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는
진흙으로 그릇의 형태를 빚어 말린 뒤 불에 구워 낸 것을 말한다. 진흙을 빚어 600∼800℃
정도의 온도에서 구우면 진흙 속의 광물은 녹지않지만 진흙에는 질적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어느 정도 단단해지면서 그릇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우리나라 토기의 기원은 서기전 5천년경 신석기시대의 덧무늬토기와 빗살무늬토기로부터 시작되며 이후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민무늬토기, 원삼국시대의 연질토기, 타날문토기와 와질토기(瓦質土器)로 넘어가면서 삼국시대 단단하게 만들어진 경질토기의 모체가 된다. 토기는 이후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서민들의 질그릇으로 전통이 이어진다.
선사시대의
토기는 가마 지붕이 없는 노천요(露天窯)에서 구웠다. 이때는 굽는 과정에서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는 산화염(酸化焰)으로 구웠기에 진흙 속의 철분이 산소와 결합하면서
흔히 적갈색을 띄고 있다.
<토기를 만드는 3가지 방법>
토기를 빚는 방법은 손빚음법(수타법;手捺法)·테쌓기법(윤적법;輪積法, ring method)·서리기법(권상법;卷上法, coiling method)이 이용되고 있으며, 물레는 사용되지 않았다. 소형의 토기는 손빚음법을 쓰고 있으나 그릇 벽면의 테자국 관찰과 X-ray 사진분석 결과 대부분의 선사토기는 테쌓기법과 서리기법으로 빚었다.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는 빗살무늬 토기이며, 덧무늬토기도 일부 발견된다. 토기는 주로 저장용과 조리용으로 이용되었는데, 신석기 시대의 정착생활 및 농경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빗살무늬토기는 전국적으로 발견되지만, 토기에 표현된 기하학적 무늬를 기준으로 중서부·남부·동북지역별로 구분되기도 한다.
빗살무늬토기(櫛紋土器)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토기이다. 가장 큰 특징은 빗살무늬가 토기 표면에 보이며, 대체적으로 계란과 같이 밑부분이 뾰족한 형태(尖底)를 취하고 있다. 표면에는 기하학적 문양이 보이는데 , 문양의 구성요소는 점과 선이며, 곡선보다는 직선이 많다.
덧무늬토기(隆起紋土器)는 겉면에 진흙띠를 붙이거나 겉면을 가늘게 돋게 하여 주둥이와 몸통부분에 무늬를 표시한 토기이다. 남해안 지방에서 주로 출토되며 북쪽으로는 양양 오산리까지 분포하는데 빗살무늬토기보다 빠른 시기의 것이다. 한편 동북지방과 중서부지방에는 주둥이 밑에 한가닥 덧띠를 붙인 덧무늬토기가 신석기시대 후기에 나타난다.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지역적으로 다양한 토기가 제작되었으며, 중국토기의 영향을 받게 된다. 민무늬토기(無紋土器)는 그릇에 아무런 무늬가 없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나, 주둥이에 구멍무늬나 짧은 빗금무늬가 표현된 토기, 가지무늬 토기도 여기에 포함되며 실제로는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에 제작된 토기를 지칭한다.
민무늬토기에는 서북지방의 팽이형토기, 공귀리형토기, 미송리형토기, 동북지방의 구멍무늬토기, 꼭지손잡이토기, 붉은간토기, 서남부지방의 송국리형토기 등이 있다. 중부이남에서는 위 지역의 영향을 받다 변형 팽이형토기, 구멍무늬토기, 붉은간토기가 발견되고 있다. 후기에는 검은간토기, 쇠뿔잡이토기, 덧띠토기 등이 새롭게 제작된다.
민무늬토기는 진흙에 모래알이 섞인 바탕 흙으로 대략 800∼900℃ 불에 구워 만든 것이다. 밑이 평평한 평저이고 간 혹 밑이 좁은 것도 있으며 주둥이는 빗살무늬토기처럼 직립해서 넓게 벌어진 것도 있으나 목의 형상의 뚜렷이 구분되는 것들이 많다. 몸통에는 단지형, 쇠불형 등의 손잡이가 붙어 있는 것이 많고, 기종은 화분형단지·장경호·단경호·독·작은 단지 등이 있다.
민무늬토기 중에서 팽이형토기는 밑부분이 작고 몸통(胴部)이 부푼 팽이처럼 생긴 토기로 2∼3줄의 짧은 사선(斜線)이 그어진 2겹의 주둥이가 특징이다.
구멍무늬토기(孔列紋土器)는 주둥이(口脣) 바로 아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멍무늬를 가로로 배치한 깊은 바리형토기 (深鉢形土器)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는데, 민무늬토기 시대의 전기와 중기를 대표한다.
붉은간토기(紅陶)는
태토를 사용하여 성형한 후 표면에 산화철을 바르고 갈아 소성함으로써 붉은 색의광택이
나는 토기로 단도마연토기·홍도 등으로 불린다.
검은간토기(黑陶)는 표면에 흑연, 망간 등의 광물질을 바르고 갈아 광택이 있는 검은색으로 긴 목이 달린 목항아리가 많은데 민무늬토기 후기의 유형이다. 원삼국시대 초기까지 유행한다.
李江秀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