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ak9Cafe
 
 
카페 게시글
☆카페지기 방 현대적 탁구를 만든 치키타와 용품 변화
Oscar 추천 0 조회 1,540 20.11.24 14:56 댓글 3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0.11.24 16:41

    첫댓글 선수들마다의 특정한 캐릭터들이 많이 없어진점도 아쉽지만, 선수들 사용 라켓 및 러버들도 더더욱 특정부류의 제품들로 모아지다보니 용품을 좋아하는 동호인 입장에서 아쉬운 부분도 있습니다.
    마롱이나 판젠동이 용품방황을 좀 해줘야할텐데요 ^^;
    좋은 분석글 잘읽었습니다.

  • 작성자 20.11.24 18:01

    감사합니다 😊

  • 20.11.24 17:06

    이번에도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런 현대탁구 스타일이 흥행과 저변확대 관점에서는 전체적인 탁구스포츠역사상 후퇴행보로 이어지지 않을까 염려스럽습니다.

    랠리가 오래되어 보는 탁구의 흥미를 이끌어 낼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공을 크게 만든것은 ITTF의 최악의 패착이었습니다. 그 결과 판젠동과 하리모토 같은 전진탁구괴물을 만들어 냈구요.

    모든 선수들이 그 괴물을 이길려고 더욱더 다닥다닥 붙어서 천편일률적인 탁구를 추구하고, 이제는 다양하고 개성있는 탁구선수는 예선경기에서나 볼 수 있게 되었네요.

  • 20.11.24 17:09

    그나마 슈신이나 마롱같은 화려한 플레이의 선수들이 최정상자리를 유지한다는게 다행입니다. 세계1위 판젠동 팬보다 그둘의 팬층이 두터운 이유도 재밌는 경기를 보려는 팬들이 많다는 증거이기도 하구요.

    공 크기 뿐만 아니라 재질또한 전진탁구만이 살아남는 추세로 가는데... 이러다 라지볼 수준까지 갈지도 모르겠네요.

    물론 ITTF의도는 좋았지만 결과가 이렇게 될줄은 몰랐기에 시도 자체를 비난 할 의도는 없습니다. 단, 랠리부재와 관객유도 흥행실패를 감지했을때 빠른 수습을 못한점은 아쉬움이 남네요.

  • 작성자 20.11.24 18:02

    @세모래 공감합니다. 영상 세편을 봐도 예전 게임이 더 재밌죠.

  • 20.11.24 19:15

    ittf가 중국탁구를 견제할거였으면 공 크기 키우는거보다 테이블 크기를 늘렸으면 어땠을까 합니다 그랬으면 힘좋은 유럽선수들이 더 유리했을테고 2구 선제도 그다지 위협적이지 않았을거 같은데요

  • 작성자 20.11.25 00:52

    사실 공 변경은 항공기 내 인화물질 반입 금지가 시초였어요. 셀룰로이드 재질은 인화성이 강한데, 그것이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겁니다.

  • 20.11.24 19:29

    탁구경기가 예전보다 재미가 떨어졌어요.. 앞으료 또 변화가 일어나겠죠?

  • 20.11.24 19:34

    백핸드로 점착러버로 이동하는군요!!

  • 20.11.24 20:00

    하여튼 끈적이는게 문제네요~~~

  • 20.11.24 19:37

    좋은글 감사합니다~^^

  • 저는 그냥 우와 잘한다 감탄하면서 재밌게 보기만 하는데, 이렇게 분석한 글을 보니 아~나는 탁구를 참 모르는구나~ 깨닫습니다.ㅎ
    이런 글 자꾸 읽다보면 조금씩 나아지겠지요? 그리고 좀 모르면 또 뭐 어때요? 재밌게 보고 즐겁게 치면 되는거죠~^^

    정성들여 쓰신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 20.11.25 00:52

    예, 저는 이런 일이 직업이니까요~^^

  • 20.11.24 20:25

    공 재질 변한게 모든 걸 다 바꿔논거 같습니다. 폴리볼로 바뀌고 재미는 망한 것 같습니다. 회전없는 공치니깐 다 똑같이 앞에서만 쳐서 재미도 없습니다.

  • 작성자 20.11.25 00:52

    ㅜㅜ

  • 20.11.24 20:25

    중국탁구 대단~~~~~~~히 재미없다.ㅋㅋ.

    특히 판젠동은 대단함과 재미없음의 정점을 찍었네요.ㅜㅜ.

    제가 우리나라 조승민, 안재현, 조대성 젊은 선수들의 선전을 기대하는 이유는 그들의 플레이가 틀에박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그나저나 이번에 장우진 선수는 참 대단했습니다.
    특히 짧은볼 스톱은 소속팀 코치인 오상은의 선수시절을 보는 듯했습니다.!!

  • 작성자 20.11.25 00:53

    예, 이번 경기에서 이런 점이 더 많이 보이더군요.

  • 20.11.24 20:28

    잘읽고 배웁니다!~장우진선수 딱 한끝 그 한끝이 아쉬운 그리고 한번은 해주길 항상 바라면서 보내요^^;;;

  • 20.11.24 21:33

    요약하면... 앞에서 먼저 선제 공격을하여서 랠리를 리드하는 선수가 성적을 내는 듯하고...글내용처럼 공격적인 전방 압박탁구..가 되세가 되니..중국러버가 대세이고....용품도 mxp나 mxs나 고경도러버들만이 속도.회전이 나오는..탁구로.가고..탁구선수도 마르깽이보다 몸.특히 근력.. 하체가 좋은 중국선수들(갠적으로 한국 선수들은 너무 마름.장우진빼고.)... 판젠동이나 첸멍 쑨잉사 등등이 대세고.......속도에 맞추어 ...몸도 근력을 키우고...하여서...이런시대변화를 받아들이고 준비를 해 나가야겠네요....읽어보니 글이 참 멋진글이네요....탁구인으로서 참..이런글은 너무 좋네요

  • 작성자 20.11.25 00:53

    감사합니다 😊

  • 시대가 시대지만, 유남규, 김택수 선수같은 세계정상급 일펜선수가 나오면 좋겠습니다.

    모두가 아니라고 할 때 해내는 선수 어디 없나요?

  • 20.11.25 01:31

    어떤 스포츠등 다양성이 남아있을때 인기가 오래가는것 같고요.. 모두 같은 스타일의 탁구를 한다면 재미가 떨어질수 밖에 없죠...
    공이 바뀐게 이런 결과를 나으리라고는 생각치 못했겠지만... 지금이라도 다양성을 찾을수 있는 변화가 있었으면 합니다.

  • 20.11.25 07:53

    펜홀더도 강한 쇼트 전진 드라이브나 또 다른 기술로 정상 선수가 나오겠죠

  • 작성자 20.11.25 11:14

    펜홀더, 수비 전형 선수들, 숏팜플 공격 전형 등이 과거에 비해 성적 내기 어려워 졌네요. 생활체육도 그래 보이구요.

  • 20.11.25 12:21

    좀 다른 이야기지만,,초전진탁구라는 흐름에 아직 우리나라는 아직 완전히 따라가지는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나마 일본은 하리모토, 이토미마 같은 선수가 있는데,,우리나라도 장우진같은 재능있는 선수를 판젠둥같은 중국선수들과 연습시키는 방법이 좋을 것 같네요,,만약 일정기간 합숙훈련 같은게 가능하다면 말이죠,,정 안되면 하리모토와도 매일 연습하게 하면 서로 발전되고 좋을 것 같습니다. 판젠둥과 마롱 연습장면보니까,,전진에서 드라이브걸고, 백핸드로 카운트 리턴, 좌우 랜덤으로 주면서 한 사람은 강한공격, 한 사람은 3분의 2정도의 힘으로 카우트 리턴으로 계속 연결 연습을 하더라고요,,훈련방식도 좀 배웠으면 합니다.

  • 보는입장에서 탁구가 재미가 없어졌죠
    백싸움만 하고 있으니
    우리야 탁구를 즐기며 보지만
    일반시청자들이 이런탁구를 좋아할진
    모르겠습니다
    메이져 스포츠로 가기 위해서는 좀 더 역동적이며 스토리가 있어야 되는데
    그렇지 않아도 자잘한 플레이들에서
    그나마 있던 풋워크와 포핸드 드라이브도 줄어드니
    일반분들이 보면 쟤들 서서 백싸움만하는데
    저게 탁구냐 ? 할거 같습니다
    맨날 중국이 이기니 스토리도 없고요
    그냥 매니악한 스포츠로 점점더 굳어갑니다

  • 20.11.25 17:16

    판젠동이 이겼던 경기는 뭐얐지.. ..

  • 20.11.27 22:22

    치키타하면 장지커 아닌가요?
    장지커도 포핸드쪽에 가서 백으로 리시브 많이하던데 판젠동보다 장지커가 나이가 훨씬 많으니 장지커가 먼저 아닐까요? 정확한 나이차는 모르지만 5살 이상 났던거 같은데요

  • 작성자 20.11.28 13:26

    예, 그렇죠.
    제 글은 치키타 등 전진 압박으로 탁구판을 바꾼 두 사람을 꼽는다면 판젠동과 하리모토라는 얘기입니다.
    치키타 기술은 장지커 시기에도 있었지만 모든 리시브를 치키타로 하겠다는 전술적 변화는 판젠동이 시작한 것 아닌가 합니다.

  • 20.11.28 13:44

    @Oscar 아 그런가요?
    판젠동 쉬신이 힘들어하는 변강쇠스타일이라 안좋아했는데 실력만큼 대단한 선수인가보네요.

  • 작성자 20.11.28 14:47

    @왕하오마린쉬신 실제로 만나보면 잘 생겼고 젠틀합니다. 슈신은 떡대도 크고 상남자 스타일이구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