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king&Travel ↝
이 까페는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카페입니다.
여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 경기 수원 ↝
◀ 경기 수원 관광 트레킹 ▶
↜ 수원 관광 트레킹 코스 ↝
↜ 화성행궁↝수원화성↝만석공원(만석고 둘레길)↝봉녕사 ↝
~~~~~~~~~~~~~~~~~~~~~~~~~~~~~~~~~~~~
↜ 수원 야경 ↝
~~~~~~~~~~~~~~~~~~~~~~~~~~~~~~~~~~~~
대전 월평동 출발↝화성행궁 주차장↝만석공원 주차장↝봉녕사 주차장↝대전
거리; 295.2km, 시간; 약 5시간소요, 주유비; 약 47,615원
~~~~~~~~~~~~~~~~~~~~~~~~~~~~~~~~~~~~
↜ 관광 경로주소 ↝
화성행궁 주차장; 경기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52-2↝화홍문 도로변 주차장; 경기 수원시 팔달구 북수동 22↝만석공원 주차장; 경기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286-1↝봉녕사 주차장;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38
~~~~~~~~~~~~~~~~~~~~~~~~~~~~~~~~~~~~
아래의 제목을 클릭! 하시면 자세한 사진을 보실수 있읍니다.
1편/수원 관광 트레킹-화성행궁~수원화성~만석공원~봉녕사, 2편/수원 관광 트레킹-화성행궁~수원화성~만석공원~봉녕사
3편/수원 관광 트레킹-화성행궁~수원화성~만석공원~봉녕사 4편/수원 관광 트레킹-화성행궁~수원화성~만석공원~봉녕사
5편/수원 관광 트레킹-화성행궁~수원화성~만석공원~봉녕사 6편/수원 관광 트레킹-화성행궁~수원화성~만석공원~봉녕사
~~~~~~~~~~~~~~~~~~~~~~~~~~~~~~~~~~~~
↜ 경기 수원 ↝
↜ 수원 관광 트레킹 코스 ↝
↜ 화성행궁↝수원화성↝만석공원(만석고 둘레길)~봉녕사 ↝
수원화성↝화성행궁 트레킹 코스 ▶ 화성행궁 주차장에 주차후 S도로로 오른다.↝길옆화장실↝효원약수터↝이후 테크계단 오름길↝이정표(←서남각루 610m, ←팔달문 850m, 서장대30m→, ↓화성행궁550m)서남각루로 진행↝서남앙문↝서남각루(화양루)↝U↝용도↝용도동치,용도서치↝화령전(운한각)↝수원 화성↝서남암문과 서남포사↝3.1절 기념탑↝서3치↝서포루↝세계문화유산 화성 표지석↝효원의종각↝효원의종↝서암문↝팔달산(145.5m),서장대, 서노대↝서2치↝서포루↝서1치↝서북각루↝화서문↝서북공심돈↝북포루↝북서포루↝북서적대↝북옹성↝북동적대↝북동치↝북동포루↝화홍문↝수원천길↝매향교에서 계단올라 횡단보도건너 사거리에서 화성행궁방면 진행↝화성행궁(신풍루, 남궁연, 서리청, 유여택, 복내당, 봉수당, 장락당, 북군영, 집사청, 득중정, 낙남헌)↝홍살문에서 우측길↝주차장(1회 주차료; 4백원, 추가요금, 2백원, 1일주차요금 7천원, 자동카들결제)
거리; 약6km, 시간; 약3시간소요
~~~~~~~~~~~~~~~~~~~~~~~~~~~~~~~~~~~~
↜ 화성행궁 주차장 주변 맛집 ↝
왕의떡갈비; 031-245-8806, 주소; 경기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 21-1
(물냉면, 비빔냉면 9천원, 전주비빔밥 1만원, 불고기+공기밥+된장국 1만4천원, 왕의떡갈비+공기밥+된장국 1만 7천원, 왕의떡갈비+미니비빔밥 2만원)
김가네한우국밥; 031-247-0749, 주소; 경기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22번길 15(한우국밥 1만원, 꼬막비빔밥 1만 1천원, 전복비빔밥, 전복죽 1만 2천원)
해물천지; 031-236-0740, 주소; 경기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22번길 17(해물조개전골 행복상 1만 5백원, 꼬막비빔밥 (점심특선) 1만 1천원)
달보드레 유기농제빵소; 031-254-0389, 주소; 경기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 24(추천-호밀빵, 통밀깜빠뉴 6천 8백원)
~~~~~~~~~~~~~~~~~~~~~~~~~~~~~~~~~~~~
↜ 수원화성 ↝
정조는 1789년(정조 13)에 사도세자의 무덤인 영우원(永祐園)을 수백 년간 수원도호부가 있던 화산(花山)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이라 개명(改名)하고 수원 도읍을 새 장소인 지금의 팔달산 아래로 옮기도록 하였다. 그리고 수원부로 부르던 고을 명칭을 화성(華城)으로 고쳐 부르도록 하였다. 이때부터 줄곧 수원은 화성이란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1895년 지방 관제개편 과정에서 다시 수원군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고 지금은 수원시로 불리고 있다.
수원부를 옮기고 정조 17년(1793)부터 화성 축조가 본격적으로 준비되어 이듬해 정월부터 시작해 2년 반 만인 1796년에 완성을 보게 되었다. 성벽 전체 길이는 당초 정약용이 생각했던 4㎞보다 늘어난 5.4㎞ 정도이다. 성곽 시설에서도 적대나 누조, 공심돈, 포루 등과 같이 다른 성곽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시설이 많이 도입되었다.
성벽은 돌로 쌓았으며 높이는 지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4∼6m 정도이고 성벽 위에는 1m 정도 높이의 여장을 두고 여장에는 총안을 뚫었다. 성벽은 위로 올라가면서 배가 안으로 들어가는 규형(圭形) 쌓기를 기본으로 했다. 성벽에는 4개의 성문을 두었고 암문 5개를 설치해 통행토록 하였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중앙에는 행궁이 자리 잡았다. 화성이 위치한 지세는 서쪽에 팔달산이 있고 그 반대쪽인 동쪽에도 나지막한 구릉이 있으며 이 동서 경사지 사이를 북에서 남으로 개천이 흐르고 그 주위에 약간의 평지가 펼쳐진다. 화성을 비롯해 우리나라 성은 자연지세를 이용해 불규칙한 형태로 쌓아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성문은 동서남북에 4개가 있는데 북문이 장안문이고 반대 남쪽이 팔달문이다. 동서에 청룡문과 화서문이 있다. 남북문은 중층문루로서 도성문루에 버금가는 규모와 형태를 갖고 있다. 암문은 깊숙하고 후미진 곳에 적이 알지 못하는 출입구를 내서 사람이나 가축이 통행하고 양식을 나르는 통로이다. 화성에는 모두 5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개 벽돌을 많이 사용했고 원여장 등의 특수한 장식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암문에는 보통 건물을 세우지 않지만 서남암문에만 예외적으로 포사를 설치했다. 이외에도 수문 2곳, 적대 4곳, 노대 2곳, 공심돈 3곳, 봉돈 1곳, 치성 8곳, 포루 10곳, 장대 2곳, 각루 4곳, 포사3곳 등의 시설이 있다.
~~~~~~~~~~~~~~~
↜ 화홍문(華虹門) ↝
화성에는 수원천이 남북으로 가로질러 흐르는데 성의 연결 부분에는 수문을 설치하여 북쪽에는 북수문, 남쪽에는 남수문을 두었다. 화홍문은 화성의 북수문으로 7개의 무지개 모양의 수문이 설치되어 있다. 특징이라면 7개의 수문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이다. 가운데 수문이 좌우의 수문보다 넓고 크게 설치되어 우량(雨量)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화홍문 동쪽 언덕에는 화려한 건축미를 자랑하는 방화수류정(訪華隨柳亭)이 있다.
~~~~~~~~~~~~~~~~~~~~~~~~~~~~~~~~~~~~
↜ 화성행궁 ↝
행궁은 정조가 현륭원에 행차할때 임시 거처로 사용하던 곳으로 그 어느 행궁보다 크고 웅장하였으며 활용도도 높아 경복궁의 '부궁'이라는 말까지 생겨난 곳이다. 정조 18~20년에 화성을 축성하고 팔달산 동쪽에 행궁을 건립했는데 평상시에는 유수부(지금의 시청) 관청으로 사용되던 곳이다. 화성은 창룡문(동), 화서문(서), 팔달문(남), 장안문(북) 4개의 문루로 이어져 있으며, 뛰어난 건축술로 인해 세계 문화 유산으로 선정 되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 개발 사례로도 평가받고 있다. 조선 22대 정조는 아버지 사도 세자가 뒤주 속에서 비극적인 삶을 마감하자 그 무덤을 당시 최고의 명당이라 평가받던 수원(현재의 화성시)으로 이장하였고, 능 주위에 살던 주민들을 팔달산 아래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도시와 성곽을 축성하였다. 화성의 국궁체험과 팔달산 정상의 효원의 종 타종, 행궁의 여러가지 전통문화체험은 우리 문화재를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외에도 대장금의상 입어보기, 소원성취 나무와 스탬프 찍기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
↜ 봉녕사 ↝
봉녕사는 수원시 장안구 우만동 광교산 기슭에 자리하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이다. 광교산 기슭에 자리한 봉녕사는 수원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고려 시대의 불상인 석조 삼존불과 대웅전 앞뜰에 수령 800여 년의 향나무는 봉녕사의 창건과 더불어 역사를 같이 한 산 증거로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1208년에 원각국사가 창건하여 성창사라 하였고, 1400년 경에는 봉덕사로 개칭하여 오다가 조선 예종원년1469년 혜각국사가 중수 하고 봉녕사라 하였다. 혜각국사는 세조로부터 스승예우를 받았으며 간경도감의 경전언해에 기여한 큰스님이기도 하다.
봉녕사는 1971년 비구니 묘전스님이 주지로 부임하면서부터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요사와 선원을 신축하고 선원을 개원하였으며, 이후 1975년 비구니 묘엄스님을 강사로 승가학원을 설립하게 된다. 그리고 1979년에는 묘엄스님이 주지와 학장을 겸임하였으며 승가대학으로 개칭하게 된다. 현재 절에는 선원과 강원, 그리고 율원을 함께 갖춘 비구니의 수련도량으로써 내실을 다지고 있으며, 절이 위치한 곳이 광교산으로 그 뜻에 걸맞게 널리 가르침을 펼쳐 불성을 연마하고 한국불교의 초석이 되기 위한 수학, 정진에 여념이 없는 곳이다.
~~~~~~~~~~~~~~~~~~~~~~~~~~~~~~~~~~~~
↜ 풀랑잉수원 열기구 ↝
평일이면 예약을 하고 이용이 가능하지만 주말에는 당일에 무인발권기에서 발권을 하셔야 합니다!!! ※ 예상대기시간이 약 1시간 30분 이상
요금; 성인 1만 8천원, 중,고생 1만 7천원, 초등학생 1만 5천원
풀랑잉수원; 031-247-1300, 주소; 경기 수원시 팔달구 지동 255-4
~~~~~~~~~~~~~~~~~~~~~~~~~~~~~~~~~~~~
[주의] 안내도 정보는 이동 경로 구성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십시오.
현재 탐색 경로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
수원 화성성곽 둘레길&화성행궁 안내도한
화성행궁&수원 화성 안내도
수원 만석공원(만석고 둘레길) 안내도
수원 봉녕사 안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