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변 너무 감사드려요! 😊 제가 해설은 없고 답만 갖고있어서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ㅠ 그냥 2번이 답이래요ㅠㅠ 나,다 고르셨으면 2개로 답이 맞을것같아요! 그런데 라를 아니라고 고르신 이유가 있을까요??ㅜ 극핵(AAbbDD)*정핵(ABd)해서 AAABbbDDd 나와야하는거 아닌가요..?ㅠㅠㅠ
@🎇와 정말 죄송해요ㅠㅠ 제가 문제가 어떤 측면에서 낸건지 이해가 안돼요. 벼종자의 각 부위 염색체라고 해서 배, 배유, 종피는 어떤걸 말하는지 명백한데 주피, 주심은 어디를 중심으로 봐야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1. 벼종자가 자라나서 생긴 개체의 주심, 주피면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주피는 AABbDd가 맞고, 주심도 AABbDd일 것 같습니다. 2. 벼 종자가 생기기 전 주심, 주피를 말하는 거라면 모체 유전조성을 따라야해서 주피, 주심모두 AAbbDD가 되어야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경우면 배유는 제가 잘못생각한 것 같아요ㅠ 님께서 하신 말씀이 맞는 것 같아요. 제가 1번케이스라고 생각해서 잘못 생각한 것 같습니다ㅠ 근데 답이 2번인걸 보면 '2' 케이스겠죠..?
첫댓글 저도 헷갈리는데요.... 2번에 물어보신 부분이 1번을 이해하는데 핵심같습니다.
해설에서는 종자가 생성된 이후부터 새로운 개체(F1)로 취급하는 것 같아요.
모본(aa) + 부본(AA) > 종자(F1: 배는 Aa, 종피는 모본을 따라 aa) > 발아 및 생장(F1: 씨방, 암술대, 수술대는 f1의 일부이므로 Aa)
F1이 종자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이 종자의 종피는 모체의 유전형을 따르기 때문에 aa인 것이고
이 개체가 자라서 씨방, 암술대, 수술대를 만들기 때문에 F1종자의 배의 유전자형인 Aa를 따른다고 본 것 같습니다. 종자가 발아한 후의 씨방은 F1(Aa)를 따를테니까요.
다시말해 씨방은 f1꺼, 종피는 f1이 만드는 종자의 종피가 아니라 f1의 종자시절 종피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혹시 이해 안되시거나 이상한 것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그렇게 생각하면 주피의 유전적 조성이 저렇게 되는게 맞는건가요!?ㅠㅠㅠ
@🎇 담변 너무 감사드려요! 😊
제가 해설은 없고 답만 갖고있어서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ㅠ 그냥 2번이 답이래요ㅠㅠ
나,다 고르셨으면 2개로 답이 맞을것같아요!
그런데 라를 아니라고 고르신 이유가 있을까요??ㅜ
극핵(AAbbDD)*정핵(ABd)해서 AAABbbDDd 나와야하는거 아닌가요..?ㅠㅠㅠ
@🖼 저 죄송한데 제가 잘못생각한것 같아서 윗글 지웠어요 ㅠㅠ 다시 차근히 풀어보겠습니다ㅠㅠㅠ 죄송합니다
@🎇 와 정말 죄송해요ㅠㅠ 제가 문제가 어떤 측면에서 낸건지 이해가 안돼요.
벼종자의 각 부위 염색체라고 해서 배, 배유, 종피는 어떤걸 말하는지 명백한데
주피, 주심은 어디를 중심으로 봐야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1. 벼종자가 자라나서 생긴 개체의 주심, 주피면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주피는 AABbDd가 맞고, 주심도 AABbDd일 것 같습니다.
2. 벼 종자가 생기기 전 주심, 주피를 말하는 거라면 모체 유전조성을 따라야해서 주피, 주심모두 AAbbDD가 되어야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경우면 배유는 제가 잘못생각한 것 같아요ㅠ 님께서 하신 말씀이 맞는 것 같아요. 제가 1번케이스라고 생각해서 잘못 생각한 것 같습니다ㅠ
근데 답이 2번인걸 보면 '2' 케이스겠죠..?
도대체 어느 동네 문제인가요?ㅠㅠ
@🎇 같이 고민해주셔서 감사해요 : )
문제출처는 ㅈㅅㅇ동형모의고사에 나오는 문제에욤! 2018년도!
뭔가 저 문제 두개가 너무 헷갈리게 만드네요ㅠㅠㅠ 시험에 안나오길 바랄뿐..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