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피는 항상 임신중입니다.
한번 짯짓기로...수컷없이도 3번정도 출산 가능하구요. 출산주기는 약 25일 가량이며
대신 구피는 2년 안쪽의 수명입니다.
치어들 발색이 돌려면 2cm급은 되야 한답니다. 3cm정도 되는 주니어들이면..
이제 꼬리나 등지느러미는 아직 작아도 수컷성어의 화려한 발색이 돌죠.
1cm이하의 치어라면 암수 색깔 거의 차이없거든요.
배지느러미 관찰 가능한 사이즈라면...
자세히 보시면 수컷은 뾰죽한 배지느러미를 달고 있답니다. 암컷은 삼각형모양이구요.
구피입수시 봉지온도와 수조온도만 맞추어주시면 별문제는 없어보이구요.. 적당한 물쌀세
기도 상관은 없습니다..수초가 있다면 치어의 생존율도 높아지겠지요.. 초기입수시 조심하
시고 물맞댐은 꼭 1시간정도 수조물과 고기가있는 봉지물의 피에치를 적응할수 있게끔 조
치해 주시면 되구요.온도는 보통22도에서 28도 사이에서도 무난하게 잘적응합니다..
========================
백탁현상입니다..먹이를 과다하게 주어도 오고요..여과싸이클이 맞지않을때도 옴니다.. 그러니깐 암모니아를 먹는 박테리아가 배설하는 덩을 분해하는 박테리아수가 적은것이요..당분간 먹이를줄이시고 먹이를 주더라도 소량으로 자주 주는것이 좋을듯 싶습니다..
=============================
묵은수조에 환수는 피에치를 낮추어 주는것이 아니라 높여주는것이구요 일반수돗물 이틀정
도 받아놓은물 피에치를 재어보면 아마도7.0에서 7.3대로 나올겹니다..묵은수조라면 아무
래도 피에치가 6점대 전후로 될것 같은데요 여기에 수돗물받아놓은것으로 환수를 하면은
당연히 피에치는 올라가겠지요 반대로 알고계신듯 하네요.그리고 구피는 사육방식에 따라
서 틀리지만 전좌에 말씀드렸듯이 건기식 사육법에서는 중성물보다는 산성물에서 구피를
키우는 방식을 말씀드린겁니다..일주일에 한번씩 환수로 키우은 사육법은 우기식 사육법으
로써 환수가 대안일수밖에 없겠지요..
구피의 배설물로인해 농도7이하 산성으로많이 떨어졌을때 암모니아..질산염으로 부터의 피
해를 얘기한다는게 설명이 짧았네요..20%환수는 배설물과 함께퍼내주는걸 얘기한거여요..
참고로 한마디 더하자면 물론알고계시겠지만요 생물학적 여과방식에 대하여 간단하게 말씀
드릴께요. 초기 물잡을때 수돗물넣고 여과기돌리고 하면으서 발테리아를 생성하게 만들지
요..초기박테리아는 니트로 소모나스라는것이지요 그것을 먹고 사는박테리아 가 또있지
요..나이트로벡이라는 것이지요...또이것을 먹고사는 박테리아가 있지요..이런것이 원할하
게 이루어졌을때 흔히들 고수분들이 애기하는 물이잡혔다 하는것이지요..다시말해서 처음
물잡이 고기를 투여하지요..그고기가 배설하는 배설물에는 암모니아라는 가스가 나오지
요..그가스를 분해시켜주는박테리아가 먹고 배설하는것을 아질산이라고 합니다..이또한 마
찬가지로 먹고 배설하는것이 질산염입니다..암모니아..아질산..질산염..이런식으로 배열이
잘되였을때 물이잡히는것이구요...이것이 안돼였을때는 구피가 병들어하고 약한개체는 죽
게되는것이지요..어떤박테리아가 많아지면 백탁도 오고 일조량이 많으면 녹조도오고 그런
겁니다.
================================
난태생 어종은 다 무난합니다... 대표적인것이 플래티(2~3cm정도, 종류도 많죠 미키플래티
, 블루미키블래티, 선셋플래티, 삼각플래티, 왁플래티 등등), 풍선몰리(블랙,노랑,하양),
세일핀몰리, 하지만 그냥 블랙몰리랑 소드테일은 약간 성질이 있으므로 피하는게 좋구요.
그리고 청소물고기는 코리도라스 종류 와 안시가 좋을듯합니다. 비파는 점점 크기가 커지
니까 좀 그렇구요
==================================
90cm면 세자짜리 어항이네요~! 경험으로 미뤄 보건데... 수돗물 자체는 하루만 재워두 충
분하구요...측면을 며칠 돌리든 그건 상관없습니다. 온도만 미리 맞춰놓으시고 물맞댐을
하고 입수하시면 큰 문제없이 적응할겁니다. 다만 물은 말그대로 자연적인 상태로 여과박
테리아가 생성되는 시간이 필요하더라구요. 기존 스폰지 여과기가 있다면 그걸 그대로 퐁
당 담궈 사용하시면 박테리아가 빨리 자리 잡을겁니다. 입수후 일주일 또는 열흘쯤 지나면
물이 뿌옇게 되거나 그러는데 상관하지마시고 부분환수 조금씩 해주시면서 기다리면(다시
일주일에서 10흘) 어느샌가 점점 맑아지는 걸 보실겁니다. 에효...저역시 왕초보니까 완전
믿지마시길.. => 잘못된 답변
3자 수조에는 여과박테리아가 없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바닥재가 50센치 어항의 모래라면
박테리아가 들어와 활성이 이루어지나 그렇지 않고 3자항의 모래일 경우(세균증식의심) 새
물에 새여과기이므로 오랜 시간 물을 돌리셔도 박테리아 활성은 더딜 것이고 고기한테는
입수 쇼크 등이 올수 있습니다. 스펀지 국물(이게 최고죠^^) 여의치 않으시면 바닦 찌꺼기
라도 박테리아 활성제와 함께 새물에 넣어 주시고 3일 이상 물을 돌려 주시면 기존 50센치
어항과 환경이 비슷해지므로 입수 스트레스가 많이 줄어 들것입니다. 또한 구피는 물살을
싫어해서 측면 여과기는 레인바를 구입하셔서 출수구를 어항 벽쪽을 향해 설치해 주세요.
어항을 한번 비우셨다 다시 사용하시는것이니 바닥재 빡빡 닦아주세요 . 그리고 처음 물잡
이 하실때는 클라투님말씀대루 하심안되요 .. 쓰던거 꺼내서 다시 셋팅한다고 하셨죠 ? 수
돗물 받아놓은걸 꽉채우신뒤 여과기넣고 1주일가량 돌려주세요 . 그다름 박테리아여과제를
투입후 다시 2틀정도 여과기 돌려주시고 또 박테리아 여과재를 넣어주세요 2번정도 반복하
시고 물고기 2~3마리씩 번갈아 가면서 투입시켜주십시요 . 하루에 2~ 3마리씩이요 .
==========================
수초는 대체로 약산성에 물에서 키워야하며 구피들도 원론적으론 중성~약산성(ph7~7.5)에
물에 키워야합니다.
하지만 구피는 약염기(ph8) 에도 적응시키면 잘 산다고 합니다. ^^
바닥재는 산호사가 ph를 상승시켜 물을 약염기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소일은 ph를 하강시켜 물을 약산성으로 유지해주려는 경향이 강하구요 ^^
그래서 ph8이상의 약염기에서 키우는 탕어나 패각종들은 산호사의 바닥재를 깔고 같은작용
을 하는 꽃산호, 조개, 소라등으로 장식합니다.(수초는 가끔 심는분도 있지만 나나나 모스
같은 생명력 강한 수초들입니다.)
또 약산성을 선호하는 카라신이나 난태생 송사리과와 수초항엔 소일을 많이 사용하죠^^ (
수초를 안한다면 흑사하시는분도 많습니다.)
자 이제 구피들이 죽어나가는 이유를(물론 제 소견일 뿐입니다.^^) 추론할 수 있습니다.
열대어들이 받는 스트레스는 산성->염기로 수질이 바뀔때보다 염기->산성 으로 바뀔때 스
트레스가 훨씬 더 높다고 합니다.
이런이유로 산호사를 깔아 이미 약염기에 적응하여 잘살던 구피들이 소일의 투입으로 갑작
스레 ph가 하강해 수질이 산성쪽으로 급변하여 스트레스사를 하고 있는게 아닌가 합니
다.^^ 수질을 좋게 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수질이 급변하지 않게 해주는게 그 이상으로 중요
합니다.^^ 부족하지만 아는범위 내에서 답변해봅니다^^ 잘 극복하시길 빌겠습니다.^^
===================================
아무것도 넣지말고 그냥 깨끗한물만 가끔환수해주세요. 울집 구피들은 어떤것도 넣어준적
이 없어요. 그리고 치어도 너무 매일 하는거보다 일주일정도에 한번하면 괜찮더라구요. 저
의집 치어는 커피끓이는 그릇에서 살고있거든요. 거기도 아무것도 넣지마시구요. 스스로
면역력을 가지게 하는게 좋지 않을까하는게 제가 구피를 길러본 경험입니다
예전에 종합세균억제제를 설명서대로 넣어 떼죽음 당한 적이 있어요.. ㅠ.ㅠ 그 이후부터
는 어항 전체 환수할때만 넣어주고 절대로 고기가 있는채로는 첨가하지 않습니다. 박테리
아 활성제는 넣어도 상관없던데.. 저는 한자 반 어항에 8ml 정도 넣어봤는데 괜찮더라구요
=======================
보통 구피가 치어때는 거의 죽지 않고 유어때 조금 죽어 나갑니다.^^ 성장통이죠! 그리고
준성어때도 조금 죽죠! 풍선보다는 조금 덜하지만... 90마리 중 소수 죽어 가는 것은 작은
몸에서 태어난 새끼들이 모두가 내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박테리아 활성제는 그
렇게 강추 하고 싶지 않습니다. 여과 박테리아를 뿌려 주시는 편이 좋을 것 이고요! 그리
고 어항 벽이나 바닥제는 살균하기 보다 스펀지로 닦아 주시고 짜주시는 것이 좋아요 바닥
청소는 사이펀으로만 해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박테리아는 물보다는 바닥과 벽면
에 주로 서식하기에요
================================
그게..바늘꼬리병은 꼬리가 바늘처럼 뭉쳐지는데요.. 지금은 꼬리썩음병같습니다. 둘다 전
염성이 있으므로 격리시켜야 합니다.^^흰색응가에 실핏줄 보이고 막 그러면 굉장히 심해진
겁니다. 한번 치료되었다가 금새 재발했다니 분명 수질이 악화되어있을수 있습니다.수질테
스트도 한번 해보세요.^^ 구피들 숫자도 헤아려 보시구요. 어딘가 안보이는데서 죽어서 수
질을 악화시키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바늘꼬리병은 수질오염에서 오는병인것 같구요 전염병은 아닙니다.. 흰똥을 싸는것은 내부
기생충에 감염된것으로 판단되구요..약국에 가시면 메트로 디나졸과 후레즈컨탈이라는 약
을 구입하셔서 어항 싸이즈를 알려주시면 용법과 용량을 알려드리겠습니다..아니면 h4 씨
리즈중 h4.h5 를 적당량 용량에 맞게 넣어주셔야 하구요..몸속에 기생충까지 박멸하시려면
구피먹이에h4 를 섞어서 약밥을 만들어 2주간 먹여 주셔야 합니다.. 내부기생충은 전염성
이 강하므로 그수조에 썼던 물이 다른수조에 튀지않게 조심하셔야 하구요..그수조에 썻던
모든 도구는 다른수조에 넣으면 안됍니다
===============================
메트로 디나졸과 후레지 켄탈은 물론 사람이 먹는 구충제 입니다..구피나 디스커스 매니아
분들이 실험을 해서 검증된 것이구요.님 수조싸이즈면 메트로 디나졸 10알에 후레지켄탈 1
알을 절구에 가루를내어서 컵에 수조물과 희석해서 넣어주시구요 3일후에 프레지켄탈 한알
을 더넣어야 합니다 그러면 수조에 내부 기생충은 박멸이 되구요.흰똥속에 내부기생충알은
보통 3~4일정도 또다시 부화를 하니 3일후에 후레지켄탈을 하나더 넣은겁니다.
디나졸과 후레지 켄탈 사러갔더니 디스토마 약이라며 처방전이 필요하대요 그래서 젤콤 (
현탁액) 사서 약에 묻혀서 말린다음 먹여줬더니 바로 빨간 똥 눠요
그리고 약밥은 h4로 제조하는데요 구피들 뱃속에 있는 기생충을 박멸하는것이라 구피먹이
는 먹이를 150그람에 h4 약품에 보면 수저가 있읍니다 그수저로 2수저 정도 사료와 약을
잘섞어서 달력같은 두꺼운 종이에 펼친다음 분무기로 사료와 약이 혼합되게 뿌려주시고 완
전히말려서 구피먹이로 주시면 내부기생충은 박멸될것이라 생각합니다..
수조에 내부기생충과 구피몸속에 기생충을 한번에 치료하여야 뒷탈이 없습니다..몸속에 기
생충만 치료하면 당분간은 낳겠지만 다시재발하고 물속에 기생충만 치료하면 구피몸속에
기생충 다시흰똥싸고 거기에 기생을 알이 다시 부화하니 말짱 도루묵이 되겠지요 그러니
수조에 기생충과 몸속에 기생충을 같이치료하여야 합니다.
수조가 한자면 메트로 디나졸 1알과 프레지켄탈 한알을 팔분에 일을 갈아서 수조물에 타서
넣어주세요..그리고 3일있다가 프레지켄탈 팔분에 일을 갈아서 한번더 넣어주시면 됩니다.
=================
구피는 초기입수시 물이안잡힌 상태어서 입수하면 약한놈부터 한마리씩 죽어나갑니다. 아
무래도 초기입수실패로 보여집니다..선물준 친구분이 준물하고 받으신분 물하고 피에치가
1이상 차이가 있을걸로 보여지는데요 거기다 입수하면 물도 안잡힌상태에다 피에치 차이도
나고하니 죽는것은 당연합니다
==============================
전 두달된넘들도 따로 어항에서 키우고있어요... 2센티는 되어야 스트레스 안받고 자리잡
더라구여... 그전에는 큰넘들이 텃세를 정말 제대로 부리더라구여.. 텃세 안부리고 잘 적
응한다면 키워도 되겠죠.
===================
수돗물 하루만 재워두면 된다는 말만 믿고 그랬었는데 구피들이 기운없어 하다가 죽더라구
요~근데 수돗물 받아서 이틀에서 삼일이상 뒀다가 갈아주니깐 아무 문제 없더라구요~ 아무
래두 수돗물에 약한가봐요~ 그리고 물갈이 때마다 일정량의 소금넣어주니깐 아무 병도 안
걸리고 2년째 잘 크고 있답니다~20마리로 시작했던게 지금은 셀수도 없을 정도로 늘어나서
어항을 하나 더 늘렸어요~^^ 대신 소금 넣으면 수초는 잘 자라지 못합니다~ (또 대신에 골
치아프게 늘어나던 달팽이(?)는 전멸~^^)이상은 전문 지식은 아니구
출처-열대어사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