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짚 갈(秸)자는 의부(義符)로 벼 화(禾)자에 성부(聲符)로 길할 길(吉)자를 했습니다. 길할 길(吉)자는 선비 사(士)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선비의 말이 길한 것임을 나타냈습니다. 또 옛 글자를 보면 나무를 그린 글자 같기도 합니다. 나무를 심고 잘 가꾸는 일도 또한 길한 일이겠지요. 찢을 갈(㓤), 짧을 갈(䂒)자들은 길할 길(吉)자가 들어 있어서 ‘갈’로 읽습니다.갈자(秸子) 갈간(秸秆) 포미갈(包米秸) 옥미갈(玉米秸) 포미갈(包米秸) 출출갈(秫秫秸)
구결자 갈(乫)자는 더할 가(加)자에 새 을(乙)자를 했습니다. 새 을(乙)자는 'ㄹ'자처럼 보입니다.갈이(乫伊) 갈지(乫只) 갈구리(乫拘里) 갈비(乫非) 신갈(新乫)
어찌 갈(曷)자는 가로 왈(曰)자 아래에 쌀 포(勹)자를 하고 그 안에 망할 망(亡)자를 했습니다. 빌 개(匃)자는 죽은 사람 앞에서 명복을 비는 글자입니다. 어지 갈(曷)자도 죽어서 어찌하느냐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갈동미지(曷冬彌知) 갈사국(曷思國) 갈뢰전(曷懶甸) 갈불위효(曷不爲孝) 오갈(烏曷)
비 갈(碣)자는 의부(義符)로 돌 석(石)자에 성부(聲符)로 어찌 갈(曷)자를 했습니다. 어찌 갈(曷)자는 말한다는 뜻이 있는 가로 왈(曰)자 아래에 빌 개(匃)자를 했습니다. 빌 개(匃)자는 쌀 포(勹)자 안에 망할 망(亡)자를 한 글자입니다. 죽은 사람을 앞에 놓고 비는 빌 개(匃)자가 전주(轉注)되어 얻어먹느라고 비는 것도 뜻하게 되었습니다. 어찌 갈(曷)자는 죽은 사람을 앞에 놓고 어찌하느냐고 신에게 빌거나 한탄(恨歎)하는 글자입니다. 갈도(碣島) 갈석산(碣石山) 갈음(碣陰) 함평갈(咸平碣) 묘갈명(墓碣銘) 비갈(碑碣)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