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
1. <혈의 누 >의 여주인공 ‘옥련 ’과 <무정 >의 ‘영채 ’의 삶에 대해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 키워드 : 영웅의 일생 , 계몽주의 , 근대 문학
:<혈의 누>의 여주인공인 옥련의 일생을 보면 영웅의 일생을 살아온 것을 알 수 있다. 옥련 역시 영웅들처럼 고난과 시련을 겪는다. 어린나이에 청일 전쟁 중 부모와 이별하며 시련을 겪게 된다. 그러나 일본 군의관 덕분에 목숨을 구하고 일본 군의관이 옥련을 양녀로 삼아 함께 일본으로 가게 된다. 그러나 생명의 은인인 일본 군의관이 죽게 되어 군의관의 부인의 태도가 옥련을 천대하는 태도로 바뀌어 옥련은 방황하게 된다. 그러나 영웅의 일생으로 태어난 운 좋은 옥련은 또 한번의 기회를 얻는다. 미국으로 유학가는 구강서가 옥련을 구해주게 된다. 구강서 덕분에 함께 미국으로 유학을 가게 된다. 미국에서 옥련은 아버지와 재회하게 된다. 옥련은 구완서와도 약혼하고 어머니까지도 다시 만나게 되며 많은 역경 속에서도 도와주는 인물들 덕분에 극복하게 되는 모습을 보이며 결국에는 행복한 이야기로 끝이 난다.
신소설의 과도기적 성격을 벗어나 근대 문학의 첫 장을 연 작품인 <무정>의 영채의 일생을 살펴보면 선각자인 박진사의 딸로 태어난 영채는 고아가 된다. 이때 작가 이광수의 고아의식을 통한 계몽주의 사상이 반영되었다. 영채는 기생으로 옥련과는 달리 여성의 기구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형식, 영채, 선형 이렇게 세 사람은 삼각관계로 근대 문학의 한 요소로 등장하는 자유 연애 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옥련과 달리 영채에게는 함께 있어주는 병욱 밖에 없고 운명적으로 자신에게 도움을 주며 나타나는 사람은 없었다.
2. 김동인은 “이광수가 ‘선 (善 )’을 추구하였다면 , 자신은 ‘미 (美 )’를 추구하였다 .”고 말한 바 있다 . 이를 근거로 이광수의 문학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 키워드 : 고아의식 , 인형조종술 , 유미주의
:1920년대 김동인의 문학세계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김동인이 말한 일종의 창작 방법론 중 하나로 인형조종술은 자신이 창조한 세계를 인형 다루듯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다는 뜻으로 즉 신이 세계를 창조한 것처럼 작가는 작품을 창조하고 그 세계를 마음대로 지배할 수 있다는 뜻이다. 김동인의 작품인 <감자>를 예로 들면, 여주인공인 복녀의 삶을 인형처럼 조종하고 명령한다. 작가의 등장인물에 대한 독점력과 지배력이 강하여 독자들이 작품 속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주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오직 작가가 등장인물들에게 부여한 성격이나 특징들 대로만 작품 속에서 드러나기 때문에 작가의 주관적인 가치 판단이 그대로 드러난다. 환경에 의해서만 주인공의 삶이 좌우되는 자연주의 소설 <감자>와는 달리 독자들 요청에 의해 <무정>의 영채를 살린 이광수를 김동인은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독자들의 선택과 요청에 좌우되는 문학작품을 보고 비판한다. 이광수는 김동인과 달리 조실 부모 즉 고아였기에 작품에서도 고아의식을 통한 계몽의식이 드러난다. 그러나 김동인은 그의 작품인 <광염소나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예술지상주의 즉 유미주의 사상을 드러낸다.선,악,사랑,미움 모두 다 ‘미’라고 생각하며 예술이나 미가 예술과 인생에 있어서 어떻게 표현되고, 어떠한 중요성을 가지느냐에 대한 신념을 의미하는 유미주의가 유독 잘 드러나는 작품인 <광염 소나타>는 생활 속에서의 윤리 배제, 미적 가치의 절대적 우위를 통해 유미주의를 보여준다. 이 작품은 예술 세계를 소재로 하여 음악가의 삶을 다루었는데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소설의 주인공이 추구한 음악 세계는 광기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백성수는 천재로 그려지며 기존의 음악과는 다른 음악을 위해서는 다른 삶의 조건은 파괴되어도 좋다는 생각으로 반도덕적인 행동을 한다. 작가 김동인이 규정한 유미주의의 본질인 방탕한 삶을 주인공 백성수를 통해 보여주며 유미주의를 드러냈다.
3.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에 대해서 김동인이 ‘조선의 햄릿 ’이 등장했다고 평한 바 있다 . 이렇게 말한 이유를 김동인의 작품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 키워드 : 인간의 내면 , 개성과 생활 , 중성적 세계관
: 김동인이 말한 ‘무시무시한 햄릿이 나타났다.’라고 말한 이유는 행동을 중시하는 측면이 아닌 고뇌, 즉 인간의 내면에 대한 현대 문학을 김동인은 하지 못했다. 문학을 자신이 창조한 세계라고 규정하는 인형조종술을 주장하였으며 예술 자체를 최우선가치로 놓고 그 외의 것은 부차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문예사조인 유미주의적 문학관이 작품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라는 작품에서는 자신이 바라던 모습이 있었다. 염상섭의 문학관은 중성적 세계관으로 사회주의 운동 문학가들이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인 KAPF 단체를 결성했다. 문학을 위한 문학인 순수 문학을 지향하는 민족주의 문학과는 달리 문학을 통해서 사람들을 선동하여 계급 주의를 완성하자는 목적 문학인 카프 문학파 사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두 문학의 절충지 역할을 하며 민중들의 개성과 생활에 중점을 둔 세계관이다. 김동인은 염상섭의 인간의 내면 심리에 대해 깊게 고뇌하고 자신과는 다른 자신이 원하던 문학을 하는 염상섭의 문학에 대해서 최고의 찬사를 보낸 것 같다.
4. 이인직 , 이광수 , 김동인 등은 친일 문인으로 비판받고 있으나 , 염상섭은 그런 비난에서 자유롭다 . 이러한 평가가 정당한지에 대해서 이들 작가의 삶을 근거로 하여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시오 .
◈키워드 : 내재적 관점 , 생활 , 만주 체험
: 염상섭은 그의 작품인 <만세전>에서 자신이 겪었던 만주에서의 체험, 북한에서의 체류 생활 등을 소설화하여 드러냈다. 염상섭의 '만세전'이 식민지가 된 조선의 모습을 진실되게 묘사하고 있으며 내재적 관점에서 1930년대의 어두운 현실을 총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모습을 소설에서 보여준다. 또 다른 작품인 <삼대>에서 부잣집 이야기를 통해 생활의 문학을 드러내고 현실의 삶에 충실하는 중성적 문학관을 보여주었고 <취우>라는 작품에서는 친일파가 아닌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이인직, 이광수, 김동인에 비해 그런 친일 문인에 대한 비난이 자유로웠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