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溪堂先生文集卷之十二 / 碑銘 / 琴齋姜先生遺墟碑
姜高山在山陰縣治之西。琴齋姜先生居其下。山舊名筆峯。金慕齋先生嘗禮先生於是山。因以姜高山改命之。蓋先生曾爲高山縣監。世稱姜高山故也。鄕人遂以是傳之云。今去先生四百年。其後人愈久而愈不忘其景慕。將卽其址建碑。圖載蹟垂永。先生十二代孫胤斗北來。徵文於疇睦。不敢以文拙辭。謹按先生晉州大姓。諱漢字宗于。
寶文閣直提學諱淮仲之曾孫軍威縣監諱利敬之子。縣監公與南怡將軍同契同禍。先生時在襁。隨母夫人流咸陽。幼志學。母言罪孤何學。答朝聞夕死可。自此學日進。性至孝。一唯承親意。筆法早就。年十六爲人書疏本。其書大被成廟賞。馹召對便殿。承命書各體進淚落。上恠問故原之。考公寃始白。時使命相續。接伴難其人。上嘉先生學識禮貌。遂命先生白衣從事。弘治丙辰中司馬。補吏職出爲知禮高山二縣。治廉簡。儒化大作。手書朱子童蒙須知刊出。使童冠誦習焉。嘗見國朝寶鑑。慕齋按本道。鋟童蒙須知於山陰縣。以廣其敎壽其傳。中廟命元子講是書。慕爺與先生道義篤。意者先生爲慕爺而書之耶。喬桐主世。決意屛迹。築室於頭流東麓溪石佳處。卽筆峯下也下有鳴琴灘。名其齋曰琴齋。琴書自娛而終。不敢忘成廟之恩。有感君恩曲。戊甲史禍作。大儒淸流盡入斬伐。而郡人一蠧鄭先生首禍焉。先生從蠧爺淵源沿襲。而超然免於禍網。詩之所云明哲保身。其殆先生之謂歟。平生對案。惟硏究經傳性理書曁東賢遺文。一時聞人如鄭蠖溪玉堅,權睡軒五福,鄭湖陰土龍多出其門。後孫如介庵翼,灆蔭繗,笑癡齋命世。亦皆以儒者著名云。於乎。先生世遠。且文稿入兵燹无遺。今見存只童蒙須知手本而已。今人縱欲稱述。何得以據依也。慕齋有言曰公非安國之友也。乃安國之師也。又有題琴齋詩曰頭流山色吟囱裏。鳴玉灘聲醉枕間。自有林皋娛歲月。更無魂夢到塵寰。九拙梁公喜撰先生狀曰其學遏人欲而存天理。其業內六經而外百家。其行本孝悌而體敬義。其所操存。莫非躳行心得之妙。而先時見幾。色斯遠擧。世稱其鑑。噫斯盡之矣。此先生之所以重於百世。何贅焉。詩曰高山仰止。景行行止。後之登玆山者。其誰不三復此詩而低徊感歎也耶。幹財力而蕫石事者。十四代祀孫秉義。十二代孫胤桓可尙也。先生葬在咸陽郡南木洞。肅廟壬午。士林建龜川書院以享先生。
桐溪先生文集卷之三 / 行狀 / 介庵姜先生行狀
先生姓姜。諱翼。字仲輔。自號介庵。又號松庵。其先晉州人。高麗國子博士啓庸之後。厥後趾其美。冠冕不絶。曾祖諱利敬。軍威縣監。祖諱漢。知禮縣監。考諱謹友。承仕郞。妣南原梁氏。麗朝太子中允朱雲之後。長興都護府使灌之孫。承仕郞應麒之女。以嘉靖癸未正月十八日。生先生。生而岐嶷。甫及齠齕。狀貌魁偉。雙瞳炯然。見者知其爲非常兒矣。然氣骨豪邁。不拘繩墨。常以佃獵角觝爲事。年至十四五。尙未入學。承仕公憂之。而方在沈痾中。不能嚴其敎督之方。一日戒之曰。人而不學。無異禽獸。奈何甘與蠢蠢者同歸。先生默然良久。忽有所感悟。明日就學于同閈鄭希輔。其門學徒。見先生以初學從之。皆笑以爲晩。希輔試敎以史略初卷。見其句讀分明。音韻淸朗。竦然異之曰。爲他日大儒。必此人也。自是激昂自奮。終日危坐。孜孜矹矹。忘寢與食。纔讀一卷。文理已達。不復從師。有時質疑而已。于時。先生年幾弱冠。不但畫以通書史習時文而已。蓋已知有所謂爲己之學者。而喚醒斂飭於心身內外之間者。已得其端的矣。甲辰。丁外艱。初喪。哀毀踰禮。旣葬。廬于墓側。省問慈闈之外。足跡未嘗離几筵。鄕隣稱嘆之。己酉。與伯兄參。同占進士試。其後一二赴擧。輒已厭廢。專以讀書求志爲事。奉養孀母。左右無方。承顏以色。菽水盡歡。每於定省之際。從容侍坐。歷陳古今嘉言善行。冀其聞而喜悅焉。與兄弟姊妹。怡怡無間言。營釐嫁娶。咸克有立。舅氏梁公悅居與之近。朝夕必省焉。在書樓。聞其語聲。認其出外。則輒下樓拱立。以俟其過。家業屢空。衣未必取完。食未必取飽。而處之裕如。不以爲憂。雅有高趣。棲心閑靜。頭流北麓。有洞曰登龜。愛其宅幽而勢阻。買田結茅。以爲終老之計。歲在壬子。先生爲一蠹文獻公。刱立書院。時我東方書院。竹溪之外。無有焉。見聞未熟。異議橫生。先生毅然不動。決意擧役。適値郡守徐九淵。雅敬重先生。尙其所爲。出力相助。旣立講堂。而徐公遞去。繼之者匪人。未瓦而風且雨者六年。其後得尹確,金宇弘相繼來莅首尾十年。而乃克訖功。廟宇儼然。階砌峻整。東西齋舍。樓門廚庫。次第俱備。池垣潔正。松竹森列。以春秋次丁。率諸生而俎豆之。儀式詳備。禮貌嚴肅。諸生莫不駿奔將事。不懈益虔。旣又爲之料理指畫。裒書聚穀。以爲藏修永久之地。遠近聞風坌集。莫不願在諸生之列。聽其講說。事聞。賜額灆溪。頒書籍以榮之。蓋自寒暄,一蠹被禍之後。雖有昭雪之典。而士氣猶未盡伸。斯文猶未盡興。至於父兄子弟之所以勸勉詔告者。猶未脫然於禍福成敗之機。而諱言道學之事。先生用是憂之。奮然爲己任。排衆咻斥群疑。憊心疲精。積以歲月而卒有所成就。使道學煥然復明於世。嚮之咻者定。疑者信。而諱言者釋然。則儒先之道。得先生而益光且明。其有補於世道。豈淺淺乎。隆慶丁卯。以吳斯文德溪之薦。除昭格署參奉。將理肅行。以疾不起。寔十月之二日也。當其疾之病。有紫氣若長繩。自空中垂接于屋上。迨其屬纊。其氣漸收。薄天而滅。見者異之。以爲哲人之亡。天其示異乎。享年四十有五。卜葬于立石洞卯坐酉向之原。承仕公兆側也。萬曆辛巳。鄕人立祠廟。以先生配於玉溪盧先生。其後寒岡鄭先生。答稟定位次之書。介庵與玉溪。只以朋友而相敬。未見其師生之分云。東岡金先生之言。亦如是。始定竝享之位。別爲祝詞。品式均齊。先正之言。豈無所見而然耶。始建於溏洲。中移於羅村。後移於新溪。因號爲新溪書院云。先生天品高明。城府坦易。沈潛靜默。喜怒不形。風彩峻拔。鬚髥秀美。不喜麴糱。不近聲色。其於一切世味。泊如也。至其爲學。無所師承。而自能奮發。超悟探頤義理。貫徹玄微。古書之盤鐟肯綮。人所難曉者。一經於目。迎刃縷解。聞其講釋。如客得歸。嘗曰。書豈有不可曉者。古人爲文。皆有其理。泝理而求之。自無難處。又嘗曰。學貴自得。非自得者。易至差失。事在勉強。非勉強則無以成功。先生之於爲人。非但天質粹美。依本分做底。其強學力行。精思明辨。從事於格致之方。用力於誠正之功。幽獨隱微之中。而所以操存者不懈。動作酬應之際。而所以省察者益密。蓋其重厚。故其學固。剛毅。故其行篤。內外完好。色夷氣淸。望之可畏。卽之可愛。是以人無賢不肖。莫不有以觀感而無怨惡之者。詩所謂在彼無惡。在此無斁者。先生蓋近之矣。先生與玉溪先生。交契深密。始終莫違。以先進事南冥先生。出入其門。又與東岡金先生。往來切磋。互相推重。斯三先生者。智足以知賢人。而不爲阿好溢美之言。南冥嘗與先生論學。語及鮮克有終。深歎今之學者不克有終。因曰。吾平生見欺於人多矣。的然相信而保無可疑者。唯吾子一人而已。玉溪以文哭其死累數百餘言。其略曰。唯君之生。氣厚才明。早習文藝。卽判重輕。屛居求志。惟古人是希。身蹈繩約。思徹玄微。稽經觀書。默契心會。雖遇肯綮。迎刃而解。一簞一瓢。其守愈確。和而實介。物莫之奪。犯而不較。人孰涯涘。德宇醇如。可敦薄鄙。孝友行全。疇克倫比。東岡亦哭之以文。略曰。嗚呼。程朱沒而微言絶。關婺墟而大道隱。此道之託。不過文字口耳。而異端之學。又不勝其紛縕。士生斯世。非有卓然之高識。則孰能特立而不惑。雖北方之學者。猶多昧其向方。而況乎東土之陋僻於斯世。而閉門自守。味衆人所不味。斯非豪傑之士。不待文王者歟。余求友於斯世。蓋所取之多方。然而學之正。守之固。則未有如夫子之淳篤。又曰。弘哉其執德之廣。毅乎其任道之力。誾誾乎其取善之量。切切乎其文會之益。則其積於內者深而厚。所以著於外者朴而茂。脚踏平實。雖不爲崖岸斬絶之行。而存心不苟。隱然爲濁世之砥柱。又曰。見斯世有斯人。而謂天其未喪於斯文也。是何其德之豐而命之嗇。賦予之偏。終不得其均也。已矣乎。揚休山立。不可得而復見。猶有不亡者之長存云云。欲求先生之道者。見此三賢之言。則可以得其槪矣。先生之沒。于今六十年餘。而狀文之托。未有所屬。當時親炙之徒皆已老死。名言懿行之在人耳目者皆已湮沒。十未得其一二。雖以甥姪之親如蘊之愚。而生於易簀之後三年。則何以得其幽光之萬一哉。第以表兄渭明之請懇懇不已。義亦有不可推諉者。故謹就鄕士從子之所敍述。略陳於前。而終證之以三先生之說。所引繁而不殺。殊失狀文之體。然與其以疑似髣髴之跡。敷衍誇張。自立己說。以欺先生欺後世。曷若引據諸賢的確之論可傳於後無疑者哉。文體之失。固不暇顧也。嗚呼。天之生先生也。旣賦以如許之才之德。而澤焉而不川。使不得行道於當世。又奪之斯遽。使不暇立言垂後。以爲開來學淑人心之地。天之生先生之意。果安在哉。痛矣哉痛矣哉。先生娶慶基殿參奉卞潤原之女。卞亦草溪著姓。生三男二女。男渭英,渭賢,渭明。女愼誼。林眞慜。先生不喜著述。其或因事而記纂。遇興而吟詠者。未知其多少。而皆散失無餘。今其存者。只在人口誦者若干首而已。其亦可憾也已。娚姪嘉善大夫行承政院都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藝文館直提學,尙瑞院正鄭蘊。謹狀。
姜繗 1568 1619 晉州 克修 灆陰
姜繗 1568 1619 灆陰姜公行狀 行狀 鄭煒 芝厓集
정위(鄭煒) 1740년(영조 16)~1811년(순조 11)
芝厓先生文集卷之六 / 行狀 / 灆陰姜公行狀
公諱繗字克修號灆陰。姓姜氏。其先晉陽人也。始祖諱以式。爲高麗兵馬元帥。
十代祖晉原府院君諱昌貴。
九代祖鳳山君諡文敬公諱君寶。
八代祖晉山府院君諡恭穆公諱蓍。
七代祖忠淸道觀察使諱淮伯。
六代祖刑曹參判諱安福。
五代祖縣監諱利敬。歷世卿相。輝暎史乘。爲東國名閥。
高祖諱漢。仕于成廟朝。歷典知禮,高山。晩値燕山昏亂之際。隱於筆峯下琴灘上。自號琴齋。後人慕之。享于龜川祠。
曾祖諱愼友參奉。
祖諱奎承承議郞。
考諱渭老星州牧使。*강군망(姜君望) : ?~? 강위로(姜渭老)의 자(字). 본관은 진주. 호는 양성정(養性亭). 강규(姜奎)의 아들.
配豐川盧氏察訪祼之女。信古堂友明之孫女也。公以隆慶二年戊辰三月二十七日。生于巨坪。資稟溫良。器宇端雅。自幼才藝出人。受學而不勞師敎。讀書而深解旨義。年十六七。往學於外祖徙菴公之門。徙菴卽玉溪先生之弟也。文穆公至玉溪家。見公之儀表才器。迥出等夷。心異之曰。此兒必大用於世。以其女歸之。公自是出入先生門下。始知有爲己之學。講究性理。律己敬愼。先生甚愛重之。門下諸賢多推許焉。居家養親。誠孝備至。餘力學問。篤志求道。未嘗閒放過日月也。逮至壬辰之亂。公年尙少。不勝憤慨。而自料一箇書生。無以抗敵。乃聚鄕內士子。相議擧義。以盧士豫,盧士尙爲都有司。公與鄭慶雲主記事。究境內民人之數。隨民家貧富之勢。定其軍額。分其軍餉。收各家鏃鐵。以備片箭。兼收民家舊弓。搜出戰馬。招集軍卒。數日之間。軍容稍振。公飛文安義。勉其擧義之道。聞車駕播遷在義州。聚鄰邑士子。爲陳疏之計。分定任司。時招諭使金鶴峯在居昌。公與盧士豫,趙光立,朴汝樑,朴𥶷,盧士尙,鄭慶雲等八人。往拜而歸。未久聞鶴峯在石谷。更與數人踰伽倻山。歷星州甑山。謁金大將於陣所。及金大將移陣墟谷。公與諸有司告退。癸巳臘月。劉總兵到郡。公與郡中士人。備牛酒饗之。甲午二月。翼虎將軍金德齡到郡。公與鄭慶雲,盧士亨入見。見其軍容整肅。號令嚴明。頗有古將之風。公與其褊裨金司評彥勖,崔開寧琦準,金舒川允明。共議兵事而歸。是歲之七月。遭其配鄭氏之喪。時値干戈之際。又遭喪故。蒼黃悲瘁。未暇占地。權窆于大也原先塋之麓。自初終之後。克襄之日。卽赴會所。與諸人日夜講議。未嘗暇遑。朴大菴惺時以安陰倅。爲兼官而來。公與盧忠甫入見。共議將軍繼援之事。又送鐵物于將軍陣所。自壬辰以後。逐年兵火。八路充斥。曁丁酉年間。賊鋒踐蹂於安咸之間。時咸陽倅趙公宗道,安陰倅郭公䞭保守黃石山城。公奉兩親。移避于安陰上洞。因共入城中。公季父越城堞而至。見倭奴彌滿於主嚴竹田。遂父子叔姪。扶老抱幼。昏夜踰城。蒼黃奔竄。峽路相失。轉到江原界。而路中有遺冊子者。就視則七書及春秋也。公愛其書。收納粮槖而歸。至今在子孫家。亂定後奉親歸巨坪。兵燹之餘。人物稀疎。鄕里無法。公鎭撫居民。刱設洞契。典護財穀。廣置田疇。以給民間公役之費。且於鄭先生家。謄出呂氏鄕約。爲一卷冊。常置几案。一遵其法。吉匈相救之誼。勸善懲惡之道。至今傳而不墜。居民傳誦曰姜校理家遺法也。雖兵火之後。孜孜勤學。文章日進。遂於萬曆辛丑中司馬。壬寅春。與李大約,宋遠器等。上疏陳守愚堂崔永慶之寃。又與林學曾,李久,任叔英等百餘人。請五賢從祀文廟。而批旨以晦齋忠順堂事爲疑。故又與金止善等。絫疏辨誣。己酉拜栗峯察訪。居職公平。吏卒咸頌。壬子遞歸。癸丑中文科。甲寅拜刑曹佐郞。乙卯拜正言。尋除弘文館校理。復拜司果。六月拜司書。侍講於世子。連拜持平,司直,掌令,獻納。是時署經之法懈弛久矣。公上箚略曰所當遵守者。先王成憲也。不可不信者。一國公論也。署經之法。自祖宗刱始久矣。或出或越。一循公議。三度見越而必遞者。誠以先王之法。不可廢也。一國之論。不可拂也。今以一訥之故。廢祖宗金石之典。拂一國公共之論。臣竊恐祖宗之法。始撓於今日。而貽弊於後日云云。其餘匡君憂國之意。扶正排邪之論。懃懇於章奏之間。丙辰又拜持平,副司直,校理。辭職乞歸。蓋上有老親。無他兄弟。故不樂仕宦。每欲歸養矣。丁巳復除軍器寺正及掌令。辭以親老。棄官而歸。戊午夏復召以校理。又拜司直,司勇。先是寒岡先生謂公曰吾觀當朝物色。江陽老相。勢焰熏天。自古人臣之權振一國者。鮮有不敗。此其勢不久。君勿復相從可也。公深服其訓。不復往來於其家。己未以司導寺正。上疏蒙許。歸家貽書蘭浦鄭慶雲曰望雲思切。難禁遊子之懷。綵衣膝下。爰得我所之樂。是年冬。諭旨復下。辭疾不赴。病勢漸劇。以萬曆己未十二月初九日歿焉。越明年庚申二月十二日。葬于郡南血溪子坐之原。蓋其先塋之側也。公以琴齋之玄孫。介菴之從孫。自有家學之淵源。而又嘗薰炙於玉溪之家。從事於寒岡之門。性理之工。道學之業。進進不已。事君事親。忠孝俱全。行己處事。務從正大。志尙廉介。氣節剛直。有臨大節不撓之操。故其在言官。常抗疏直言。有秦之趙高指鹿爲馬。今之朝臣。指邪爲正等語。故人皆曰有史魚之風。當時名流。交口推奬曰。勤學不倦。又曰鶚立薇垣。又曰淵源出大賢。可以想公之平日大槩矣。嘗於灆溪書院。措置經畫。皆出於公。而節目之詳。就質於先生。實紀之文。往復於旅軒。*張顯光 1554 1637 仁同 德晦 旅軒 文康
則其所以衛吾道扶斯文者。亦何如也。噫龍蛇兵燹。憤慨擧義。則忠君之志切矣。庭闈定省。就養無方。則孝親之道至矣。若其濟世安民之策。寓之於洞中條約。尊賢重道之誠。行之於院中節目。薇垣之談論凜凜。楓陛之章奏懇懇。苟非有得於諸賢之道。而涵養成就者。何以致此。於乎韙哉。配淸州鄭氏。文穆公諱逑之女。
有一子曰
有徵生員。後配淸州韓氏。判官孝中之女。有一女適郡守趙志孟。有徵有一子曰
文載。文載有五男二女。
長曰命世。以學行除參奉。*姜命世 1632 1708 晉州 德秀 笑癡
次曰昌世生員。
次曰煕世。
次曰顯世。
次曰憲世。女長適士人朴厚基。次適許㶅。其餘玄孫以下。不可勝記。今來請狀文者。公之七世孫周臣也。顧余孤陋。何敢當玆事之託。而公是吾先祖考外甥。而世篤誼分。則亦不敢固辭。謹依其家狀。略敍世系子孫及平日事蹟。以竢夫立言君子採擇焉。歲己巳仲春下浣。後學西原鄭煒謹狀。
立齋先生文集卷之三十五 / 碣銘 / 笑癡子晉山姜公墓碣銘 並序
公諱命世字德秀。笑癡子其自號也。晉山之姜。顯自羅麗。入本朝有大提學淮仲。至郡守漢。號琴齋。享龜川祠。歷數世至校理諱繗號灆陰。是生生員諱有徵。卽公祖考。考諱文載。妣坡平尹氏。進士英男之女。以崇禎壬申九月日生公。公自幼性篤厚醇謹。執役課讀。一唯長者命。孝愛出天。祖考生員公嘗丁繼妣憂。而考學生公疾淹累月。公時年甫十三。助奠視藥。俱盡誠禮。及析居距庭闈六七里。而逐日省問無或曠。母病癘竭誠侍護。涕泣禱天。竟獲痊。旣而四子女繼染死。不以戚容見於親。養志體備至。學生公有氣欝喘急症。頃刻若難保者日再三。公晝宵煎灼。雖於間歇時。曲肱假寐。以伺其動靜。如是者凡四載。遭內外艱。毁踰制。廬墓啜粥以終三年。體先意竭力竪高曾祖墓碣。外家絶嗣。母常懷至痛。公爲立后。因擧土田臧獲而歸之。友諸弟甚篤。居常共被同案。物無爾我。睦宗族周恤如不及。立洞䂓設鄕約。以止其爭訟。性恬澹凝重。朋輩博奕。儼坐不顧。雖以親命應擧。屢屈而不少恨。及中司馬兩試。畧設喜宴曰。榮親豈在是哉。少有酒失。因嚴訓終身飮。不踰一杯。平生好讀聖賢書。尤深於易。自朝家命列邑選明易士。鄕人議欲以公聞。公瞿然力止之。及薦爲齊陵郞。以親老謝不出。後十五年戊子六月日卒。壽七十七。葬所居咸陽巨坪負乾原。以配呂氏祔焉。呂氏同樞燻女。有四男元厚,謙厚,寬厚,仁厚。元厚嗣子公望。謙厚二子公望出,公悅。四女尹龍瑞,李遇明,河應復,崔東旭。寬厚二子公逸,公達。二女尹栩,河應期。仁厚司馬三子公大,公耉公進。餘不錄。公膽氣過人。嘗有火賊再掠公所居村。公幷喝退之。坐不動。得無事。後賊酋化爲良。見人說伊時事。津津道公聲威能辟人狀云。公秉心公平。高潔自守。嘗有州官欲引拔公子弟。出六文題令製進。公知其意。命毋製。於庚戌冬知明歲饑。就舍西空地。坎而糞之。至數千鍾。種秫菽豆於其中。至秋四野皆荒。而坑穀獨登。賴以活者甚衆。又傾家賑之。一方得免塡壑。噫若使公得展所蘊。可以經綸當世。而時命齲𪙉。竟以一寢郞終。惜哉。公五世孫師魯持家狀乞余銘公墓。遂撮錄如右。系以詩曰。
周用三物。以賓興士。有能其一。斯亦難爾。卓哉惟公。六行旣至。胡不公卿。乃一命止。尤可仰者。皭乎無滓。巨坪之山。終古以峙。刻石表墓。期與無已。
溪堂先生文集卷之十五 / 行狀 / 齊陵參奉笑癡子姜公行狀
公諱命世字德秀號笑癡子。姓姜氏。系出晉陽。高麗元帥諱以式卽鼻祖。至諱淮仲。入本朝提學號通溪。有諱漢號琴齋。坐家難流咸陽仍家。子孫遂爲咸人。雪先冤官高山縣監。値燕山昏虐。屛居頭流。與金慕齋先生爲道義交。是爲七世祖。高祖諱渭老。星州牧使。曾祖諱繗弘文校理。祖諱有徵成均生員。考諱文載有篤行。妣坡平尹氏。生員英男女。壼宜稱。崇禎壬申生公。岐嶷夙成。七歲夢承老人敎。自是讀無礙。以所讀敎弟。甲申生員公丁先公憂。久寢疾。公助王考奠。侍親藥若成人。乙酉祖妣祖考遘癘幷喪出。公時纔成童。見其救護之節者。賢之。殮殯葬祭之禮者益賢之。始勤苦力學。學日就。己亥就屋後搆小屋。定省餘恒處讀書。嘗患難名證。恐親憂極攝。以爲人之身惟氣血。氣血不調。榮衛失和。自制方服之。四載良已。是歲孝廟賓天。禮訟方興。公歎曰大臣始誤禮終執拗。莫非偏黨爲之祟。然爭端自此甚。朝廷日以潰決。郭林宗我師也。口不道時事。卜築鞍岾。距家間。日省風雨寒暑不曠。其東有先塾。置子姪肄業。辛亥兩親警痘。火賊夜入。公驚起大喊。急引弓趨。長子元厚奮劒先家僮從。使砲手扼路。公率驍健彎弓持炬追。賊駭散。後爲子弟各具弓矢曰戰陣無勇非孝。况賊入親所。莫之捍乎。先公患癘。公日夜泣禱天乃瘳。家貧親年益高。嘗結罟獵爲供。陳酒肴爲歡。所得一衣一味。不經親服嘗。則不忍先加之已。嘗言榮名不足輕重。况有命耶。絶意進取。丁巳以親敎勉赴登庠。榮行甚淡素。入門一陳樂以娛親。爲洞契。其規一依藍約。擇勤實幹之。財谷裕如。吉匈有賴。推其賸供公役代里布。氓俗趨之。至訟就正鬪盡戢。辛酉先公沈疾四載。公置身牀罏畔不蹔離。醫書不去手。甲子丁憂。毁幾滅性。喪葬祭遵家禮。先公嘗恨先墓無表石。公追慕竭力立三世碣。丁卯子寬厚赴南省。公泣敎外祀絶。舅從姪尹弘錄法義當後。汝申聞俾母氏深痛少伸。寬厚果陳乞蒙允。公喜甚告外廟。土田臧獲歸弘錄。己巳春。與梁春窩天翼請介庵先生配一蠧先生廟。公製疏承兪。庚午夫人呂氏歿。大夫人年八十。公朝暮視膳如夫人在。大夫人安之。有勸卜姓。曰妾孼鮮不爲子孫憂。吾旣無貽謨。反禍之耶。甲戌正月除齊陵參奉。葛庵李先生薦之也。領相權公曰吾亦聞名久云。以親老不赴。母夫人天年終。公衰老號擗如孺子慕。寢苫草食蔬食。丁丑服闋。戊寅寓書塾。荐歉盜竊發。嘗夜賊入邨塾隳突。里遂空。公獨凝坐呵賊。賊不敢逼。使僧徒升屋投瓦。賊乃走。敎子姪曰古有搏虎者。畫虎戒子孫。我之此事近之。汝宜戒。素患痰火轉㞃。謂寬厚曰汝伯兄早夭不立後。何以瞑目。况亡婦有託意兒耶。無手券非重宗之道。使寬厚書券手署之。指壁上爪髮齒囊手識者。遺戒襲不用錦。屬纊戊子六月二十五日也。享年七十七。葬巨坪巽向原。公襟懷坦夷。局度峻整。少日失酒。奉先公戒。更不踰桮酌。素有湖山癖。以大夫人老靡暇焉。友愛隆篤。聯枕共樂。均分薄取。人無間言。恤竆無遠近。取端遠勢利。置祭田供粢盛。搆別室藏祭器。嘗曰小學儒家本領。不讀此。五車何益。不行此。萬讀何補。手書數件遺子姪講習。每當風花雪月賞心淸致處。朗詠人慾淨盡天理流行之句。剛毅有大節。於義理分上截然難犯。一出公心。無少或偏。人莫不敬服。而不敢嫉怨。律己約。見得思義。尋常蔬蔌。必問其來處而取舍。呂持平聖擧。夫人從孫。嘗宰錦饋公。答此非邑人膏耶。何其優。呂感歎曰一家書皆如此。我其爲淸白吏。整衣冠終日危坐。子姪門人列侍。不敢爲浮俗言。遠近來謁者。雖款接。見其坐有法。鮮不兢汗。郭佐郞壽龜語人曰相人多。未嘗見器局文彩如公。暑月讀易。寬厚請氣衰熱酷恐傷。曰如其苦豈爲之。朝家令邑闑報明易士。鄕議在公。公躳止之。晩年涵泳皆經學念書。雖積歲病呻。無日不閱。子姪有過。愀然不樂。見其悚惕然後降顔色責之。率改過。處鄕黨未嘗有訐激言。於黨議尤不屑。有客談時事。公整容曰吾知黨論亡國。士君子生世。縱不能致君澤民。豈忍身爲之黨。以負三百年培養之澤乎。此皆公之常行。而人所不能者也。配星山呂氏。嘉善燻女。事舅姑孝。敬奉祀誠敎子。義妯娌娣姒無間同氣。諸姪如己出。婦道甚純備。墓祔公墓左。生四男一女。男長卽元厚。早歿無育。次謙厚。子公望,公悅。公望入爲伯父後。次寬厚。子公逸,公達。季仁厚進士。三子公大,公耉,公進。女金泰廈二子天沆,天澤。公望子碩祚,時祚。公悅子姬祚,殷祚,順祚。公逸子述祚,遠祚。公達子宅祚。公耉子植祚,海祚。植祚生員入爲伯父公大後。公進子纘祚。餘不錄。疇睦後生也。况識知淺短。其何以稔公之蹟也。及聞葛庵當政首薦公。竊意其道誼學業。有足以爲後範也。今其七代孫秉璜八代孫台燮。奉公第三胤寬厚氏所撰家狀一通來。屬余狀行之文。辭固請愈至。据其狀詳記而謹書也。毋一言之華。如是事行。求之古人。亦所罕見。豈得已於稱述也。於是掇取大槩而復之。以竢立言者刪正。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2003
입재집 제35권 / 갈명(碣銘) / 소치자 진산 강공 묘갈명 병서〔笑癡子晉山姜公墓碣銘 並序〕
공은 휘가 명세(命世)이고 자가 덕수(德秀)이며 소치자(笑癡子)는 그의 자호(自號)이다. 진산(晉山) 강씨(姜氏)는 신라와 고려 때부터 현달한 집안이다. 조선에 들어와 대제학(大提學) 회중(淮仲)이 있고, 그리고 군수(郡守) 한(漢)은 호가 금재(琴齋)이고 구천서원(龜川書院)에 제향되었다. 그 뒤 여러 대를 지나 교리(校理)를 지낸 휘 인(繗) 호 남음(灆陰)에 이르렀다. 인이 생원(生員) 휘 유징(有徵)을 낳으니, 곧 공의 조고(祖考)이다. 고(考)는 휘가 문재(文載)이고, 비(妣)는 파평 윤씨(坡平尹氏)이니 진사(進士) 윤영남(尹英男)의 따님으로, 숭정(崇禎) 임신년(1632, 인조10) 9월 모일에 공을 낳았다.
공은 어릴 때부터 성품이 돈독하고 중후하며 순일하고 삼갔으니, 일과로 공부를 할 적에 한결같이 장자(長者)의 명을 따랐다. 효성과 우애는 하늘로부터 타고났다. 할아버지 생원공이 일찍이 그 계비(繼妣)의 상(喪)을 당하였을 때에 아버지 학생공(學生公)이 병이 든 지 여러 달째였다. 공은 당시에 나이가 겨우 열세 살이었는데, 돌아가신 할머니의 상에 전물(奠物) 올리는 것을 돕는 일과 아버지 약재 살피는 일에 모두 정성과 예(禮)를 극진히 하였다. 분가해 살 때에 이르러서는 부모님 집에서 6, 7리 거리에 살았지만 날마다 안부를 살펴보는 일을 혹여라도 빠뜨리는 날이 없었다. 어머니가 전염병을 앓을 때 정성을 다하여 모시고 간호하였고, 눈물을 흘리며 하늘에 기도하여 끝내 병이 낫게 하였다. 이윽고 네 자녀가 연이어 전염병에 걸려 죽었지만, 슬퍼하는 모습을 어버이에게 보이지 않았다. 어버이의 뜻과 몸을 잘 받들기를 모두 지극히 하였다. 아버지 학생공이 숨이 답답한 심한 천식 증상이 있어서 경각(頃刻)의 시간을 보장하기 어려웠던 것이 하루에 두세 번이나 되자, 공은 밤낮으로 애를 태웠고, 비록 간간이 병세가 덜할 때라도 팔을 베고 쪽잠을 자며 그 상태를 살펴보았으니, 이와 같이 한 것이 모두 4년이었다. 어머니와 아버지 상(喪)을 당하여 몸이 훼척함이 예제(禮制)를 넘었고, 여묘(廬墓)에서 죽을 먹으며 삼년상을 마쳤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여 힘을 다해 고조ㆍ증조ㆍ조부의 묘갈을 세웠다. 외가(外家)에 후손이 끊어진 것을 어머니가 항상 지극히 애통하게 생각하였는데, 공이 후사를 세우고 이어서 토지와 노비들을 모두 돌려주었다.
공은 아우들에게 우애로움이 매우 도타웠으니, 평상시에 이불을 함께 덮고 책상을 같이하였으며, 물건은 네 것 내 것을 나누지 않았다. 종족에게 화목하여 두루 보살피매 마치 미치지 못하는 듯이 하였다. 동규(洞䂓)를 세우고 향약(鄕約)을 설치하여 그 다투는 송사를 그치게 하였다.
공은 성품이 조용하면서도 담담하며 침착하면서도 듬직하였다. 붕우들이 박혁(博奕)을 하면 엄연히 앉아서 돌아보지 않았다. 비록 어버이 명으로 과거 시험에 응시하여 여러 번 낙방하였지만 조금도 한스러워하지 않았다. 사마 양시(司馬兩試)에 급제함에 이르러서는 희연(喜宴)을 간략하게 마련하고 말하기를, “어버이를 영광스럽게 함이 어찌 여기에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젊었을 때 술 때문에 실수한 일이 있었는데, 아버지의 훈계로 인하여 종신토록 음주는 한 잔을 넘지 않았다. 평소 성현(聖賢)의 글 읽기를 좋아하였고, 더욱이 《주역》에 조예가 깊었는데, 조정에서 여러 고을에 명하여 《주역》에 밝은 선비를 선발하게 함에, 고을 사람들이 의논하여 공을 추천하고자 하니, 공이 두려워하며 힘껏 저지하였다. 추천되어 제릉랑(齊陵郞)이 되기에 이르렀지만 어버이가 늙었다는 이유로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그 15년 뒤 무자년(1708, 숙종34) 6월 모일에 졸(卒)하니 77세를 살았다. 살던 곳인 함양(咸陽) 거평(巨坪) 건좌(乾坐) 언덕에 장사 지냈다. 부인 여씨(呂氏)를 부장(祔葬)하였다.
여씨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여훈(呂燻)의 따님으로, 4남을 두었으니 원후(元厚), 겸후(謙厚), 관후(寬厚) 인후(仁厚)이다. 원후는 사자(嗣子)가 공망(公望)이다. 겸후는 아들이 둘이니 공망은 원후에게 양자로 나갔고 공열이 있으며, 딸이 넷이니 윤용서(尹龍瑞), 이우명(李遇明), 하응복(河應復), 최동욱(崔東旭)에게 시집갔다. 관후는 아들이 둘이니 공일(公逸)과 공달(公達)이고, 딸이 둘이니 윤허(尹栩), 하응기(河應期)에게 시집갔다. 인후는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아들이 셋이니 공대(公大), 공구(公耉), 공진(公進)이다. 나머지는 기록하지 않는다.
공은 담력과 용기가 남보다 뛰어났다. 일찍이 화적(火賊)들이 공이 사는 마을을 두 번이나 노략질하였는데, 공이 모두 꾸짖어 물리치고 앉아서 움직이지 않고서도 아무 일 없게 하였다. 그 뒤에 화적의 두목이 교화되어 선량한 사람이 되었는데, 사람들을 만나 이때의 일을 말하면서 공의 음성과 위엄이 사람을 물리칠 수 있었던 상황을 흥미진진하게 말하였다고 한다.
공은 마음가짐이 공평(公平)하고 고결(高潔)하게 스스로를 지켰다. 일찍이 주관(州官)이 공의 자제를 뽑아 주려고 여섯 문체의 문제를 내어 짓게 하였는데, 공이 그 뜻을 알고 자제에게 짓지 말라고 명하였다.
경술년(1670, 현종11) 겨울, 이듬해에 흉년이 들 것임을 알고 집의 서쪽 빈터에다가 구덩이를 파고 변을 보게 하였다. 그것이 수천이 모이기에 이르러 그곳에 찹쌀, 대두, 콩 종류를 심었더니, 가을에 이르러 사방 들판은 모두 흉년이 들었지만 구덩이 팠던 곳의 곡식은 홀로 풍년이 들었다. 여기에 힘입어 산 사람이 매우 많았다. 또 집안의 재물을 기울여 진휼(賑恤)하여 한 지방의 사람들이 시신이 구학(溝壑)에 뒹구는 지경을 벗어났다. 아, 만약 공이 마음에 온축한 것을 펼 수 있게 하였다면 당세(當世)를 경륜(經綸)할 수 있었을 텐데, 시명(時命)이 맞지 않아 결국 한 능의 참봉 벼슬로 마쳤으니, 애석하도다.
공의 5세손 사로(師魯)가 가장(家狀)을 가지고 와 나에게 묘갈명을 부탁하기에 마침내 요점을 추려 기록함이 위와 같고, 다음과 같이 시(詩)를 붙인다.
주나라는 삼물을 사용하였고 / 周用三物
빈으로서 선비를 천거하였네 / 以賓興士
그 하나를 능히 할 수 있음도 / 有能其一
이 또한 어려운 일이거늘 / 斯亦難爾
우뚝하도다, 오직 공은 / 卓哉惟公
육행에 이미 지극하였건만 / 六行旣至
어찌 공경이 되지 못하고 / 胡不公卿
곧 일명에 그쳤단 말인가 / 乃一命止
더욱이 우러를 만한 것은 / 尤可仰者
깨끗하여 티끌이 없음이라 / 皭乎無滓
함양의 거평산이 / 巨坪之山
예로부터 우뚝하니 / 終古以峙
돌에 새겨 묘도를 표하고 / 刻石表墓
더불어 무궁하기를 기약하노라 / 期與無已
[주-D001] 조선에 …… 있고 : 《수당유집(修堂遺集)》을 보면 “회중은 호를 통계라 하고 고려에 벼슬하여 보문각 대제학에 이르렀으나, 조선에 들어와서는 여러 번 나라에서 불러도 나가지 않았다.[是生諱淮仲號通溪, 仕麗至寶文閣大提學, 我朝屢徵不就.]”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강회중은 고려 말에 대제학을 지낸 것으로 보인다. 《修堂遺集 冊四 姜公墓誌銘》[주-D002] 구천서원(龜川書院) : 1701년(숙종27) 지방 유림의 공의로 박맹지(朴孟智), 양관(梁灌), 표연말(表沿沫), 강한(姜漢), 양희(梁喜), 하맹보(河孟寶)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6) 훼철되었다. 그 뒤 1983년 복원하였다.[주-D003] 제릉랑(齊陵郞) : 제릉은 조선 태조(太祖)의 비 신의왕후(神懿王后)의 능이다.[주-D004] 여섯 문체 : 원문은 ‘육문(六文)’이니, 여섯 가지 과거 문체(科擧文體)를 말하는 것으로, 시(詩)ㆍ부(賦)ㆍ표(表)ㆍ책(策)ㆍ논(論)ㆍ의(義)를 가리킨다.[주-D005] 주나라는 …… 천거하였네 : 주(周)나라 때에 향대부(鄕大夫)가 소학(小學)에서 현능(賢能)한 인재를 천거할 적에 그들을 향음주례(鄕飮酒禮)에서 빈으로 예우하며 국학(國學)에 올려 보냈다. 《주례(周禮)》 〈대사도(大司徒)〉에 “향학(鄕學)의 삼물 즉 세 종류의 교법을 가지고 만민을 교화한다. 인재가 있으면 빈객의 예로 우대하면서 천거하여 국학에 올려 보낸다. 첫째 교법은 육덕이니 지ㆍ인ㆍ성ㆍ의ㆍ충ㆍ화요, 둘째 교법은 육행이니 효ㆍ우ㆍ목ㆍ연ㆍ임ㆍ휼이요, 셋째 교법은 육예이니 예ㆍ악ㆍ사ㆍ어ㆍ서ㆍ수이다.[以鄕三物敎萬民而賓興之, 一曰六德知仁聖義忠和, 二曰六行孝友睦婣任恤, 三曰六藝禮樂射御書數.]”라는 말에서 가져왔다.[주-D006] 일명(一命) : 주관(周官)의 9명(命)에서 나온 것으로, 최하위 품계인 종9품의 관직을 말한다. 여기서는 소치자 강명세가 참봉 벼슬한 것을 가리킨다.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김영옥 (역) |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