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나무 생강차
생강나무를 많이 활용한다고 합니다.
생강차, 작설차..어느것이 맞습니까?
생강나무라는 것은 우리가 흔히 먹는 생강과는 다릅니다. 생강나무는 목본 즉 나무이구요 생강은 초본입니다. 생강나무가 생강과 혼동되게 이름이 붙은 이유는 노란 꽃을 비벼보면 생강냄새가 납니다. 요즘 야산에 보면 자주 볼수 있습니다. 민약으로 생강나무를 쓰는데 몸이 차가운 여성에게 좋다고 합니다.ㆍ
생강나무차는 뼈에도 좋다고 합니다. 뼈를 튼튼하게 한답니다.
작설차는 야생녹차을 이야기 하는것 같네요.전통 수제차 통상적으로 시골에서 작설차라 하며 당료에 효놀라운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생강나무가 알고보니 주변에 많습니다. 아주 큰나무들이 많습니다
ㅡㅡㅡ
생강나무와 산수유나무의 다른 점
산에서 보는 노란색 꽃 나무가 대부분 생강나무인데 비해, 민가 주변이나 밭 근처에서 피는 노란색 꽃나무는 대부분 산수유나무라고 보면 옳다.
(생강나무는 산에서 자생하고, 산수유나무는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생강나무와 꽃에는 생강과 비슷한 알싸한 향기가 나는 데 비해, 산수유나무와 꽃에는 그런 향기가 없다.
꽃잎도 생강나무가 5장인데
산수유나무는 4장이다.
보통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 피는 산수유나무와 달리 생강나무는 암꽃이 피는 암나무와 수꽃이 피는 수나무가 따로 있다.
생강나무 잎이 털이 약간 난 공룡 발바닥 모양이라면, 산수유나무 잎은 긴 세로줄 맥이 뚜렷하고 윤기가 나는 긴 타원형이다.
생강나무 줄기가 약간 푸른 빛이 돌고 매끈한 데 비해, 산수유나무는 줄기는 갈색 빛이 돌고 껍질이 벗겨져 지저분해 보인다.
생강나무 열매가 동글동글하고 검게 익는 데 비해, 산수유는 타원형으로 빨갛게 익는다.
생강나무는 녹나무과이고
산수유나무는 층층나무과이다.
산수유 꽃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