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우리나라 고유의 무술이자 민속놀이에는
독특한 움직임으로 다리걸기, 발차기, 던지기 등의 기술로
상대방을 공격하는 ‘택견’이 있습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택견’이라고 나오지만,
대한체육회에는 ’태껸‘으로 올라 있으며, 탁견, 택기연(擇其緣),
착견, 각희(脚戱), 비각술(飛脚術)로 불리기도 합니다.
또 이 ’택견‘은 1983년 6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그에 따라 택견’을 수련하는 체육관을 도장으로 부르지 않고
’전수관(傳修館)’이라고 부릅니다.
택견이 문헌상 처음 나타난 시기는 18세기 초반으로
당시는 ‘탁견(托肩)’이라고 했는데
영조 4년(1728)에 김민순(金敏淳)이 쓴
《청구영언(靑丘永言)》의 사설시조에서 처음 보이지요.
이후 정조 22년(1798)에 이만영이 펴낸 《재물보(才物譜)》와
최영년이 1921년에 쓴 《해동죽지(海東竹枝)》에도
탁견이라는 용어가 등장합니다.
우리 문헌뿐만 아니라 1895년에 스튜어트 쿨린이 쓴 《코리언 게임스》에도
‘HTAIK-KYEN-HA_KI(택견하기)’ 기록이 등장하지요.
▲ 유숙(劉淑)의 <대쾌도(大快圖)> 부분,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그림 윗부분에 태견하는 모습이 보인다.
택견의 수련과정은 크게 혼자 익히기(개인 수련), 마주메기기(상대 수련) 등이 기본이며,
이 과정을 거친 뒤 하는 견주기(겨루기), 본때뵈기(품새 또는 형) 등의 과정이 있습니다.
또 택견의 세부 동작이나 기술은 모두 우리말로 되어 있어서 우리 고유의 무술임이 분명 합니다.
그 밖에 택견은 다른 무술에 비해 질박하고 섬세하며,
부드러운 곡선의 몸놀림으로 공격이나 방어하는 점이 특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