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시
이삭빛
내 모습이 먹구름이라고
난 포기하지 않아.
버거움은
가장 힘들 때 신이 주는 선물,
지금 이 순간이 끝이 아니야.
나만의 길을 걷고 있는 거지
어둠이 어둠을 불 살라 빛을 만들어 내듯
꽃에게 향기를
고독한 이에게 푸르름을
음악 같은 빗방울을 물고서
네게 달려가는 거야.
저 들판에 흐르는 강물 소리로
나비들의 작은 날갯짓으로
때론 대적을 무찌른 장군처럼
바다 같은 의젓함으로
네게 다가가는 거야
시작과 끝이 있다는 것은
가슴 뛰는 일이야.
아픔이 쌓여 지탱할 수 없을 때
사랑마저 끝이라고 생각할 때
그때가 신이 나를 가장 나답게 만드는 시간,
시작이라는 걸 잊지 마.
詩포인트: 씨앗 한 톨이 싹으로 돋아나기 위해 껍질을 벗는 고통의 시간을 이겨내고 어둠을 뚫고 나오듯, 인생에서 오는 큰 고통이 느껴질 때 다른 내면을 볼 수 있는 눈만 있다면 그 고통은 오히려 희망이다.
여기서 시詩가 상징하는 것은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 구름이다. 구름이 먹구름이 되어 혹독한 버거움을 이겨낼 때 가장 낮은 곳으로 떨어진다.
그래야만 구름 본연의 물방울로 태어나 꽃에게, 고독한 이에게 푸르름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떨어지고 나서야 구름으로서 자기만의 길을 걷는 것이다. 사랑도 가슴 뛰지 않고는 죽은 것이나 진배없다. 그러니, 아픔은 사랑이다.
사랑은 아픔이다. 아픔을 품지 않은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 꽃 떨어지고 난 후 열매 맺고 낙엽이 떨어지고 난 후 그 속에서 다시 싹이 돋는다.
출처 : 투데이안(https://www.todayan.com)
가슴으로 만난 사람은 모두 꽃이다
이삭빛
먼저 내민 손보다 더 반가운 가슴으로 서로를 바라보면
별보다 고운 발걸음이 사람의 문 앞에서 사랑을 노크한다
인연이라는 만남으로 생의 시간을 차려 놓고
산보다 큰 상처를 키 작은 단풍으로 어루만지면
가을은 나뭇잎 사이로 흐르는 사랑의 눈빛보다 더 강렬하다
사랑하고 싶어서 청춘은 이슬의 시간을 천년으로 닦아내고
사랑받고 싶어서 시인은 황금빛 시를 가슴으로 쏟아 붓는다
사람은 누구나 만날 수 있지만 사랑은 가슴으로 만날 때 가장 숭고한 꽃이 된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 가는 삶도 때로는 아름답지만
사랑의 계단을 밟는 우리는 다 함께 아픈 상처를 사막에서 건져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별처럼 지혜롭고
낙화처럼 떨어지는 햇살 앞에서도 한 송이 꽃으로 승화돼야한다
가슴으로 만난 사람은 모두 가을처럼 깊고 붉은 한 송이 꽃이 된다
주최 사) 소비자교육중앙회 전라북도지부
후원 전북대학교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전북지부 김윤애 소장, 문희식 국장
박선이 전)전주덕진구청장, 전) 소비자교육중앙회 전라북도지부 회장 ~
인문학 강사 이삭빛시인과 노상근 안중근장군전주기념관 관장, 문화만세(회장 노상근= 현석시활동가) 콜라보 강사
이삭빛시인님 펌해왔어요 - 코리아 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