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도 2회차 필기, 실기 합격했습니다. 저와 상황이 비슷하신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하여 글을 작성합니다. 일단 저는 관련 학과 전공생이며 전기기사 자격증을 2019년도에 취득하였습니다. 최근 공기업이 쌍기사가 필요하여 급하게 공사기사 자격증까지 취득하고자 했습니다.
먼저, 필기는 전기기사를 취득한 상태였기 때문에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한 과목만 시험을 보면 됐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기기사를 먼저 공부한 뒤 전기공사기사 자격증을 공부하려고 하기 때문에 저와 다들 비슷한 상황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과목이기 때문에 쉽게 생각했고 그래서 작년에 한 번 떨어진 적이 있었습니다. 1년에 시험볼 수 있는 기회가 3번밖에 없기 때문에 저처럼 괜히 시간 버리지 않으시려면 필기도 어느 정도 시간을 투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책은 에듀윌 교재만으로 공부했습니다.
실기는 다산에듀 교재와 강의를 들었습니다. 지금은 개정되어 동일한 책을 판매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공사 part와 함께 세트로 구매할 수 있는 기출문제집을 구매하였습니다.
2회차때부터 시퀀스랑 견적 문제배점이 달라진다 뭐다 해서 말이 많았는데 그렇다고 해서 굳이 견적문제를 버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출을 반복하다보면 어떻게 푸는지 감이 잡히기도 하고, 그런 의미에서 단답에서 1,2점 얻는 것보다 견적에서 5점 받는 게 개인적으로는 더 쉽다고 느껴졌습니다. 이건 생각의 차이이기 때문에 본인이 맞다고 생각하는 방향대로 공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시퀀스 비중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험 몇 일 전에 알게 되어서 공부할 시간이 별로 없었는데 파란색책(공사 part)에 있는 시퀀스 문제와 초록색책(기출)에 있는 문제만 풀고 갔고 아마도 시퀀스 관련 문제는 다 맞춘 것 같습니다.
공부기간은 약 3주가 안 됐습니다. 한달 전부터 하자고 마음먹었지만 하루이틀 미루다보니 실질적으로 열심히 공부한 기간은 2주였습니다. 하지만 제가 학생이라 하루종일 공부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직장을 다니시면서 공부하시는 분들이시라면 최소 한 달은 잡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파란책은 5회독, 초록책은 3회독했습니다. 참고로 파란책에 있는 산업기사도 2회독정도 했습니다. 이것도 제가 산업기사 내용을 빼고 풀어도 된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해서 그렇지 산업기사는 안 푸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앞의 개념 강의는 전부 다 들었지만 듣는 과정에서 암기를 한다던가 하지는 않았고 기출 문제를 풀면서 나오는 내용이 있으면 다시 확인하거나 암기하는 식으로 공부했습니다. 기출을 풀면서 어느 부분이 많이 나오고 중요한 내용인지 감을 잡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기출 부분은 강의를 다 듣진 않았고 견적이나 시퀀스, 이해가 되지 않는 내용에 한해서만 강의를 들었습니다. 기출이라 하더라도 강의를 아예 안 보는 것보다는 이해가 안 되는 문제는 강의를 통해 반드시 풀이를 확인하는 것이 헤매지 않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전기기사를 취득하고 난 뒤 취업에 있어서 다른 기사 자격증이 필요하다면 전기공사기사 자격증 취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관련 내용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처음 전기기사를 공부하셨을 때보다 수월하게 합격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저도 전기기사를 2년 전에 취득했음에도 불구하고 큰 어려움없이 실기를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전기기사와 다르게 공사기사 합격 후기가 부족한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합격을 축하드립니다.
그 동안 고생하셨습니다.
더욱 더 좋은일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최종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앞으로도 도전하시는 일 모두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축하드립니다~~ 고생하셨네요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아울러 경험에서 우러나온 좋은 합격수기에 감사드립니다.
취득하신 앞으로 자격증이 하고자 하시는 일에 많은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출은 10년에서 16년꺼만 봐도 괜찮을까요!?? 20년치 보라는 소리가 많아서요..
파란책에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출이 있었고, 추가적으로 카페에서 2021년 1회차 기출을 다운받아 풀었기 때문에 저는 약 10년치 기출을 봤습니다.
정확하게 몇년치의 기출을 봐야한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이번 시험 난이도는 이정도로도 충분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