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월중순에
사할린주의 수도 유즈노 사할린스크에서 북쪽으로 50km 지점에 위치한 돌린스크를 다녀왔다.


유즈노 사할린스크에서 남쪽으로 40km쭘 가면 사할린동포 위령비가 있는 코르사코프가 나오고
북쪽으로 가면 돌린스크가 나온다.


원래는 한인 동포들이 일본의 징용으로 끌려와서 탄광에서 일했던 "브이코프"도 보려고 했는데
우리를 안내한 동포3세가 돈을 더 달라고 요구하기에 "버릇을 나쁘게 들게 할까봐서" 그냥 브이코프는 포기했다.
택시를 부르려니 왕복 4,000루불이면 충분하지만 시내를 돌아보거나 식사를 할때 택시를 마냥 세워둘수가 없어서
한인3세(역시 택시영업)와 흥정하여서 왔는데, 역시 마음데로 다닐수는 없었다.
거리에 따라서 돈을 더 달라고 하기에 그냥 시내중심에 차를 세워놓고 돌아보았다.

이 건물은 결혼식이나 피로연을 할때 대여해주는 곳인데 / 화장실을 이용하자고 물었더니 선듯 허락한다.
안내해준 기사도 돌린스크 시내의 지리를 모른다고 하여서 건물 청소하는 "탄야"에게 물었더니 친절히 알려주었다.
탄야는 러시아 바이칼호수 근처 "자 바이칼" 주의 시골에서(지금은 중국 만주리)살다가 2014년 사할린으로 왔단다.
처음에는 유람선에서 일하다가 2016년 부터 이곳의 청소부로 일한단다.

돌린스크를 돌아보면 힘든 러시아의 결제가 보였다.
허름한 집들이 많은데도 수리할 돈이 없는 듯 ...

인구 5만의 "돌린스크" 그저 조용하고 아늑했다.

러시아 어디를 가나 볼수있는 2차대전 승전 기념공원


돌린스크 시청앞 공장.

러시아 연방 사할린 주의 "돌린스크" 시청사

시청광장

1936년생 "루드밀라 그레고리예브나" 는
1947년 아버지가 사할린에서 일자리를 갖게 되어서 가족이 함께 이곳으로 이주했단다.
한때 사할린은 일본과 러시아가 공유하던 "거의 버려지다시피 했던 땅" 이었는데
러시아가 1945년 2차대전에서 승이하면서 사할린 전체를 일본으로부터 되 찾았다.
그이후 스탈린은 많은 러시아 사람들을 사할린과 동북 러시아로 이주시켰다.
당연히 모스크바보다 월급을 많이 주고 좋은 대우를 해 주었기에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주했다.
러시아 동.북 지역은 기후가 나쁘고 살기가 힘든 땅이었지만 모스크바보다 월급이 3배가량 많이 주는 지역도 있었다.
한국 역시 시골로 이주하는 사람들에게 서울보다 3배의 월급을 준다면 직업이 없는 많은 유능한 젊은이 들이 시골로 이주할 것이다.
그래서 대한민국이 고루 발전할 것이다.


김복실할머니의 아버지는 평양에서 사할린으로 이주한 케이스다.
딸 타티아나와 손녀도 함께 산책을 나왔다.
광복후에 남북이 왕래하던 시절에, 많은 북쪽 사람들이 남한으로 또 러시아로 넘어왔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요즘은 탈북자들과 만나는 것이 흔하겠는데
이곳 러시아 동부지역에서는 북한 사람들을 흔히 만나게된다.
러시아 동부지역만 약3만명의 북한 사람들이 벌목공이나 집짖는 곳에서 일을하고 있는데
이들의 임금의 대부분은 북한으로 보내지고 있으며, 일부만 인부들에게 돌려진다고 한다.


연극인들에게는 유명한 작가가 "안톤 체홉"이다.
러시아의 문학가인데 체홉은 모스크바를 출발하여서 거의 러시아의 동쪽끝인 사할린까지 기행을 하였다.
체홉이 다녀갔던 러시아의 많은 도시에는 거의 동상이 세워져있다.

음악학교 건물인데 이곳에서는 당연히 음악을 배우지만 미술이나 발레도 함께 가르친다.
러시아의 음악학교 시스템은 오전에는 일반학교에서 공부하고 오후에는 자신이 원하는 에능교육을 받는다.
일부 돈을 받는 곳(대도시)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의 음악학교는 무료이다.

사할린은 한때는 버려진 땅이었다.
그래서 일본 원주민과 일부 러시아인들이 고기를 잡아먹으면서 살았던 척박한 곳이었다.
척박한 땅이 었기에 러시아도 일본도 사할린에는 관심이 많지 않았으며, 그냥 북쪽은 러시아가 남쪽은 일본이 지배했다.
1905년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사할린 전체를 차지했다가
1945년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하면서 일본은 사할린은 물론이고 일본 북쪽 쿠릴열도 4개의 섬도 빼았겼다.
그때 일본이 넘겼던 쿠릴열도를 다시 찾으려고 일본은 발악을 하고있다.
왜냐면 북쪽에는 수많은 자원과 고기가 많이 잡히니까.
또 구ㅜ사적으로도 중요한 위치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