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애굽기 (Exodus) 개요와 참고 배경 ---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라는 명칭은 구약성서의 헬라어 역본인 칠십인역(LXX)에서 나온 것이다. 본래 맛소라 텍스트(MT)는 "그리고 이름은 이러하니라"는 말로 책이름이 붙여져 있었다. 그러나 칠십인역(LXX)과 벌게이트(Vulgate)역 등 대부분의 영역본들은 '길을 떠나다' (ex + odos)라는 의미를 담아 'Exodus'라 부르고 있다. 한글 개역은 '출애굽기'라고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출애굽기는 애굽 탈출기라기보다는 오히려 성막 건축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스라엘이 애굽에 거주할 당시의 애굽의 역사를 족장들의 행적과 관련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출애굽기는 애굽을 떠난 이스라엘 백성들의 이야기를 신학적으로 조명한 이스라엘의 신앙고백이라고 할 수 있다. 출애굽기는 모세의 이야기와 이스라엘 신앙의 기초인 유월절 신앙과 시내산에서의 전통 그리고 성막에 관한 전승을 이어 주는 기록으로서 이스라엘의 구원 개념과 역사 이해를 살펴볼 수 있는 정경이다(Canon).
내용 분해
Ⅰ. 애굽에서의 이스라엘 민족(1:1-12:36) 1. 애굽에서의 노예 생활(1:1-22) 2. 하나님께서 구원자 모세를 택함(2:1-4:31) 3.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해방시킴(5:1-12:36) Ⅱ. 광야에서의 이스라엘 민족(12:37-18:27) 1. 출애굽과 애굽 군대의 추격(12:37-18:27) 2. 시내산에 도착(15:22-17:16) 3. 이드로의 방문(18:1-27) Ⅲ. 시내산에서의 이스라엘 민족(19:1-40:38) 1. 율법을 주심(19:1-24:18) 2. 성막의 제도(25:1-31:18) 3. 율법을 어긴 백성들(32:1-34:35) 4. 성막의 건축(35:1-40:38)
<출애굽에서 시내산까지의 여정>
<시내산 여정>
위임식의 순서를 살펴보면
? 위임식에 소요될 제물을 준비하고(1~3)
? 물로써 몸을 청결케 하고(4)
? 아론에게 성의를 입히며(5~6)
? 관유를 그 머리에 바르고(7)
? 아론의 아들들에게 옷을 입히고(8~9)
? 속죄제, 번제, 화목제 등의 제사를 드렸습니다(10~34).
|
출처: 큐티로 여는 성경 묵상 주석 원문보기 글쓴이: 朴 海 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