가 타고 다니던 괴수가 해치였다. 곰도 범도 아닌 것이 외뿔이 돋고 입은 봉황새 같다 하고 마음에
사심을 품거나 악하고 바르지 않음을 투시하여 대들고 안하고 한다 했다.
초(楚)나라 때부터 사법 행정의 이상적 상징으로 궁문이나 관문 앞에 세워두고 진미(塵尾)라 하여 드나드는 관원들에게
이 해치의 꼬리를 쓰다듬게 하여 마음 속의 먼지를 터는 것이 관행이었다. 광화문전의 해치 꼬리가 다른 부위보다 때가
더 타 있는 것은 그 진미 때문이다.
[국가지식포털]에서..
해태(獬豸)는 중국과 한국에 전해지는 전설상의 동물이다.
사자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기린처럼 머리에 뿔이 나 있고, 목에 방울을 달고 있으며, 몸 전체는 비늘로 덮여 있다고 한다.
또 겨드랑이에는 날개를 닮은 깃털이 나 있다고하며 태양을 지키는 불멸의 신수라고 한다.
여름에는 늪가에 살고 겨울에는 소나무 숲에 산다고 한다.
선과 악을 간파하는 불가사의한 힘을 지니고 있으며, 덕분에 선한 사람과 악한 사람을 구분할 줄 알아서 악한 사람은
뿔로 받아 응징한다고 한다. 이 같은 속성 때문에 해태는 재판과 관계지어졌으며, 후세에는 해태의 모습이 재판관의 옷에
그려졌다. 한국의 경우, 조선시대에는 관리들을 감찰하고 법을 집행하는 사헌부를 지켜주는 상징으로, 사헌부의 우두머리인
대사헌이 입는 관복의 흉배에 해태를 새겼다. 또한 오늘날에도 대한민국의 국회의사당과 대검찰청 앞에 해태상이 세워져
있다. 이는 해태처럼 자신의 마음을 가다듬고 항상 경계하며, 정의의 편에 서서 법을 공정하게 처리하라는 뜻이 담겨져 있다.
이로 인해 다른 전설상의 동물들은 훌륭한 왕이나 성인이 태어나거나 크게 활약을 할 때 나타났지만, 해태는 왕의 재판이
공정하게 행해지는 시대에 나타난다고 한다.
또 화재나 재앙을 물리치는 신수(神獸)로 여겨져, 경복궁 앞에 한 쌍의 해태상이 자리잡고 있다. 풍수지리설에 비추어 볼 때,
서울은 나라의 수도로 더없이 좋은 곳이기는 하지만, 딱 한 가지 불에 약하다는 약점이 있다고 한다. 특히나 관악산이 유달리
불의 기운이 강한 산인데, 경복궁 뒤의 북악산이 관악산보다 낮아서 그 기운을 막기가 무척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불의
기운을 억누르기 위해 경복궁 앞에 두 개의 해태 석상을 세웠다고 한다.
일본에서도 해태가 알려져 있으며 에도 시대의 동물도감에는, 몸은 양과 비슷하고 네 개의 다리와 한 개의 뿔이 있다고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