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회는
1908년 4월 러시아 얀치헤에서 결성된
한인 구국운동 단체이다.
동의회의 설립은 주 러시아공사
이범진(李範晉)이 주도하여 이루어졌다.
그는 군수금 1만 루블과 함께
아들 이위종을 보내
의병활동을 추진할 조직을 결성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1908년 4월
얀치헤(Yanchihe, 煙秋)에서는
최재형, 이범윤, 안중근, 엄인섭 등이
발기인으로 나서
최재형의 집에서 수백 명이 참여한 가운데
총회를 열고서 동의회를 결성했다.
회장에는 이위종이 선임되었고,
최재형과 엄인섭은 각각 총재와
부회장을 맡았으며,
안중근은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본부는 얀치헤에 두었고,
블라디보스토크에 지회(支會)를 설립했다.
1908년 5월 10일자
『海朝新聞』(해조신문)에 의하면,
동의회는 교육에 의한 구국 정신의 함양과 실력 양성,
그리고 단체 조직에 의한 동포의 일심동맹을
첫째 방침으로 삼아
독립을 위한 무장투쟁의 뜻을 강조했다.
특히 뜻을 함께하는 군사의 모집이나
군사들을 위해서 기증된 약 100정의 총,
그리고 최재형과 이위종, 수성 방면 동포들이 낸
약 3만 루블의 의병 활동 기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동의회는 독립을 위한 무장투쟁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활동했다.
1908년 여름에 동의회의 의병부대는
안중근을 우영장(右營將)으로 삼아
국내 침공 유격전을 벌여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러시아 당국은
동의회의 무장투쟁을 문제 삼아
의병 활동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다.
이때 조직 내부의 갈등이 겹쳐
동의회 활동은 위축되었고,
그 뒤 수청파를 중심으로 하는
일심회(一心會)로 개편되었다.
일심회는 상부상조를 강조했지만
무장투쟁을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그리하여 1909년 2월 말에 얀치헤에서
안중근을 중심으로 한
일심회의 핵심활동 그룹 12인은
손가락 하나씩을 끊고
동의단지동맹(同義斷指同盟)를 맺으면서
동의회와 같은 성격의 항일운동단체임을 결의했다.
동의회는 1905년 이후에 러시아에서 활동했던
항일 의병세력을 결집하면서,
1908년에는 국내에 들어와 유격전을 벌인
대표적인 구국운동 단체이다.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동의회에 대한 영상을 보다가
조직결성 취지문을 읽자...
의식단체의 글이지만
어떤 시(詩)보다 아름답고
애절하네요...
▪ 동의회 조직 취지문 (일부)
눈 비 오고 구즌날
달 밝고 셔리 찬 밤
죠국 ᄉᆞ샹 간절ᄒᆞ야
ㅅ곳을 보와도 눈물이오
저 소ᄅᆞㅣ를 드러도
한슘 짓ᄂᆞᆫ ᄌᆞ고
눈 비 오고 궂은 날
달 밝고 서리 찬 밤
조국을 생각하는 간절한 마음에
꽃을 보아도 눈물이요
새 소리를 들어도
한숨 짓는 이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