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서나 진평은 그렇다 치더라도 대체 무슨 근거로 근초고대왕 때 광양, 청하, 성양, 광릉을 세력하에 넣었다고 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백제 세력하에 있다 해도 그것은 동성대왕 때가 좀 더 개연성 있다고 봅니다.(그러고 보니 표현도 요서진출이 아니라 요서공격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요하 유역에서 백제의 요동 공격과 고구려의방어라니... 이 또한 무슨 근거로 저렇게 표시하였는지...
저는 백제의 요서진출을 긍정적으로 보는데, 현재 국정 역사부도는 성급한 면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첫댓글 사실 저 정도 영토에 수곡성 위치를 저렇게 상정해 놓고 본다면 무령왕 대의 영토도 저 때와 크게 다를 바 없어지지요... 광양 청하 성양 광릉이라... 저 부분은 저도 긴가민가입니다. 분명 근초고 대의 요서라면 모르겠지만 강남 지역까지는 좀 두리뭉술하죠... 물론; 박영규씨의 백제왕조실록에는 저 역사부도상에 진출한 부분서부터 한반도, 요동에 이르기까지 싸그리 다 이어놓고 전부 백제 영토라고 해놔서 오바스럽다는 거지만;; 물론 평양도 한반도 내 평양(이건 하평양이라 하더군요) 이 아니고 더 위쪽 평양으로 정의하죠..
박영규씨 것은 버로우 아니던가요;;
버로우니 예로 들어 한번쯤 언급하는거죠
재밌는 건 아직 전성기(광개토태왕)가 시작도 안 된 고구려를 이 지도에서는 동만주와 연해주 전체를 차지한 것처럼 그려놓고선 뒤에 수-당 전쟁시기 지도에는 경쟁자가 소멸된 동방영토를 압록강까지 축소시켜놨더군요. 참 재밌지 않습니까?
부여는 안드로메다로 사라진지 이미 오래 전일입니다. 그리고 저 역사 부도 만든 사람들은 발해를 무지하게 싫어하나 봅니다. 발해 때의 당나라 극동 한계선을 평양 부터로 그려놨습니다. 참고로 그래도 고등학교 역사 부도가 좀 나은 것이 있는데 제가 중학교 때 배운 교과서에서는 광개토태왕이 정벌한 연을 전연이라 했었습니다.-_-
다른 것도 문제지만 보하이만과 황해라고 써 놓은 부분이 걸리는군요. 발해만과 서해라고 써 놓으면 뭐가 덧난다고...
동의합니다.^^ 동해는 일본해라고 안했네요. 눈치는 볼 줄 아나봅니다. ㅎㅎㅎ
흠냐; 많이 바뀌었군요--; 확실히 삑사리가 좀 많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