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조문(咸安趙門) 어계(漁溪) 조려 (趙旅)
조려 (趙旅) 1420(세종 2)~ 1489(성종 20). 조선 전기의 생육신(生六臣) 가운데 한 사람.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주옹(主翁), 호는 어계(漁溪). 할아버지는 고려말 공조전서 열(悅)이며
아버지는 증사복시정 안(安)이다. 1453년(단종 1) 성균관진사가 되었으나
1455년(세조 1)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로 돌아와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냈다.
1698년(숙종 24) 단종이 추복(追復)되자 이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정조 때 이조판서로 추증되었다.
1703년 경상도 유생 신만원(辛萬元) 등의 사당 제향 건의에 따라
김시습(金時習)·원호(元昊)·남효온(南孝溫)·이맹전(李孟專)·성담수(成聃壽) 등 다른 생육신과 함께
함안의 서산서원(西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어계집〉이 있다. 시호는 정절(貞節)이다.
함안의 서산서원(西山書院)에 이맹전 (李孟專))·김시습(金時習)·원호(元昊)·남효온(南孝溫)·성담수(成聃壽)와 함께
생육신으로 제향되었다.
暮春(모춘) 늦은 봄 /漁溪(어계) 趙旅(조려)
甲子須臾逝 春殘夏欲來
갑자수유서 춘잔하욕래
燕忙鶯亦懶 紅卷綠初開
연망앵역라 홍권록초개
喚起牕前喚 催歸客裏催
환기창전환 최귀객리최
卽看時物變 詩思轉悠哉
즉간시물변 시사전유재
갑자년은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고
여름이 곧 다가오려는 늦봄이 되었네.
제비는 바삐 날고 꾀꼬리 게으른 데,
붉은 색 걷히고 초록색이 펼치어지네.
창 앞에서 부르짖는 소리에 일어나니
나그네 가는 길 빨리 가라고 재촉하네.
눈앞에 변해 가는 시절물들 바라보며
시에 대한 생각은 길게 뻗어만 나가네.
조려(趙旅 1420∼1489). 조선 초기 단종을 위하여 수절한 생육신의 한 사람.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주옹(主翁), 호는 어계(漁溪). 경상남도 함안 출신. 1453년(단종 1) 성균관진사가 되어 당시의 사림 사이에 명망이 높았으나, 1455년 단종이 세조에게 선위(禪位)하자 성균관에 있다가 함안으로 돌아와서 서산(西山)아래에 살았는데, 이 서산을 후세 사람들이 백이산(伯夷山)이라고 불렀다.
그는 벼슬을 하지 않고, 다만 시냇가에서 낚시질로 여생을 보냈기 때문에 스스로 어계라 칭호하였다.1
698년(숙종 24)에 노산군(魯山君)이 단종으로 추복(追復)되자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1
703년 경상도 유생 곽억령(郭億齡) 등이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 등 사육신의 예에 따라 생육신인 조려도 사당을 세워 제향하도록 건의하였던바, 1706년에 그대로 시행되었다.
고향인 함안의 서산서원(西山書院)에는 그를 비롯하여 김시습(金時習)‧이맹전(李孟專)‧원호(元昊)‧남효온(南孝溫)‧성담수(成聃壽) 등이 제향되어 있다.
1781년(정조 5)에 이조판서로 추증 되으며, 저서로는 어계집(漁溪集)이 남아 있다. 시호는 정절(貞節)이다. 아래글 출처 어계(漁溪) 조려( 趙旅) ※. 조려(趙旅, 1420 ~ 1489 )는 조선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호는 어계은자(漁溪隱者). 본관은 함안(咸安). 경남 함안 출생 단종이 영월로 유배되어 사사당하자 단종의 시신을 거둔 사람으로 전해진다. 저서로는 어계집(漁溪集)이 전해진다.
세상이 변하여 많은 것들이 바뀌고 있다. 혼탁한 이시대에 이런 분들의 정신과 절개를 한번쯤 되새겨 봄이 어떠할지...
※. 생육신 : 조선시대 수양대군이 단종으로 부터 왕위를 탈취하자 세상에 뜻이 없어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사람으로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詩習)을 비롯 어계선생, 원호(元昊), 성담수(成聃壽),이맹전(李孟專),남효온(南孝溫)등을 말한다. [출처] 함안조문(咸安趙門) 어계(漁溪) 조려 (趙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