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대용(大機大用)의 최상승(最上乘)
우리 안에 있는 망상만 해결하면 우리는 영원한 밝은 마음으로 영원히 살아갑니다.
망상을 해결하는 두 가지 분류가 있는데, 우리한테 번뇌 망상이 있는 걸 그릇 닦듯이,
거울에 먼지 닦듯이 싹 다 없애 치우고 밝은 마음을 얻으려고 하는 분류는 성문(聲聞) 연각(緣覺)입니다.
성문(聲聞) 연각(緣覺)의 소승인(小乘人)은 나한테 번뇌 망상이 있는 걸 싹 다 없애 치우고,
나한테 깨끗하고 밝은 마음이 하나 있어서 그거를 얻어야 하겠다고 닦습니다.
물로 말하면 정수기에 물을 거르듯이 걸러내는 걸 이릅니다.
그게 소승의 성문 연각이 닦아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대기대용(大機大用)의 최상승(最上乘)을 가진 그런 분류는 번뇌 망상을 싹 닦아내고 아는 게 아니고,
번뇌 망상을 손끝 하나 까딱하지 않고 일체를 있는 그대로 바로 본성을 깨달아 압니다. 그게 다릅니다.
닦아내야 한다는 그런 분류에서는 중생 세계라는 게
끊임없이 이어 나가고 창조돼 나가기 때문에 계속 닦아야 합니다.
그리고 깨끗하고 밝은 것이 별도로 있는 걸 또 취해야 합니다.
그런데, 최상승의 대기대용(大機大用)을 가진 사람은
중생 세계에 있는 번뇌 망상을 싹 없애치우는 게 아니고,
있는 그대로 그 속에서 바로 본성을 알아차려서 깨닫습니다.
그게 바로 “그는 곧 나요, 나는 그가 아니다.”하는 데서 해결이 다 된다는 겁니다. 닦을 게 없습니다.
그걸 알은 사람은 망상이 일어나고 안 일어나고 그런 자체도 없습니다.
또 그런 게 있다고 하더라도 아무 관계를 받지 않습니다.
별 수천 가지 생각이 일어나더라도 아무 관계를 안 받습니다.
그래서 조주 스님에게 묻되, “어떻게 번뇌 망상을 다 없애겠습니까?” 하니
조주 스님이, “너는 번뇌 망상을 다 없애서 뭘 하려고 하느냐?” 물었습니다.
모든 게 “그는 곧 나요, 나는 그가 아니다.”하는 여기에서 딱 해결이 되는 겁니다.
이 사람은 그때부터는 아무런 관계를 안 받습니다.
나는 곧 그가 아닌 걸 알았기 때문에 어디에 있어도 절대 거기에 물드는 게 없습니다.
거기에 구속을 안 받습니다. 최상승의 대기대용(大機大用)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게 합니다.
잠깐만에 돼 버리는 겁니다. 이게 소승인과 다릅니다.
그래서 닦지 않고 바로 알아버립니다(不修頓悟). 알고 보니까 아주 쉽습니다.
그래서 자다가 코 만지기처럼 쉽다는 겁니다.
이 볼펜을 들고 흔드는 이놈은 볼펜인가 볼펜이 아닌가?
이걸 “볼펜이다.” 했을 때는 둘이 아니고 나다(☞그는 곧 나다).
근데 “볼펜이다.” 하고 말하는 이놈을 돌이켜 보니까 이거 하고는 관계없다(☞나는 그가 아니다).
모든 만상의 모양에서 뛰어나 있는 거라서 어떤 것도 비교할 수 없는 거라.
그걸 바로 알은 사람은 그때부터 안 속습니다. 그게 돈오(頓悟)입니다.
그 당처를 뭐라고 하느냐 할 때,
흐르는 물은 아무리 앞에 돌, 가시나무 등이 있어도 걸림 없이 흘러가고(流水不碍石茨林),
흰 구름은 청산에 걸리지 않고 가더라(白雲不碍靑山峰).
번뇌 망상이 아무리 많이 있다고 하더라도 관계없다는 겁니다.
왜 그걸 닦아 없애 치우려 하는가? 수천수만 년 계속 닦아서 어쩌자는 것인가?
- 대원 스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