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겨울눈의 '눈'은 쉽게 말해 싹이나는 자리이다.
전년도에 만들어져 이듬해 봄 잎(가지)이나 꽃으로 자라는 것을 말한다.
▶나무의 눈은
위치에 따라 - 가지 끝에 있다고 해서 끝눈(정아),옆에 있다고 해서 옆눈(측아)라고 한다.
기능에 따라 - 꽃눈,잎눈,혼합눈으로 나누고
형태에 따라 - 눈껍질로 덮혀 있는 비늘눈(인아),털로 덮혀 있지만 눈비늘이 없는 맨눈(나아),묻힌눈(은아) 등이 있다.
●회화나무(콩과) -은아 (숨은눈),아까시나무,다래,개다래
●생강나무(녹나무과) -비늘눈(인아)감태나무,비목나무
●소태나무-맨눈(나아) -쓴맛이 강해 옛날 어머니들이 아이젖을 뗄 때 즙을 발라 사용하기도 했다.
●말채나무(층층나무과) - 가지가 부드럽고 강해서 말의 채찍으로 썼다.
●쪽동백나무(때죽나무과) -나아(맨눈) 가지는 껍질을 벗으며 겨울눈 모양이 엄마가 아기를 업은 듯한 모양으로 '부아'가 달려 있다.
부아란 첫번째 정아에 문제가 생기면 대신 가지를 뻗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개암나무(자작나무과) - 인아(비눈눈) 1년지 소지에 털이 많은 특징이 있다.
●벚나무(벚나무과) -인아(비늘눈) 산벚나무,벚나무,잔털 벚나무
●쥐똥나무- 인아,혼아 - 열매가 쥐똥같이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까마귀밥나무(까마귀밥나무과) - 혼아, 2년지 잎겨드랑이에서 꽃이 핀고 까마귀가 좋아하는 열매라고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매화말발도리(수국과) - 인아(비늘눈) 가지가 말라 죽고 측아가 정아처럼 변한 것.바위위에서 많이 보이고 꽃이 매화를 닮아 붙여졌다.말발도리는 씨앗의 모양이 말굽을 닮아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2년지 잎겨드랑이에서 꽃이 핀다.