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투 비광에서 우산을 들고 서 있는 저 사람은 일본 서예의 창시자라 불리는 오노도후(894-964) 라고 한다. 그가 젊었을 때 일이다. 서예 공부를 아무리 해도 진도가 안 나가고 발전이 없자 공연히 짜증이 났다. "에라, 모르겠다. 이젠 더 못하겠다. 집어 치워야지. 내가 글을 잘 써서 뭐하나?" 화가 난 오노도후는 서예를 그만 두려고 마음 먹고 일어나서 밖으로 바람이나 쐬러 나갔다. 그때가 장마철이라 밖에는 비가 뿌려댔다. 오노도후는 비참한 심정이었다.
우산을 들고 한참 걸어가는데 빗물이 불어난 개울 속에서 개구리 한 마리가 발버둥을 치고 있었다. 빗물이 불어나서 흙탕물로 변한 개울에서 떠내려 가지 않으려고 필사적으로 버둥거리고 있었던 것이었다.
개울 옆에는 버드나무가 있었는데 개구리는 그 버드나무에 기어 오르려고 안간 힘을 다했지만 비에 젖은 버드나무는 미끄러워서 헛탕만 쳤다.
'저 놈이 얼마나 버티는지 보자. 몇 번 바둥거리다가 어쩔 수 없이 흙탕물에 쓸려 가겠지.' 오노도후는 쪼그리고 앉아서 구경을 했다.
개구리는 미끄러지고 또 미끄러지고... 계속 미끄러지다가... 결국에는 죽을 힘을 다해 버드나무로 기어 올랐다.
그걸 지켜 본 오노도후는 크게 깨달았다. '저런 미물도 저렇게 죽을 힘을 다해 나무에 기어 오르는데 내가 여기서 포기를 하면 개구리만도 못하겠구나. 참 부끄럽다!'
그 길로 다시 서당으로 돌아가 필사적으로 서예 연습에 매달려 마침내 일본 제일의 서예가가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화투가 끝나는 마지막 장에 오노도후의 재기를 상징하는 그림을 그려넣은 것은 끝은 또 하나의 시작이며, 절망의 순간이야말로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는 순간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일본에서 만든 화투와 우리나라 화투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비광패의 오노도후는 게다가 아니라 고무신을 신고 있다고.. ㅎㅎ) 화투 비광에서 우산을 들고 서 있는 저 사람은
일본 서예의 창시자라 불리는 오노도후(894-964) 라고 한다. 그가 젊었을 때 일이다. 서예 공부를 아무리 해도 진도가 안 나가고 발전이 없자 공연히 짜증이 났다.
"에라, 모르겠다. 이젠 더 못하겠다. 집어 치워야지. 내가 글을 잘 써서 뭐하나?" 화가 난 오노도후는 서예를 그만 두려고 마음 먹고 일어나서 밖으로 바람이나 쐬러 나갔다.
그때가 장마철이라 밖에는 비가 뿌려댔다. 오노도후는 비참한 심정이었다.
우산을 들고 한참 걸어가는데 빗물이 불어난 개울 속에서 개구리 한 마리가 발버둥을 치고 있었다. 빗물이 불어나서 흙탕물로 변한 개울에서 떠내려 가지 않으려고 필사적으로 버둥거리고 있었던 것이었다.
개울 옆에는 버드나무가 있었는데 개구리는 그 버드나무에 기어 오르려고 안간 힘을 다했지만 비에 젖은 버드나무는 미끄러워서 헛탕만 쳤다.
'저 놈이 얼마나 버티는지 보자. 몇 번 바둥거리다가 어쩔 수 없이 흙탕물에 쓸려 가겠지.' 오노도후는 쪼그리고 앉아서 구경을 했다.
개구리는 미끄러지고 또 미끄러지고... 계속 미끄러지다가... 결국에는 죽을 힘을 다해 버드나무로 기어 올랐다.
그걸 지켜 본 오노도후는 크게 깨달았다. '저런 미물도 저렇게 죽을 힘을 다해 나무에 기어 오르는데 내가 여기서 포기를 하면 개구리만도 못하겠구나. 참 부끄럽다!'
그 길로 다시 서당으로 돌아가 필사적으로 서예 연습에 매달려 마침내 일본 제일의 서예가가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화투가 끝나는 마지막 장에 오노도후의 재기를 상징하는 그림을 그려넣은 것은 끝은 또 하나의 시작이며, 절망의 순간이야말로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는 순간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일본에서 만든 화투와 우리나라 화투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비광패의 오노도후는 게다가 아니라 고무신을 신고 있다고.. 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