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홀수 문화 ! -🎋
<홀수>는 우리 민족 정신문화(精神文化)의 <깊은> 뿌리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까마득한 시절부터 조선의 혼(魂)속에 묻혀 내려온 민족문화(民族文化)다.🎋
자연스런 일상생활의 넉넉한 관습(慣習)에서 얻어진 지혜(智慧)의 소산으로 <홀수>는
딱 맞아 떨어지는 <짝수>에 비해서 넉넉하고 여유롭다.🎋
홀수 중에서도 특히 < 3 >을 선호(選好)하고 있지만, 1, 3, 5, 7, 9 모두가 우리 생활 속 깊이 맥(脈)을 내리고 있다.🎋
우선 <국경일(國慶日)>이라든가 명절(名節)이 모두 <홀수 날>이다. 뿐만 아니라,
때 맞춰서 돌아오는 절기(節氣)가 거의 <홀수 날>에 들어있다.🎋
<설날>과 <추석>이 그렇고, 정월 대보름(1월15일), 삼짇날(3월3일), 단오(5월5일),
칠석(7월7일), 백중(7월15일)이 그렇다.🎋
9월 9일은 <구중>이라 하여, 남자들은 시(詩)를 짓고, 여자들은 <국화전>을 부쳤다. 천고마비(天高馬肥)의 살찌는 계절을 즐기던 조상님들의 흐뭇한 얼굴이 떠오른다.🎋
생활 곳곳에 뿌리내린 < 3 >의 의미는 더욱 다양하다.🎋
사람이 죽으면, 3일장(葬) 아니면 5일장(葬)을 치르는 것이 보통이지, 4일장이나 6일장은 없다. 역시, 삼우제(三虞祭)가 있고, <49제>라는 추모(追募)의 날이 있다.🎋
망자(亡者) 앞에서는 홀수 날을 택하여 최대의 예우를 지키는 것이 뿌리 깊은 전통이다. 심지어 祭物(제물)을 올려도 <홀수>로 올리지, <짝수>로는 차리지 않는다.🎋
돌탑을 쌓아도 3 5 7 9 홀수 층으로 올렸을 때에,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들면서 보는 이의 마음을 편케 한다.🎋
애기를 낳고 금줄을 쳐도 세이레(三七日)동안 출입을 삼갔다. 신성한 생명을 지키면서 축복하자는 삼신할미의 준엄한 고지(告知)다.🎋
봉투에 돈을 넣어도 우리 서민들은 두 자리 수가 아닌 이상, 3만원 아니면 5만원을 넣었지
4만원이라든가 6만원짜리 <기부 촌지>는 보기 어렵다.🎋
상납금을 강요하는 교장이 교감에게 넌지시 말씀하셨다고 한다.
‘짝수로 인사하는 법이 어디 있느냐? 여지껏 그런 것도 모르느냐? 호통을 치는 바람에, 백만 원을 더 얹어서 바쳤다고 한다. 쥑일 놈 같으니라구!🎋
이렇듯 < 3 >이라는 숫자가 우리들 생활 중심에서 축(軸)을 이루고 있다.🎋
춥고 긴긴 겨울을 삼동(三冬)이라 했고, 무더운 여름을 건너가려면 삼복(三伏)을
견디어야 한다.🎋
무기를 일컬어 <삼삼오오>라 했고, 색깔을 이야기할 때도 <삼원색>이 근원이다.🎋
상고(上古)시대에 우리나라 땅을 마련해 준 삼신(三神)이 있다 하여 생명신으로 섬긴다.
삼재(三災)가 있는가 하면, 또 삼재(三才)가 있다.🎋
현대에는 시위문화에서 삼보일배(三步一拜)라는 것이 새로 생겼다. 간절하고 지극한 정성의 극치다.🎋
가까운 <이웃>을 일컬어 <삼 이웃>이라는 좋은 표현이 있는가 하면, 잘 하면 술이 <석 잔 >,
못 하면 뺨이 <석 대>다.🎋
힘겨루기 판을 벌여도 <5판 3승 제>를 하며, 만세를 불러도 삼창(三唱)까지 해야 속이 후련했다.🎋
<짝수>는 죽은 자(者)의 숫자란 말이 있고, <홀수>는 <산 사람>의 숫자란 말도 있다.🎋
그래서 <제사상(祭祀床)>에는 과일을 홀수로 올리고, <절>을 두 번 하지만, 산 사람에겐 절을 <한 번만> 하면 된다.🎋
삼 박자가 맞아 떨어져야 목적한 것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은 생활 속 곳곳에 숨어있다.
그만큼 < 3 >이라는 숫자는 우리 생활의 <디딤돌>이요, 구름판으로 안정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즐겁고 행복하며, 삼삼한 하루 지내세요.
늘 감사합니다!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쉬는 법도 배우자...!!! ♣
휴식(休息)은
(休쉴 휴) 사람(人)이 나무(木)에
몸을 기대어 쉬는 것을 말하며,
(息쉴 식)은 자(自)신의 마음(心)을
아래로 내려 놓는
즉, 걱정과 불안등 온갖 잡념을 가라 앉히고,
그저 편히 쉬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느 가을날,
한 농촌 마을에서 두 농부가
논에서 열심히 벼를 베고 있었다.
한 사람은 허리를 펴는 법 없이 계속해서
열심히 벼를 베었다.
다른 한 사람은, 중간 중간 논두렁에
앉아 쉬었다.
거기에다 노래까지 흥얼거리면서 말이다.
저녁이 다 되어 두 사람은 허리를 펴고,
자기가 베어 놓은 볏단을 뒤돌아 보았다.
그런데, 틈틈이 논두렁에 앉아 쉬던
농부가 베어놓은 볏단이 많았던 것이다.
쉬지 않고 이를 악물고
열심히 일만 한 농부가 따지듯 물었다.
아니, 나는 한 번도 쉬지 않고 일했는데,
이거 도대체 어떻게 된 거지...?
틈틈이 쉬었던 농부가 빙긋이 웃으며 이렇게 대답했다.
'응, 난 쉬면서 낫을 갈았거든!'
한 번쯤 되돌아 볼 일이다.
'나는 오늘도 그처럼 무딘 낫을 들고
온종일 땀 흘리며, 일만 하고 있지는 않았는지?'
명지대학교 인문교양학부 김정운 교수가
쓴 책 중에 '노는 만큼 성공한다.'라는 책이 있다.
그 책에 이런 내용이 있다.
15년 동안 오로지 골프에만 둘러싸여
화려한 골프 여왕으로 등극한 박세리가
자기 아버지에게 이렇게 항의했다.
'아버지! 나 이제 골프에 지쳤어요.
이젠 이 골프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그런데, 아버진 제게 다른 건 다 가르쳐 주고,
왜 쉬는 법은 가르쳐주지 않으셨어요?'
위로는 부모님을 봉양하고,
밑으로는 자식들 챙기느라 앞만 바라보며
살아온 우리 세대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뒤돌아 봤을 때,
이제까지 숨 가쁘게 앞만 보고 달려온 나날들이었다면,
이젠 좀 쉬면서,
옆도 보고,
뒤도 보고,
친구도, 지인도, 형제 자매도 보고,
낫도 갈면서 오늘 하루라도 여유를 가지고 조금은 쉬엄쉬엄 사시는 것은 어떨런지요?
휴식(休息)은 업무 진행의 균형을 맞춰 주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창의력(創意力)을 키우고
자기 개발을 하게 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경쟁력(競爭力)도 높일 수 있습니다.
* 창의력(創意力) : 새로운 생각이나 의견을 생각해내는 능력이다.
* 경쟁력(競爭力) : 상대와 경쟁하여 버티거나 이길 수 있는 힘.
👉 오늘의 명언
휴식(休息)은 게으름도, 멈춤도 아니다. 휴식(休息)을 모르는 사람은 브레이크가 없는 자동차 같아서 위험하기 짝이 없다.
- 헨리 포드 -
한가로운 시간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재산이다.
- 소크라테스 -
오늘도 미소가 넘쳐나는 즐겁고 행복한 하루되시길 소망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