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쟁과 부역의 역사,
그리고 민주공화국의 기원
35년
(4~5권 세트)
박시백 글‧그림 | 비아북 펴냄 | 2019. 5. 27. | 값 28,000원
170*235 | 596쪽 ㅣISBN 979-11-89426-43-9 (04910) [4~5권세트]
■ 줄거리
<4권>
1925년 화요파를 중심으로 조선공산당이 창당되지만 일제의 탄압에 직면하고, 만주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여 중국혁명과 조선혁명이라는 양대 과제를 안고 일본 제국주의와 싸워나간다. 만주 지역 독립운동세력은 강고한 일제에 맞서기 위해서 하나로 통합해야 한다는 민족유일당 건설 운동이 일어나고, 국내에서는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이 협동전선을 모색하는 신간회 결성으로 이어진다. 3·1혁명 이후 항일운동의 핵심이 된 학생들은 동맹휴학, 독서회 같은 비밀결사 조직을 통해 일제에 맞서고, 1929년 광주에서는 3·1혁명 이후 최대 규모의 항일 민족운동인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난다.
<5권>
1930년대는 전 세계를 강타한 대공황으로 시작된다. 서구 세력이 경제블록화로 대공황에 대응하자 일본도 대공황 탈출을 위해 식민지 정책의 변화를 도모한다. 일본 관동군은 만주를 점령하고 허수아비 푸이를 내세워 만주국을 세우고, 제6대 총독 우가키는 조선산업개발과 내선융화를 정책으로 내건다. 사회주의 계열은 대중의 역할과 아래로부터의 주체성을 강조하며 적색노조·농조 활동을 벌이고, 민족주의 계열은 문자보급운동과 브나로드운동 등 농촌운동을 활발히 한다. 한편 임정은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기 위하여 비밀특무대인 한인애국단을 결성하고,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를 주도한다.
■ 차례
<4권> 1926-1930 학생 대중아 궐기하자
|프롤로그| 1920년대 후반, 세계는
제1장 조선공산당
화요파 조선공산당의 창당
제2차 조선공산당
ML파 조선공산당
당의 해체와 12월 테제
만주의 공산주의 운동
제2장 단일전선을 위하여
삼부의 결성과 활동
민족유일당 건설
삼부통합운동과 유일당운동의 실패
제3장 신간회운동
신간회의 창립
신간회의 조직과 활동
신간회의 해소
제4장 열혈 학생운동
6·10만세운동
학생운동의 성장
광주학생운동의 발단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광주학생운동의 전국화
제5장 민중들의 투쟁
노동운동의 성장
원산총파업
이어지는 파업투쟁들
농민들의 투쟁
청년운동, 여성운동, 형평운동
제6장 계속된 의열투쟁, 그리고…
나석주와 이수흥
장진홍과 조명하
박용만과 김좌진의 죽음
|부록|
4권 연표
4권 인명사전
4권 사료 읽기
참고문헌
<5권> 1931-1935 만주침공과 새로운 무장투쟁
|프롤로그| 1930년대 전반, 세계는
제1장 식민지 정책의 변화
우가키 총독
농공병진정책
내선융화
1930년 전후의 경성
제2장 사회주의 계열의 투쟁
각 그룹의 공산당재건운동
이재유 그룹의 재건운동
적색노조운동
적색농조운동
제주해녀투쟁
제3장 민족주의 계열의 운동
농촌운동
국학운동
동아와 조선의 경쟁
제4장 만주의 무장항쟁
한국독립군의 투쟁
조선혁명군의 투쟁
항일유격대의 투쟁
민생단
반민생단 투쟁
간도협조회의 파괴공작
제5장 중국 본토의 항쟁
임시정부와 한인애국단
이봉창 의거
윤봉길 의거
김구와 김원봉
제6장 여성 독립투사와 아나키스트
윤희순과 남자현
신채호와 이회영
|부록|
5권 연표
5권 인명사전
5권 사료 읽기
참고문헌
■ 추천의 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을 기리는 것은 물론이고, 우리의 민족을 배반한 이들을 기억하는 것 역시 우리의 몫이다. 박시백은 우리에게 생소한 여성 독립운동가부터 밀정 등 친일 부역자까지, 한 명, 한 명을 불러낸다. 그들을 기억하기 위해서라도 정독을 권하는 작품이다.”
-윤경로(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 전 한성대학교 총장)
“박시백의 《35년》은 일제에 맞서 부단하게 투쟁했던 우리 조상들의 삶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접근하기 어려웠던 일제강점기의 수많은 인물과 사건이 이 만화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다가온다. 시민들과 함께 읽고 생각을 나누고픈 책이다.”
-이만열(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박시백은 만화로 역사를 기록한다. 쉽게 읽히고, 글로는 표현할 수 없는 감동을 선사한다. 할아버지 이회영 선생께서 일가를 이끌고 얼어붙은 압록강을 건너 망명길에 오르는, 그 한 컷의 그림이 주는 감동을 잊을 수 없다.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역사를 입체감 있게 표현한 역작이다.”
-이종찬(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위원장, 전 국가정보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