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저의 모든 친척이 사는곳이다 보니 매년 3번씩은 꼭 와야할곳입니다
작년말 심심풀이로 역을 찾아 부전역을 찾아간것을 계기로 이제는 부산에만 오면 역을 찾아 돌아다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설때는 해운대역과 부산역 부산진역을 찾아갔고 7월에는 동래역과 안락역을 찾아갔지요
이번에는 부전역 입장권을 사기위해 부전역을 찾은뒤에 곧바로 수영역을 찾아갔지요
수영역의 간략한 역사입니다
1935년 7월 15일 -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2004년 12월 10일-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
제가 볼때 수영역은 현재 여객을 담당하기 보다는 신호장역할이 더 클듯하네요

동해남부선 수영역은 다른역과는 달리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수영역에 위치한역이 아니라 2호선 셈텀시티역이라는 곳에서 5분정도 떨어진곳에 위치한 역입니다
저도 첨엔 무작정 2호선 수영역에서 내려서 2시간이나 찾다가 포기해 버렸었지요
즉 모르는 사람은 아예 찾지를 못하는 경우가 있지요
그런데 얼마전의 신문기사에서보니 지하철 수영역 앞의 도로는 부산지역에서 가장 시끄러운 곳으로 되어있더군요
(관련기사 -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959340)
이곳 동해남부선 수영역은 그에 비해 꽤나 조용했지요

출구번호 2번출구로 나와도 한번에는 못찾습니다 레일이 건물들에 가려서 보이지 않습니다
게다가 전차선도 없는 동해남부선이다보니 찾는건 더더욱 힘들지요
저도 한참동안 해매다 저 건널목을 찾아냈지만 수영역을 이미 지나친곳에 위치한곳이더군요

건널목에서 들여다본 역 내부모습입니다
멀찍이 떨어져있다보니 저도 처음엔 그냥 신호장인줄 알았지요
주변사람들에게 물어보았지만 모른다는 답변도 나오고 이미 폐역된곳을 뭐하러가냐고 가르쳐 주지도 않더군요

한참을 해매다 드디어 찾아낸 수영역 안내판입니다
저걸보고 "드디어!!" 했지요^^

수영역입구를 드디어 찾아내고 처음 접한 안내문구입니다
내용을 보니 아주 예전에 달린듯하군요 "수영역장"이란걸 보면 말입니다

수영역의 열차 시간표입니다 하루에 2대 정차할정도의 이용객이 없는 역이지만 분명히 살아서 영업중인 역입니다


위의 사진 두장은 수영역이 무배치 간이역인것을 증명해주는 안내문입니다

얼마나 작은역인지 이건물과 화장실 두개의 건물이 있는데 모든문은 자물쇠로 채워져있거나 문이 잠긴 생태입니다

사진속 건물의 내부입니다
위의 시산표가 걸린곳이 내부 입구입니다 내부는 아무것도 없이 매우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보통때는 사람이 없지만 열차가 정차하는 시간이 되면 사람이 와서 일을 한는지 역사 내부안에 무전기가 설치 되어서 작동되고있더군요 누가 누구와의 무전인지는 모르지만 무전하는 소리가 들려오더군요

역명판은 예전 형식인데 관리가 안되어서 글자가 모두 떨어진상태입니다

차표 넣는 함이 있었는데 속에는 집표 몇장과 쓰래기가 들어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수영역 안에는 텃밭이 있었습니다
이상한일이었습니다 철도시설에서는 텃밭을 기르지 못하게되어있는데 말입니다
이곳을 관리하는 해운대역 직원이 가끔 와서 텃밭을 기르나봅니다

재송역 방향으로 한컷 찍어 보았습니다

한참뒤 PP동차가 빠른속력으로 지나치더군요

저 말고 찾아온 이역의 손님이라곤 검은 도둑고양이 한마리 뿐이었습니다

이역을 떠나기전에 좀 특별한 방식으로 레일에 사진기를 놓고 한컷찍은후에 이역을 떠났습니다
듣기로 이역은 복선전철화가 되면 통합 또는 신역사로 이전 계획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용객이 없다고 폐역되는 역이 점점 늘어나다보니 굉장히 아쉽다는 느낌이 크게 들더군요
첫댓글 수용, 채송으로 표기되어있군요.
저기도 몇년안에 전철전용으로 살아날려나요?
현재 수영역의 기능은 2개의 역으로 분산되어서 이전되게 됩니다.^^:; 현재, 이 역에서 해운대역 방향으로 조금 더 간 지점에 부산지하철 2호선 시립미술관역과의 환승을 위한 역이 생기고, 이 수영역에서 재송역 방향으로 가면 센텀파크 아파트 옆에 이 역의 본 기능의 대부분을 이전하게 됩니다.^^:;
아, 그리고 여담입니다만, 부산지하철 수영역 위의 수영교차로는 한 때 전국에서 가장 교통체증이 심한 곳이라는 오명을 쓰기도 했습니다.(새벽 2시까지 평균속도가 20km/h라면 말 다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