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말갈의 후손
*비긴강 - 우데게의 생활터전
보통 우데게족은 수렵이나 낚시로 생활하고 있다.
둔까이 - 둔씨성을 가진 사람으로 그들은 둔씨가 한국에도 있다고 주장한다.
*아마로찌까 - 우데게의 수렵용배
우데게는 낚시를 자주한다, 식량확보를 위해 생선을 다듬어 소금간을 하고 나무에 걸어 말려 겨울에 사용한다.
*한규철 교수
말갈은 동북방에 있던 이민족을 통틀어 부를 비칭어임
고구려인들이 지방사람들을 깔봐서 부른 용어이다.
종족의 의미보다 보통명사의 성격을띤 호칭이라 봐야 한다.
이것을 종족의 개념으로 보는것은 문제가 있다.
크라스노야르: 연해주의 소수부족들이 축제를 위해 모여든다.
*말갈을 야만으로 규정하고 이종족의 개념으로 봤던 것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중화사상 (소중화주의)로 인해서임, 현재 한국의 역사학자들은 북방민족에 대한 이런 과거의 사관을 온당치 못하다고 보고있다.
우데게축제 (연해주 모든 소수부족의 축제)
*우데게의 민요를 부르는 연장자들 *곰을 주제로한 무용극
*신에대해서는 절을 세번한다는 삼고수 원칙을 지킴
*우데게족의 샤먼이 북을 치며 주술을 하고 있다.
보통 우데게의 샤먼과 바이칼의 샤먼들은 서로 왕래한다.
*이들 우데게족은 자신들과 한국인이 같은 발해의 후손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출처: 민족반역자처단협회 원문보기 글쓴이: [논객] 라미드
첫댓글 의상들이 티벳지역사람들과 아메리카 인디언과 닮았습니다.
조선-고구려- 대진(발해)로 이어지는 영향력은 아직도 상당히 강하군요. 대진국 멸망에 대해선 당이 망해서라는 이유가 듭니다. 강력한 적수였던 당이 망하니 대진국 내부에서 방심을 하다가 야율아보기에게 당했죠.
감사히 가져갑니다...
첫댓글 의상들이 티벳지역사람들과 아메리카 인디언과 닮았습니다.
조선-고구려- 대진(발해)로 이어지는 영향력은 아직도 상당히 강하군요. 대진국 멸망에 대해선 당이 망해서라는 이유가 듭니다. 강력한 적수였던 당이 망하니 대진국 내부에서 방심을 하다가 야율아보기에게 당했죠.
감사히 가져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