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白(자백)
"스스로 자"와 "흰 백"을 합쳐서 자백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한자중 "흰 백"은 다섯가지의 뜻이 있는데
첫번째는 희다, 두번째는 깨끗하다, 세번째는 분명하다 또는 명백하다, 네번째는 진솔하다, 다섯번째는 밝다, 밝아지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성경에 사용된 의미는 분명하다, 또는 명백하다..진솔하다의 의미가 강한것 같습니다.
직역하면 자기 스스로 고백을 하는 것 즉 자기 스스로 시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悔改(회개)
뉘우칠 회와 고칠개를 합쳐서 회개라고 합니다.
참고로 고칠개는 행동이 수반된 의미가 강합니다.
즉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는 것을 말합니다.
근데 여기서 뉘우치다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스스로 깨달아 반성하는 마음을 가진 것이라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회개는 스스로 자기 잘못을 깨달아 반성하는 마음을 가지고 잘못을 고치는 것을 우리는 알 수가 있습니다.
回心(회심)
돌아올 회와 마음심을 합쳐서 회심이라고 합니다.
마음이 돌아오는 것을 회심이라고 합니다.
즉 엉뚱한데 마음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이 다시 예전의 마음으로 돌아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인간이 하나님 앞에 불순종하고 선악과를 먹고 죄를 지은후 사망의 구렁텅이에 있었다가
인간이 다시 주님의 품으로 돌아오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참고로 회개는 행동의 구체적인 표현(스스로 자기 잘못을 깨달아 반성하는 마음을 가지고 잘못을 고치는 것)이고, 회심은 마음이 돌아오는 것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회개의 회와 회심의 회는 다른 의미입니다. 하나는 뉘우칠 회이고 하나는 돌아올 회입니다.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첫댓글 성경안에 있는 회를 다 뉘우칠 회로 보거나 다 돌아올 회로 보면 회개와 회심의 뜻을 혼동하기가 쉽습니다.
카톨릭에서는 회심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보았습니다.아마 통회는 강한 회개를 표현한 것으로 이해됩니다.
성경 사도행전 3장 19절에는 회개와 회심 두개의 단어가 나옵니다. 그것을 이야기 한 것 입니다. 그리고 통회라는 아플 통과 돌이킬 회를 사용하는데 아플 통은 몹시라는 뜻이 있습니다. 직역하면 몹시 뉘우친다는 뜻입니다. 몹시 죄를 깨달아 반성하는 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다시 올렸습니다. 내용을 추가 해서
추가 해야 할 것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회라는 단어를 빼먹었네요.
conversion이라는 단어는 회심이라는 단어 입니다. 킹제임스 성경 사도행전 3장 19절에 converted 회심한 이라는 형용사로 번역이 되어 있습니다.
사실 구약에서는 무수히 돌이키라, 는 단어가 많이 나왔습니다. 또 마음을 찢으라는 말씀도 참 회개를 가리키는데 사용되었습니다 ( 요엘 2장 13절)
사실 회심은 회개나 통회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회심은 거듭남과 동등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회개는 거듭남이전이든 혹은 이후에라도 거듭남과는 상관없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고요.
회심이 거듭남과 동등하게 쓰이는 예는 카톨릭에서 구원을 회심으로 말하고 있는 경우와, 거듭남의 종류를
Sudden Conversion 과 Gradual Conversion 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경우 등입니다.
저는 Gradual Conversion 곧 점진적 회심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구원은 순간적으로 성령께서 들어오시는 것이지 장구한 세월에 걸쳐서 성령께서 점차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카톨릭은 점진적 회심을 인정하고
마치 구원이 점차적으로 세월이 가면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장로교인들중에서도 순간적 회심 뿐만 아니라 점진적 회심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성령께서 우리의 마음에 들어오심은 매우 순간적입니다. 번쩍 번쩍하는 사이에 들어오십니다.
아멘 그렇습니다.
'통회'라는 단어를 영어 사전에서 찾다가 contrition과 attrition, 즉 완전한 또는 불완전한 회오(悔悟)의 두 가지를 발견하였습니다. '신학적인 용어'라고 나옵니다. 아시는대로 설명 부탁 듭니다! ['통회'가 구약 성경에는 broken heart~]
여기서는 Contrite 라는 단어를 많이 씁니다. 상한 심령에 적용할 때도 있습니다. 회개로 번역함은 일반적이라 생각합니다. 통회하는 심령 또한 contrite heart 등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사용하는 단어중에 Absolve Absolution 이 있는데 이것을 죄용서, 사면 죄사함으로 쓰는 것은 카톨릭에서 있는 일로 보입니다만 아마 앵글리칸도 같이 사용하는 것같습니다.
제가 드린 (두 영어 단어) 말씀은 '종이 사전'에 의한 것인데, 모두 [神]이라고 하는 '약어표'가 붙은 것으로 보아 '신화(神話)'나 '신학(神學)'에 관한 용어'인가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