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원체자원의 질적, 양적, 전략적 수집 확대
ㅇ 분리원을 확대한 병원체자원에 대한 수집 강화 - 인체 외 다양한 분리원 유래 병원체자원* 수집(5건 이상)
ㅇ 국가전략병원체연구자원 수집 강화 - 학술연구용역과제 등 사업 수행 시 국가전략병원체연구자원 수집 독려(20건 이상)
ㅇ 병원체자원 기탁 활성화 방안 마련 - 병원체자원 기탁제도 홍보 및 기탁 절차 개선안 마련 *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산출되는 연구성과물 기탁 활성화 방안 마련
□ 병원체자원의 유용성 및 안정성이 확보된 보존·관리 체계 정립
ㅇ 병원체자원 유용성 및 신뢰성 제고 - 병원체자원 품질확인 지속 및 신뢰성 강화를 위해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인증 및 생물자원은행 국제표준 (ISO 20387) 인정 유지
□ 병원체자원 관리기반 고도화 및 제도 정비
ㅇ 첨단기술을 활용한 보관된 병원체자원 관리 기반 마련 - 병원체자원 생산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및 이력 관리체계 마련
- 병원체자원 보존위치 추적관리 기능 개선 및 QR코드를 이용한 관리 기술 도입을 위한 정보연계
ㅇ 「병원체자원법」 이행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 「병원체자원법」개정(안) 마련 및 하위 행정규칙 개정(1건)
ㅇ 병원체자원법 분석 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 개발 - 병원체자원 관련 사용자 대상 교육 시행 및 수요 맟춤 교육 컨텐츠 개발
ㅇ 병원체자원관리 책임기관의 조직적 위상 확보 - 국내 병원체자원 수집/관리/활용 촉진을 위한 국가 조직(안) 도출
□ 병원체자원의 고부가가치화
ㅇ 유용 국외자원을 대체할 국내 자원 개발 - 후보자원 동등성 근거 마련(학술발표 등), 생명자원 등록(1건)
ㅇ 감염병 질환별, 특성별, 목적별 병원체자원 패널 개발 - 다제내성 감염질환 원인균 패널자원 개발(1건) 및 교육용 균주 지속 개선(1건 이상)
ㅇ 병원체자원의 오믹스 데이터 확보 - 병원체자원 오믹스 DB 강화 및 특성분석 체계 개선
□ 유용병원체자원 분양·활용 촉진을 위한 기반 강화
ㅇ 병원체자원 전담 통합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및 정보 유통체계 고도화 - 병원체자원관리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을 통한 시스템 통합 운영 및 정부 다부처 자원은행 간 생명연구자원 정보 연계(2회) 및 공개
ㅇ 병원체자원의 분양 활용 촉진을 위한 기반 기술 R&D 사업 확대 - 공공백신개발 우선 순위 병원체자원 확보 및 전장유전자 분석 도구 개발
□ 국제적 병원체자원 협력 네트워크 구축
ㅇ 감염병 국제협력에서 산출되는 병원체의 수집 체계 마련 - 해외 연구기관과 병원체자원 확보를 위한 협약 체결(1건) 및 해외자원 확보
ㅇ 국제적 병원체자원은행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강화 - 세계미생물자원은행연맹(WFCC) 회원국으로서의 활동 확대 및 국외 병원체자원은행과 협력 체계 마련 및 자원 교류(1건)
□ 소통 및 참여를 통한 병원체자원 국내 연계·협력 강화
ㅇ One-Health연구자원 확보 위한 식품·환경 유래 병원체자원 공유 체계 마련 및 수행 - One-Health 관련 현황조사 및 인수공통감염병대책위 등 참여를 통한 병원체자원 공유체계 마련 및 관련 기관 협력을 통한 확보(50주 이상)
ㅇ 병원체자원 확보 효율화를 위한 연구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병원체자원 보유, 활용, 수집 기관 등이 포함된 기관과 협력체계 구성·운영
ㅇ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의 역할 및 제공 서비스 홍보 활동 강화 - 병원체자원 관련 포럼 및 학술대회 등에서 구연 발표 및 홍보부스 운영, 간행물 발간 등 홍보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